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581548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7-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보디빌딩하는 몸의 의미와 주체성
1. 개관
2. 몸의 철학적 담론
건강의 역사에 담긴 몸
몸의 지위 변화
섹슈얼리티와 몸
신체육성의 역사적 변천과정
3. 보디빌딩하는 몸의 의미
보디빌딩 개념의 성립과 발전
보디빌딩하는 몸의 의미
4. 보디빌딩하는 몸의 주체성
‘안’에 있는 몸: 자기만족
‘밖’에 있는 몸: 타자의 시선
‘안과 밖’의 상호작용 아래의 몸: 신체자본
5. 보디빌딩하는 몸의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시선
타자지향적 주체로의 회귀
자아-타자의 경계 허물기
신체자본의 획득에서 체험으로 전환
6. 맺는말
참고문헌
제2장. 도가사상의 신체관과 현대 스포츠문화 비판
1. 개관
2. 도가사상
道
自然과 無爲
氣
逍遙遊
3. 도가사상에 근거한 신체관
생명유지 신체관: 道
자연무위적 신체관: 無爲
기화론적 신체관: 氣
$4. 도가사상을 통한 현대 스포츠문화 비판
스포츠문화와 道
스포츠문화와 無爲
스포츠문화와 逍遙
5. 맺는말
참고문헌
제3장. 스포츠 세계화의 비판적 지형과 뉴 패러다임
1. 개관
2. 스포츠 세계화의 맥락
스포츠 세계화의 개념과 이론적 구조
스포츠 세계화의 이론적 구조
신자유주의와 스포츠 세계화
스포츠 세계화 해독의 새로운 프레임
3. 스포츠 세계화 담론의 비판적 지형
경제적 세계화와 스포츠
정치적 세계화와 스포츠
문화적 세계화와 스포츠
4. 스포츠 세계화의 뉴 패러다임
경제적 공동체주의 형성
생태정치학의 적용
세계시민주의의 확산
5. 맺는말
참고문헌
책속에서
운동하는 몸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다각도로 탐구하고 있다. 철학의 근간이 반성과 비판이듯이 저자들은 운동하는 인간의 몸을 대상으로 그 의미를 찾고, 행위에 따른 반성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운동하는 몸의 의미와 정체성을 동양과 서양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관점에서 스포츠 세계화의 지형과 패러다임을 탐색하고 있다. 보디빌딩 하는 몸의 의미와 주체성, 도가사상을 바탕으로 한 신체관과 현대 스포츠문화에 대한 비판, 스포츠 세계화에 대한 비판적 지형과 뉴 패러다임 제시 등으로 구성되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