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해양생물
· ISBN : 9791186096796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8-07-20
책 소개
목차
『세계의 바다와 해양생물』을 새롭게 단장하며
초판 머리말
1장 서론
1. 바다와 인류
2. 바다와 해양생물
3. 해양생태계와 해양생산 구조
2장 북극권과 남극권의 바다와 생물
1. 북극권의 자연과 생물
2. 프린스 윌리엄 사운드의 바다자연과 빙하
3. 알래스카의 바다와 자연
4. 남극권의 자연과 생물
3장 지중해(Mediterranean Sea)
1. 프랑스, 지중해안의 다양한 생태계 연구
2. 프랑스, 지중해변의 자연과 해양연구소
3. 동지중해의 바다와 자연
4. 아드리아해와 물의 도시 베네치아
5. 지중해와 홍해의 적조현상
4장 북해와 발트해(North Sea and Baltic Sea)
1. 발트해의 자연
2. 실자라인-발트해의 이동하는 섬마을
3. 노르웨이의 바다와 피오르드 자연
5장 프랑스 연안의 대서양과 영불해협의 바다와 자연
1. 프랑스, 대서양 해안의 자연과 생물
2. 프랑스, 대서양 연안의 해태자원
3. 대서양의 참다랑어 자원
4. 영불해협의 자연과 생물
5. 영불해협의 녹조현상
6. 영불해협의 대형 유조선의 침몰과 흑조현상
6장 아프리카(Africa)의 바다
1. 대서양, 카나리아군도의 자연과 수산자원
2. 아프리카의 황금어장, 모리타니 해역
3. 모리타니의 수산업과 생활풍토
4. 아프리카, 희망봉의 자연과 바다
5. 케이프타운반도의 생물과 해양환경
7장 아시아(Asia)의 바다
1. 우리나라의 바다와 해양생물
2. 중국의 바다
3. 베트남 해역의 자연
4. 싱가포르 해역의 자연과 생물
5. 대만의 자연, 바다 그리고 양식업
8장 인도양의 중앙 해역의 바다와 자연
1. 인도양과 남인도의 해양환경
2. 스리랑카의 자연과 해양환경
3. 몰디브의 해양환경과 해양생물
9장 대양주(Oceania)의 바다와 자연
1. 호주대륙의 바다와 자연
2. 뉴질랜드의 바다와 자연
3. 밀포드 사운드의 바다자연
4. 괌의 바다와 해양생물
10장 북아메리카(North America)의 바다 자연
1. 미국, 태평양의 해안자연
2. 하와이 군도의 해양생물
3. 미국, 대서양의 해안자연
4. 체사피크만의 자연과 수질
11장 남아메리카(South America)의 바다 자연
1. 아르헨티나의 바다, 자연, 풍토, 해안생물 자원의 보고
2. 남미, 라쁠라따강의 하구 자연과 초어자원
3. 대서양, 리우데자네이루의 바다와 자연
4. 페루의 서태평양 해안자연
참고문헌
에필로그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바다 속에는 수많은 크고 작은 생물이 생활하고 있다. 우리는 울창한 숲속이나, 넓은 곡창지대를 보면, 생물의 번식력과 생장력에 감탄하여 압도당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바닷물 속의 해조류 숲과 어류의 서식환경을 보면, 역시 감탄하게 될 것이다.
배를 타고 바닷물 위를 지나다가 우연히 돌고래가 유영하고 갈매기 떼가 날아가며 수십만 마리의 철새 떼가 하늘을 뒤덮는 장관을 체험하게 되면, 마음속 깊이 생물의 세계에 대하여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해양생물의 진수는 이런 표현적인 데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바다 속, 눈으로 감지할 수 없는 곳에 찬란하게 이루어져 있다.
석호(lagoon)란, 해류 또는 조류가 해안으로 토사를 운반하여 수심이 아주 얕은 바다의 일부를 폐색시킴으로써 해안 호수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바다와 호수가 모래로 격리된 것이다. 호수의 물은 염도가 높고 영양염류가 풍부하며 수온이 적정한 바닷물로서 여러 가지 독특한 성격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해양생물이 풍부한 여건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때로는 부영양화가 발생되어 식물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적조현상이 심하게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