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

강정석, 권호창, 김내훈, 김상민, 김성윤, 김현우, 박영균, 배주연, 서동진, 손희정, 신유아, 신현우, 이광석, 이동연, 이동윤, 이원재, 이창우, 정병기, 정정훈, 조형근, 최진석, 하승우 (지은이)
문화과학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20,7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070원
18,6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7305216
· 쪽수 : 383쪽
· 출판일 : 2022-03-25

책 소개

철학·정치경제학·사회학·문화연구·영화이론·문학·페미니즘·생태주의 문화운동 등 방대한 영역을 아우르는 진보진영의 현실진단과 전망을 담았다.

목차

책을 내며 / 이동연·하승우 ·5

제1부: 이론과 실천의 궤적들

세상과 자기 삶의 해방을 기획하는 항구적 발명가: 심광현의 이론-실천의 궤적들/ 이동연 ·17

한국 문화운동의 궤적과 전망―문화사회의 관점에서, 2000년 이후 한국 문화운동을 중심으로/ 이원재 ·40

제 2부: 역사, 기술, 운동의 절합

역사와 철학

해방이념으로서의 맑스의 ‘과학’,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가?/ 박영균 ·59

다시, 상품화에 관하여/ 서동진 ·76

새로운 대중의 등장과 포퓰리즘/ 정병기 ·90

2세대 인권운동의 사회권 담론과 그 이론적 기반의 동요/ 정정훈 ·103

탈경계와 이행의 문화정치학: 미하일 바흐친의 민중-이미지/ 최진석 ·121

테크놀로지와 문화

자동화 사회 속 플랫폼과 인간/ 김상민 ·139

팬데믹 시대 기술 욕망과 생태정치학/ 이광석 ·154

인공지능 자본주의의 기술정치: 인간-비인간 노동의 신경망 분업과 새로운 적대/ 신현우 ·166

전산적 방법으로서의 서사텍스트 분석하기―방법론과 의미/ 권호창 ·181

현실문화와 사회

사회적 혁신인가, 어떤 혁신인가―포스트모더니티와 신자유주의 이후의 사회 만들기/ 김성윤 ·202

뉴미디어 시대 자본주의 리얼리즘과 유쾌한 저항/ 김내훈 ·224

제3부: 현장 실천과 비평의 지형들


영화이론과 한국영화

웨스턴 장르의 전지구적 횡단과 변용: <바람같은 사나이> (1968)/ 하승우 ·241

급변하는 매체 변화 속에서 관객의 마음을 붙잡는 방법/ 이동윤 ·256

우리는 기생충인가 계급인가?: <기생충>(봉준호, 2019)에서 구조와 행동의 악순환/ 이창우 ·270

넷플릭스 TV 드라마 <지옥>과 불확실성의 시대 ‘정치’의 의미/ 배주연 ·285

페미니즘, 적녹보라 연대

다시, 물질: ‘디지털 페미니즘’이라는 정치적 기획에 대한 노트/ 손희정 ·298

기후위기와 적녹보라 변혁의 존재론/ 김현우 ·316

일상과 변혁

어쩌다 공동체에서 살기 또는 숨기: 전환, 원환, 순환/ 조형근 ·332

운동과 실천

심광현의 교육적 실천의 궤적과 전망: 스토리텔링, 지식순환, 인간혁명/ 강정석 ·347

현장·민중 예술행동의 어제와 미래/ 신유아 ·368

저자소개

정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과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강의교수(2004∼2007) 및 연구교수(2007∼2009)를 역임했다. 시인 및 영화평론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포퓰리즘』(2021), 『정당체제와 선거연합: 유럽과 한국』(2018), 『표준의 통합 효과와 표준화 거버넌스』(2016) 등 50여 권의 정치학 단행본과 『엔딩 크레디트』(2024) 등 5권의 시집, 『사랑과 예술, 아모르파티』(2023) 등 2권의 영화평론·분석집이 있으며, 1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조형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자. 늦은 나이에 정규직(한림대) 교수가 되었으나 적성을 찾아 사직하고, 파주 교하의 협동조합 책방에서 집필과 강연에 전념하고 있다. 동네살이의 일환으로 합창단과 미얀마연대 활동에도 참여 중이다. 제국과 식민지 사이를 헤쳐나간 사람들의 삶, 사랑과 상처에 관심을 기울여온 역사사회학자이기도 하다. 저서로 《우리 안의 친일》 《나는 글을 쓸 때만 정의롭다》 《키워드로 읽는 불평등사회》, 공저로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식민지의 일상》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등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테크놀로지, 사회, 생태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 비평 및 저술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전공 교수이며,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문화 연구, 커먼즈, 플랫폼,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 사회 등에 걸쳐 있다. 《디지털 폭식 사회》, 《피지털 커먼즈》, 《포스트디지털》, 《디지털의 배신》, 《데이터 사회 미학》, 《데이터 사회 비판》, 《뉴아트행동주의》, 《사이방가르드》, 《디지털 야만》, 《옥상의 미학 노트》, IT development in Korea: A Broadband Nirvana?를 썼다. 직접 기획하고 엮은 책으로 《불순한 테크놀로지》,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사물에 수작 부리기》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국내외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광석의 다른 책 >
