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와 주역

불교와 주역

하금화 (지은이), 정병석, 김대수 (옮긴이)
영남대학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와 주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와 주역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5818400
· 쪽수 : 397쪽
· 출판일 : 2021-05-10

책 소개

불교는 중국으로 전래된 이후 기존의 대표사상인 유학과 서로 대립되고 융합되면서 끊임없이 변모했다. 이 과정에서 유학 가운데 우주론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요소가 풍부한 주역과의 만남은 자연스런 결과였다. 이 책은 동양의 대표사상인 유학과 불교가 상호 교섭하며 발전해 온 과정을 다루고 있다.

목차

Ⅰ. 불학佛學과 역학易學의 교섭交涉
1. 격의格義를 통한 불교와 주역의 연결
2. 불경을 위조하여 불교와 주역의 일치一致를 선양宣揚함
3. 제왕, 관료 및 사대부의 참여

Ⅱ. 선학禪學과 역학易學

1. 희천希遷의 『참동계參同契』와 위백양魏伯陽의 『참동계』
2. 조동종曹洞宗의 형성과『주역』괘효卦爻의 인연因緣
3. ‘십육자게송十六字偈頌’ 비의秘義의 쟁론과 그 득실
4. ‘십육자게’쟁론의 오류 분석과 조동종 역학이 후대 선종에 끼친 영향
5. 명말明末 유불관계와 『주역선해周易禪解』
6. 선종禪宗의 도상圖象과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太極圖』

Ⅲ. 화엄학華嚴學과 역학易學

1. 이통현李通玄의 『신화엄경론』의 역학사상
2. 징관澄觀과 『화엄경수소연의초華嚴經隨疏演義鈔』
3. 종밀宗密의 『주역』을 통한 불교 해석 사상의 경위

Ⅳ. 밀교密敎와 역학易學

1. 일행一行의 일생과『주역』의 점占
2.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와‘낙서洛書’의 방위
3. 대흥선사大興善寺와〈건괘乾卦〉의 효상爻象

Ⅴ. 유식학唯識學과 역학易學

1. 장태염章太炎의 역학사상
2. 역리易理와 불법佛法
3. 웅십력熊十力의 『신유식론新唯識論』

부록
주요 참고서목主要 參考書目
『불교와 주역』해제

색인

저자소개

하금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2월 절강성 건덕建德에서 태어났다. 1987년 상해불학원, 1993년 상해사회과학원연구생부를 졸업했다. 1994년『상해종교지. 불교권』에 편집인으로 초빙되었고, 현재 상해사회과학원철학연구소에 재직하고 있으며 보조연구원과 불교연구중심부비서장이다. 일찍이『중화역학대사전』조목條目을 집필했으며, 저서로는 『금강정경일일수숩밀법지지남』, 『정안고사』, 『隋唐佛學硏究』 등이 있다. 이외 홍콩, 대만, 싱가폴과 내륙에서 발표한 불학논문 약 20편이 있다.
펼치기
정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1년 영남대학교와 1983년 영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마치고, 1990년 타이완의 중국문화대학 철학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낸 후, 영남대학교 철학과에서 2022년까지 재직하였다. 현재는 영남대의 명예교수와 중국의 곡부(曲阜)사범대학 동아시아주역연구소의 객좌(客座)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주역학회 회장, 새한철학회 회장과 국제주역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주역(周易)과 유학 및 중국현대철학 등이다. 저술로는 『유학, 연속성의 세계와 철학』,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주역』(상·하) 등이 있고, 『주역철학의 이해』, 『중국고대사상사론』, 『인륜과 자유』, 『중국철학특강』(공역), 『불교와 주역』(공역), 『고대 종교와 윤리』(공역), 『원전으로 만나는 한계 이승희(대계집/한계유고집선역)』(공역) 외 다수의 번역서가 있다.
펼치기
김대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영문과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대학원 통합과정을 수료하고 영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 철학과 겸임교수로 있다. 오늘날 사회에서 동양적 가치는 무엇이며, 현대적 시각에서 동양철학의 여러 문제들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 분야에 연구와 글쓰기를 집중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동양철학의 인식과 실재』,『웅십력의 체용론』,『언어와 세계 간의 역설 구조』, 『서세동점 위기 속에서 근대유학의 환골탈태』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전통 중국 학술사에 두각을 보인 천재적인 고승(高僧)이나 사대부들이 늘 손에 가지고 놀았던 두 가지의 골동품이 있었는데, 전통적인『주역周易』과 바깥에서 들어온 불학(佛學)이었다. 이 둘은 오랫동안『주역』으로 불교를 해석하거나 불교로『주역』을 탐구하였다. 고승들은『주역』으로 사대부들을 끌어들여 불교를 전파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 사대부들은 불교의 개념과 분석법으로 유가의 책을 자세하게 해석하여 『주역』의 내용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런 교류를 통해 상호 간의 공통점을 찾아내고, 다른 의견을 인정함으로써 하나의 특수한 학문 체계를 만들었다. 이 책은 천 년 동안 전해 내려온 일련의 공안(公案)들을 오래된 종이 더미 속에서 하나하나 정리하고 가감(加減)하여 불교와 『주역』이 교섭하며 발전해온 양상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