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75815720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8-03-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연구의 의의와 대상
제2장 주요 개념과 선거 연합 유형
선거 연합의 개념과 유형
정당 체제의 개념과 유형
제3장 선거 연합 연구의 검토와 이론 재구성
선거 연합 연구의 검토와 이론 분류
정치 제도 접근론의 내용과 한계
유권자 접근론의 내용과 한계
연합 행위자 접근론의 내용과 한계
메타 이론의 시론(試論)적 재구성
제4장 선거 제도, 정당 체제와 선거 연합
선출 방식에 따른 선거 제도의 특징
비례 대표제의 다당제 촉진 효과?
선거 제도 효과에 대한 선거 연합의 영향
요약과 함의
제5장 한국의 대선과 선거 연합
대선 선거 연합의 역사와 선행 연구
최초의 선거 연합 ‘DJP 연합’의 형성과 결과
반공 보수적 지역주의 정당 체제와 선거 연합 회피 요인의 변화
공직 추구와 전선 전략의 지역 연합으로서의 DJP 연합
노무현-정몽준 연합과 이후 선거 연합의 시도와 실패
반공 보수적 지역주의 정당 체제의 해체와 선거 연합 촉진 요인의 변화
공직 추구와 전선 전략의 지지층 연합으로서의 노무현-정몽준 연합
요약과 함의
제6장 한국의 총선과 선거 연합
반공 보수주의 카르텔 정당 체제의 해체와 선거 연합의 효과
중도화에 따른 삼각 구도 변화와 선거 연합의 효과
지역주의 카르텔 정당 체제의 약화와 선거 연합의 효과
요약과 함의
제7장 독일의 선거 연합: 서독과 통일 독일
선거 연합의 형성과 유형
선거 연합의 목표와 전략
선거 연합 회피 및 촉진의 제도적·구조적 요인
선거 연합 회피 및 촉진의 행위자적 요인
요약과 함의
제8장 프랑스의 선거 연합: 제5공화국을 중심으로
절대 다수 대표제의 도입과 선거 연합의 형성
제5공화국 선거 연합 정치의 변화
정당의 수와 규모에 따른 선거 연합 정치의 전개
정당들 간 이념 및 정책의 거리에 따른 선거 연합 정치의 전개
요약과 함의
제9장 이탈리아의 선거 연합: ‘제2공화국’을 중심으로
다수 대표제의 도입과 선거 연합의 형성
전면 비례 대표제 재도입과 선거 연합 정치의 변화
정당의 수와 규모에 따른 선거 연합 정치의 전개
이념 및 정책의 거리에 따른 선거 연합 정치의 전개
요약과 함의
제10장 국가별 특징과 선거 연합 정치의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
표 차례
그림 차례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선거 연합이 자주 등장하지 않았다. 하지만 단순 다수제를 근간으로 하면서도 지역주의가 심한 상황에서 선거 연합은 언제든 다시 등장할 수 있다. 물론 지역주의가 점차 약화되고 비례 대표제 확대가 공론화되고 있어 새로운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사례를 볼 때 다당제가 존재하고 양대 정당 간 정권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는 조건이 생겨나지 않는 한 선거 연합은 필연적 현상이 될 수밖에 없다. 선거 연합은 선거 이전에 결성되어 유권자들로부터 선택받는다는 점에서 통치 연합보다 대의 민주주의와 선거 제도의 취지에 더 적합하다. 그러나 후보 공천을 비롯해 공약과 정책 등을 타협하며 절충하는 과정은 유권자들로부터 직접 선택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은 일정하게나마 유권자의 선택을 제한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부정적 요소들은 물론 유권자의 선택과 심판에 따른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유권자들의 책임으로 귀결된다. 하지만 선거 제도나 정당 조직처럼 선거 연합도 법과 제도적 장치를 통해 그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고 긍정적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탈리아에서 선거 연합을 정당과 동일한 행위자로 인정하고 독일과 네덜란드 등지에서도 정당 외 다양한 조직들이 큰 차별 없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한 것이 그 예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