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퇴계/율곡
· ISBN : 9788975815188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15-12-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인성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1. 인성교육의 의미
2. 인성교육의 목적
3. 인성교육의 중요성
제2장 퇴계의 생애
1. 퇴계의 출생
2. 학문연마와 관직생활
3. 강학활동과 퇴계의 서거
제3장 퇴계의 인성교육원리
1. 구인성성求仁成聖의 원리
2. 지경공부持敬工夫의 원리
3. 지행호진知行互進의 원리
제4장 개인생활에 있어 퇴계의 인성교육
1. 학문탐구와 인격완성
2. 거경궁리와 교수방법
3. 존양성찰과 덕성함양
제5장 가정생활에 있어 퇴계의 인성교육
1. 가정경영과 자녀교육
2. 경장윤리와 봉선예절
제6장 사회생활에 있어 퇴계의 인성교육
1. 인간관계와 인물평가
2. 강의논변과 예학사상
3. 진퇴의리와 청렴정신
제7장 학봉의 기록에 나타난 퇴계상
1. 생활인으로서의 퇴계
2. 치밀한 학자적 풍모
3. 자상한 인간적 품격
4. 청렴한 관료적 자세
5. 퇴계의 인품에 대한 사관의 평가
제8장 퇴계학파의 분석과 교육철학적 의미
1. 퇴계학파의 전승傳承
2. 퇴계학파의 분석
3. 퇴계학파의 교육철학적 의미
4. 추로지향의 연원
제9장 퇴계학파의 교육사상
1. 진리와 인간의 숭고한 만남
2. 월천과 학봉의 생애와 학문
3. 월천과 학봉의 교육사상
4. 퇴계 학문의 창도唱導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퇴계의 인성교육을 이해하는 것은 퇴계의 삶을 파악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철학의 대상으로서 삶은 딱딱하게 굳은 고정적인 ‘존재’가 아니고 생동적인 ‘생성’을 의미한다.” 여기의 설명에 따르면, 철학은 생동적인 삶의 이해를 전제로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퇴계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문제는 그의 철학과 교육사상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교육은 인간이해에 기초하고, 일정한 인간상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즉 퇴계에 대한 이해는 퇴계사상의 내적 구조를 발견하는 하나의 단서이다. 그리고 퇴계의 인성교육은 그 자신의 삶 속에 융화되고 실천된 도덕적 결정체이며, 이는 성리공부에서 출발하여 심성공부로 귀결되었다. 즉 심성공부는 마음공부이며 인성교육이었다. 인성교육은 정신적인 차원에서 마음으로 이루어지는 의미와 가치에 대한 구체적인 교섭이며, 초월적인 자아의식에 대한 각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