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88975812460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03-12-15
목차
제1장 해양환경 1. 바람 2. 해류 3. 수온 4. 염도 5. 용존산소 6. 인산염(P-PO4) 7. 질산염 (N-NO3) 8. 질소와 인의 비률 (N/P) 9. 아질산염 (N-NO2) 10. 규산염 (Si-SiO4) 11. 투명도와 세스톤 12. 어황 제2장 해양생태계와 연구방법 1. 해양생태계의 개요 2. Marine Ecosystem 의 parameters와 연구 방법 3. 광합성 해양미생물의 색소연구 4. 해양의 제1차 생산량연구 제3장 해양의 기초 생산자 1. Microflora의 생물학적 의의 2. Microflora의 국문-구문 학술용어 3. Microflora의 구문-국문 학술용어 4. Microflora의 여러 가지 형태 5. Microflora에 대한 학술용어의 해설 6. Microflora의 형태학적 구조 7. 광합성 해양미생물의 생체량 (Biomass) 제4장 해양생산 1. 해양생산 및 연구 방법 2. 해양미생물의 개요 3. 서해의 갯벌 자연과 미생물 자원 4. ATP와 수계 미생물 5. 해태의 양식과 영양분 6. 심층해수와 양식 7. 바람과 명태잡이 8. 대만의 자연과 해양양식 9. 아르헨티나의 해안생물 자원 10. 대서양 카나리아 군도의 자연과 수산자원 11. 아프리카의 황금어장, 모리타니 해역 제5장 해양오염 1. 적조현상 (Red Tide) 2. 흑조현상 (Black Tide) 3. 녹조현상 (Green Tide) 4. 해양오염 5. 영일만의 자연과 해양오염 6. 영일만의 저층오염 7. 해양오염과 백화현상 8. 해양오염의 일례 : 뱀장어의 떼죽음 제6장 바다의 자연보호 1. 파괴되는 해양 생태계 2. 해양생태계의 복원 3. 바다의 자연보호 4. 경북해안의 Blue Belt 조성 5. 연안 생태계 보호와 간척사업 6. 백령도의 매립공사와 자연보호 7. 독도의 자연보호와 영토권 8. 해양·오염원에 대한 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