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75815935
· 쪽수 : 311쪽
· 출판일 : 2019-06-15
책 소개
목차
제1부 언어 상 범주
제1장 상 정의
1.1.1 王力, 吕叔湘, 高明凯의 정의
1.1.2 Randolph Quirk와 Bernard Comrie의 정의
1.1.3 우리의 정의
제2장 사건(Event)
1.2.1 시제(Tense) 의미와 상(Aspect) 의미
1.2.2 동적(dynamic) 사건과 정적(static) 사건
1.2.3 완료(perfective) 사건과 미완료(imperfective) 사건
제3장 상황과 동사 분류
1.3.1 상황의 개념
1.3.2 동사 상황 유형
1.3.3 문장 상황 유형(situation type)
제4장 세 쌍 의미자질(semantic feature)
1.4.1 지속과 순간
1.4.2 완성(accomplishment)과 비완성
1.4.3 동적상태(dynamic)와 정적상태(static)
제5장 상 형식과 상 의미
1.5.1 상 형식의 여러 견해
1.5.2 2대분류 6 소분류 상 체계
1.5.3 시제(Tense)
제2부 완료상(Perfective Aspect)
제0장 서론
제1장 현실상[现实体] 了
2.1.1 ‘了’의 동적 상태성
2.1.2 ‘了’의 완료성
2.1.3 ‘了’의 현실성
제2장 경험상[经历体] 过
2.2.1 경험상 형태‘过’
2.2.2 ‘过’의 동적 상태성
2.2.3 ‘过’의 완료성
2.2.4 ‘过’의 경험성(experience)
제3장 잠시상[短时体] 동사 중첩
2.3.1 동사 중첩
2.3.2 동사 중첩의 동적 상태
2.3.3 동사 중첩의 완료성
2.3.4 동사 중첩의 잠시성
제3부 미완료상(Imperfective Aspect)
제0장 서론
제1장 지속상[持续体] 着
3.1.1 ‘着’의 미완료성
3.1.2 ‘着’의 지속성
3.1.3 ‘着’의 동적/정적 이중성
3.1.4 문장 속‘着’와‘了’
제2장 시작상[起始体] 起来
3.2.1 ‘起来’소개
3.2.2 ‘起来’의 동적 상태
3.2.3 ‘起来’의 사건 시작
3.2.4 문장 속‘起来’의 변이체
3.2.5 ‘起来’와‘了’의 공기(共起)
제3장 계속상[继续体] 下去
3.3.1 ‘下去’ 소개
3.3.2 ‘下去’의 동적 상태
3.3.3 ‘下去’와 사건 분해
3.3.4 ‘下去’와‘了’의 공기
제4장 결론
제4부 순간 동사
제0장 서론
제1장 ‘着’와 공기하지 않는 순간 동사
제2장 ‘着’와 공기하는 순간동사
제3장 순간 동사와 순간사건을 나타내는 문장
제5부 현실상‘了’의 미래 표시
제0장 서론
제1장 단일 사건 문장
제2장 연속 사건 문장
제3장 조건문
제4장 참조 시간
제6부 ‘着’와‘了’의 호환[互换]
제0장 서론
제1장 교체[替换] 실험
제2장 변환[变换] 실험
제3장 첨가 실험
제4장 결론
제7부 赣语 泰和 방언의 완성상[完成体]
제0장 서론
제1장 실현 의미‘矣’
제2장 완결 의미‘刮’
제3장 ‘실현+완결’의미‘改’
제4장 의문 형식‘阿能’과 부정 형식‘呒能’
책속에서
戴耀晶 선생의 대표적 저작인 ‘现代汉语时体系统研究’는 새로운 이론을 도입했고 분석 방법도 독특했으며 언어 현상에 대한 관찰도 대단히 촘촘했다. 당시 중국은 상 체계 연구가 ‘了, 着, 过'의 통사 위치에 대한 묘사에 머물렀고, 동사의 범주에 국한되어 논의되었다. 그래서 많은 문제들이 이론적 토대 위에서 체계적으로 설명되지 못했다. 이 책은 통사 사건이라는 각도에서 접근하여‘상은 시간 과정 속의 사건 구성 방식’이라는 관점을 제기하며 상 의미가 동사가 아닌 문장에 속한 개념임을 증명하였다. 이런 관점과 중국어 상 체계는 상당히 새로운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