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479388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8-03-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화두는 엉겁결에 들이닥친다
눈[雪]이 떨어지는 곳
목동
춤추는 노[棹]
배가 가는가 산이 가는가
이게 무슨 소리냐
2장. 춤추는 마음
떼죽음
들오리 떼
깃발과 바람
칠(七)과 일(一)
앞에 삼삼 뒤에 삼삼
외부 세력은 없다
3장. 두려움을 두려워하라
이중구속, 벗어날 수 있겠는가
용이 된 주장자
동그라미의 유혹
고양이를 베다
촌놈에게는 불성이 없다
내려놓아라
4장. 익숙한 세상과 결별하라
이음새 없는 탑
손가락을 자르며
마삼근
빈손
마음 심(心), 한 글자
아닌 건 버려라
5장. 부처를 넘어서라
이미 다 했다
내 마음 속의 달
인과의 그늘
아직도 그런 게 남아있는가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
벽돌을 갈듯 수행하는 이에게
6장. ‘나’를 부르는 소리
가섭찰간
병 속의 새
이건 비밀이야
병정동자
문지방
이뭐꼬
7장. 공감
넘어진 사람을 부축하는 법
깨진 접시
벽을 보는 사람
돼지를 물어보다
달마도 모른다
마른 나무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의 내용을 구성하면서, 먼저 나름의 시각으로 사회적 문제를 가미한 내용을 두었다. 학술적이지 못하고 시사성이 너무 강하다는 인상이 없지 않다. 하지만 현재의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과 공감이 없다면, 공안을 읽어야 할 이유도 찾기 어려울 것이다. 바로 지금과 교감할 수 없는 공안은 ‘죽은 언어’와 다름없기 때문이다. 또 나는 여기에 언급된 시사성 있는 일들이 시사가 아니라 부디 역사로 읽히기를 바란다.
진술되거나 설명된 공안은 엉겁결에 들이닥치는 공안이 아니다. 그것은 오랫동안 공들인 작품처럼 정교하게 잘 짜여 있지만, 바로 그래서 수행자의 의식을 계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래도 선객은 여전히 알아듣지 못했다. “거사라면 어떻게 하겠소” 하고 되묻는 데서 알 수 있다. 설사 방거사가 대답한다고 해도 그것이 선객 자신과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그것은 방거사의 답일 뿐이다. 공안의 답은 정해진 것이 없고, 남의 답이 결코 자기의 답이 될 수 없음을 알지 못하니 이렇게 물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