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2113337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3-11-1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문
초기불교 심리적 세계의 이해 (임승택)
초기불교 심리학 마음에 대한 일인칭적 접근 (김재성)
상키야-요가 마음과 물질의 이중주 (정승석)
세친 체화된 마음 (박창환)
용수 마음은 실재하지 않는다 (김성철)
유식학 심층적인 마음의 발견 (안성두)
디그나가 궁극적 실재의 이해 (마크 시더리츠)
중국 불교 마음, 인도에서 중국으로 (조은수)
천태지의 한순간의 마음과 원돈지관 (김정희)
이통현 속성 없는 마음, 의지하지 않는 마음 (고승학)
대혜 알려는 마음을 해체하다 (변희욱)
원효 일심의 철학과 화쟁 (최유진)
지눌 반야에서 절대지로 (길희성)
기화 마음의 본질로서의 반야 (박해당)
경허 깨달음에 이르는 역정 (한형조)
만해 선의 마음 성찰과 자발성 (박재현)
성철 선불교의 일대사, 마음의 문제와 돈오돈수 (윤원철)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불과 연료’, ‘삶과 죽음’ 역시 원래 독립적으로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의존하여 발생한 개념들이다. ‘연료可燃’가 없으면 ‘불燃’이 없고 ‘불’이 없으면 ‘연료’도 없다. 장작이나 성냥개비, 액화가스와 같은 연료가 없으면 불이 존재할 수 없다. 바람에 날려서 허공을 떠가는 불꽃이라고 하더라도, 순수하게 불만 있는 것이 아니다. 숯과 같이 붉게 달궈진 ‘탄소 알갱이’들이 연료 역할을 한다. 그것이 더 산화되면 무색투명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가 되어 불꽃의 주변으로 밀려난다. 아무리 세밀하게 분석해보아도 ‘연료가 없으면 불이 없다.’ 이와 반대로 ‘불이 없으면 연료가 없다.’ 헛간에 쌓아놓은 장작이라고 하더라도 불이 붙기 전에는 연료가 아니다. 장작은 나중에 울타리용 말뚝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한옥의 서까래가 될 수도 있고, 목침으로 변신할 수도 있다. 원인 때문에 결과가 발생하지만, 거꾸로 결과가 발생해야 원인의 정체가 확정되는 법이다. 그것이 헛간의 장작이든 라이터 속의 액화가스든 그 무엇이든, 불이 붙지 않으면 연료라고 이름 붙일 수 없다. 또, 삶이 없으면 죽음이 없고 죽음이 없으면 삶이 없다. 죽음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 ‘살아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없기에 ‘죽음이 없으면 삶이 없고’, 삶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죽음을 떠올릴 수 없기에 ‘삶이 없으면 죽음이 없다.’ 따라서 우리의 삶도 원래는 삶이랄 것도 없고, 죽음 그 자체도 원래 있는 것이 아니다. 선객禪客들이 “삶도 없고 죽음도 없다”고 포효하는 이유가 이에 있다.
우리가 체험하는 모든 것, 지금 이 순간에 우리에게 확인되는 모든 것 가운데 ‘물질’과 무관하게 ‘마음’으로만 이루어진 것도 없고 ‘마음’과 무관하게 ‘물질’로만 존재하는 것도 없다. 다시 말해 순수하게 객관적인 사건이나 순수하게 주관적인 현상은 결코 체험한 적도 없고 체험할 수도 없다. 내 앞에 놓인 꽃은 그에 대한 인식을 남과 공유할 수 있는 ‘객관 대상’이지만, 그것을 보고서 나에게 떠오른 느낌과 생각 등은 ‘주관적 체험’이며, 그런 주관적 체험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뇌신경의 물리화학적 변화는 객관적 사건이다. 또 내가 백일몽을 꾸면서 어제 감상했던 베토벤의 음악을 회상할 때, 그런 생각과 느낌은 남에게 포착되지 않는 ‘주관적 체험’이지만, 그에 수반하여 뇌에서 일어나는 전기화학적 변화는 ‘객관적인 사건’이다. 순수하게 객관적 물질인 줄 알았던 ‘꽃’을 볼 때에도 주관적 체험이 일어나고, 순수하게 주관적 체험인 줄 알았던 ‘꽃에 대한 느낌’이나 ‘백일몽’에서도 뇌신경의 객관적 변화가 수반된다. 최근에 는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장치로 뇌에서 일어나는 이런 변화를 역동적인 영상으로 기록하기도 한다.
마음이 실재하는가? 일상 어법으로나 선문답에서나 “마음”이라고 묘사하지만, 마음이라는 단어가 지칭하는 대상은 실제로 있다고 확언할 수 없다. 혜가는 마음이라는 말로 존재의 불안을 표현했고, 달마는 마음이라는 말이 나타내는 대상의 비실체성을 자각하게 했다. 마음이 부처라고 하지만, 부처로 복원하는 핵심은 무엇인가를 구하고자 하는 마음 없애기다. 있는 그대로 도이고 부처이기 때문이다. 조사선문에서는 부처나 중생이 따로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