김현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탈성장과 대안 연구소 소장.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진보신당 정책연구원,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으로 활동하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연구와 실천에 매진해 왔다. 지금은 <탈핵신문> 이사장으로 신문 발간을 돕고, 기후 위기를 알리는 교육과 탈성장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안토니오 그람시』 『정의로운 전환』 『착한 에너지 나쁜 에너지 다른 에너지』(공저) 『탈핵』(공저), 옮긴 책으로 『녹색 노동조합은 가능하다』 『GDP의 정치학』 『적을수록 풍요롭다, 미래는 탈성장』(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술, 미디어, 예술의 접점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비)인간의 삶에 관심을 기울이는 문화연구자다.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문화연구 박사학위를 받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로 일하고 있다. 《문화과학》 편집위원, 한국문화연구학회와 캣츠랩의 운영위원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디지털 자기기록의 문화와 기술》, 《큐레이팅 팬데믹》(공저), 《서드 라이프》(공저), <사회적 참사와 사물의 정치>, <디지털 리터러시의 위기와 교양교육의 새로운 과제>, <신체, 어펙트, 뉴미디어>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민의 다른 책 >
정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이자 계간 『문화/과학』 편집위원이며, 한국예술종합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와 인권의 정치 사이에서 정치철학, 인권 운동, 문화 정치 등을 연구한다. 변혁 현장의 실천과 아카데미의 숙고가 접맥되는 지점에서 책을 읽고 글을 쓰고자 한다. 지은 책으로 『인권의 전선들』, 『인권과 인권들』, 『군주론, 운명을 넘어서는 역량의 정치학』, 『재난 이후, 사회』(공저),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강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전문사과정을 졸업했다. 영화감독을 꿈꾸며 연출부 생활을 하다 우연한 계기로 영상문화비평 및 대안고등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어 관련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다. 하자센터 협력기획팀, 경기문화재단 다사리문화기획학교의 멘토로 활동했다. 현재 《문화/과학》 편집위원, <대안대학 지순협>의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노오력의 배신』(공저, 2016), 『미래교육의 열쇠, 창의적 문화교육』(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성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 융합지식과사회연구소 전임연구원. 이데올로기와 감정,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대중문화와 문화변동 등을 연구하고 있다. 문화이론 전문지 『문화/과학』편집위원, 문화연구학회 및 비판사회학회 운영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문화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한 바 있다. 『18세상』(2014), 『덕후감』(2016) 등의 저서가 있고, 「우리는 차별을 하지 않아요: 진화된 혐오 담론으로서 젠더 이퀄리즘과 반다문화」(2018), 「플랫폼과 ‘소중’: 생산과 소비의 경합이라는 낡은 신화의 한계상황」(2017) 등의 글을 썼다.
펼치기
손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비평가. ‘개입’과 ‘도전’을 겁내지 않는 실천적 지식인. 미디어 연구×영상문화기획 단체 프로젝트38 멤버. 2010년대 중반 한국의 페미니즘 대중화 현상을 ‘페미니즘 리부트’로 정의한 주인공. 최근작 『손상된 행성에서 더 나은 파국을 상상하기』로 페미니즘 인식론의 깊이와 넓이를 보여 주었다.
펼치기
손희정의 다른 책 >
하승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영화와 영화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해왔고, 특히 세계체계의 맥락에서 한국영화의 형세를 살펴보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다. 언젠가 영화이론에 관련된 저서와 1970년대 초중반에 제작된 임권택의 영화에 대해 글을 쓸 계획을 세우고 있다. 《문화/과학》 편집위원이며 2022년부터 한국문화연구학회 학회장을 맡고 있다. 《라캉과 한국영화》(2008), 《한국영화, 세계와 마주치다》(2018),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2022) 등을 함께 썼다. 최근에 쓴 글로는 〈‘메드베드킨 집단’과 러시아혁명의 영화적 기억〉 〈어긋난 전쟁의 기억: 〈증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삶과 생태사회주의〉 〈객체지향 존재론: 밋밋한 존재론인가 대상지향 존재론인가〉 〈좌파 포퓰리즘을 둘러싼 몇 가지 질문들: 이론과 쟁점〉 〈Global Solidarity between Gwangju and Buenos Aires: Good Light, Good Air(2021)〉 등이 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신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마르크스주의의 시각에서 기술과 문화, 예술을 탐구하는 문화연구자다. 대학에선 문학과 영화를 전공했다. 연구자가 된 후에는 기술비판이론과 미디어 정치경제학을 공부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플랫폼·인공지능·블록체인·게이밍 영역에 펼쳐진 자본주의 기술과 인간 노동이다. 《사물에 수작부리기》, 《게임의 이론》, 《위기와 성찰의 뉴노멀 시대》, 《인공지능, 플랫폼, 노동의 미래》 등을 썼다. 《문화/과학》의 편집위원이며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과학기술사회,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디지털과 예술에 대해 강의한다.
펼치기
신현우의 다른 책 >
권호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연구교수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스토리 생성 시스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고, 한국과학기술원 지식서비스공학과에서 “정보처리 관점에서의 내러티브 창작 지원 시스템 모델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 논문으로는 “An information-theoretic evaluation of narrative complexity for interactive writing support”(2016,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An improved method of character network analysis for literary criticism: A case study of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서사 해석 방법론 관점에서 프레드릭 제임슨의 『정치적 무의식』 다시 읽기”(2022, 한국예술연구) 등이 있으며, 한국HCI 학회에서 발표한 “독자의 내러티브 이해를 반영한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는 2015 한국HCI 학술대회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공저로 『서드라이프?기술혁명시대 새로운 라이프스타일』(2020, 커뮤니케이션북스),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2022, 문화과학사)가 있다. 인문학, 예술, 과학기술이 통섭되는 ‘이야기’라는 플랫폼에 관심을 두고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김내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극우화의 물결에 맞서는 담론 전략을 구상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민주주의 위기 상황에서 시민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고민한 글을 여기저기 기고하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미디어문화연구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보수 진영의 담론 공세를 분석하는 박사논문을 쓰고 있다. 《프로보커터》와 《급진의 20대》, 《에르네스토 라클라우》(공저), 《우리 안의 파시즘 2.0》(공저), 《자유로운 개인 들의 연합을 향하여》(공저)를 썼고, 《인싸를 죽여라》를 번역했다.
펼치기
배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연구자.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및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겸임교원. 대학과 대학원에서 수학, 정치학, 영화이론, 영화사, 문화영상미디어학을 공부하였다. 현재는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가 기억의 문제를 다루는 방식에 관해 연구하며, 아시아영화들이 표상하는 국가 폭력과 식민의 기억, 포스트메모리와 젠더, 기억의 정치 등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저서 : Competing Memories of the Gwangju Uprising and Democratization in Post-Cold War Korea (근간, 편저),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향하여』(2022, 공저), 『연구자의 탄생』(2022, 공저), Korean Screen Cultures : Interrogating Cinema, TV, Music and Online Games (2016, 공저), 『단편영화를 말하다』(2009, 편저)
펼치기
신유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연대
펼치기
이동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화 연출, 시나리오, 영상문화이론을 전공했다. CGV 아트하우스 큐레이터, 춘천SF영화제 프로그래머를 역임했으며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와 『한국퀴어영화사』, 『한국트랜스젠더영화사』, 『한국레즈비언영화사』를 공동으로 책임편집 했다. 현재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며 영화평론을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이원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운동, 문화연구, 로컬기획 등을 연결하며 문화연대, 공유성북원탁회의, 제철수박, 경희사이버대학교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문화와 예술의 차원에서 사회정책, 로컬리티, 기후위기, 커먼즈 등을 연구하고 강의한다. * 최근작 :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을 위하여》, 《문화와 예술, 마을을 만나다》, 《문화과학 101호 - 2020. 봄》, 《문화과학 100호 - 2019. 겨울》, 《청춘의 발견》, 《좌파가 미래를 설계하는 방법》
펼치기
이창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평론가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