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5819629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4-09-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인간관계의 이해
1장 인간관계의 의미
1. 인간관계의 개념
1) 인간관계의 일반적 개념
2) 인간관계의 학술적 개념
2. 인간관계의 본질 및 특성
1) 인간관계의 본질
2) 인간관계의 특성
3. 인간관계의 발전과 해체
1) 인간관계의 발전
2) 인간관계의 심화
3) 인간관계의 해체
2장 인간관계의 중요성 및 유형
1. 인간관계의 중요성
1) 인간관계와 생존
2) 인간관계와 자아 형성
3) 인간관계와 성공
4) 인간관계와 행복
5) 인간관계와 조직의 효율성
2. 인간관계의 유형
1) 인간의 발달 단계와 인간관계 유형
2) 해리스의 인간관계 유형
3) 키슬러의 인간관계 유형
4) 클라크와 밀스의 인간관계 유형
5) 피스크의 인간관계 유형
3장 인간관계의 사회학적 이해
1. 기능주의
1) 근대사회의 질서에 대한 사회학적 기본 이해
2) 인간관계의 기능주의적 해석
3) 기능주의의 한계와 신기능주의의 등장
2. 갈등이론
1) 갈등이론이 등장하게 된 배경
2) 랄프 다렌도르프의 변증법적 갈등이론
3) 루이스 코저의 갈등 기능주의
4) 현대사회의 인간관계에서 갈등의 의미
3. 상징적 상호작용
1)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의 등장 배경
2) 갈등하는 자아와 공동체의 일반화된 타자
3) 현대사회에서의 인간관계
4. 사회현상학과 생활세계
1) 개인의 주관성에 의해 창조되는 인간관계
2) 일상생활 세계에서의 상호주관성
3) 인간의 해방적 가능성을 보여주는 현상학적 사회학
5. 체계이론(니클라스 루만)과 인간관계
1) 차이를 만드는 커뮤니케이션
2) 인간을 연결시켜주는 사회적 체계들
3) 인간관계에서 축소되는 개인의 행위의미
6. 인간관계에 대한 의사소통행위이론(위르겐 하버마스)의 이해
1) 상호이해를 위한 의사소통
2) 상호이해를 방해하는 사회병리적 현상
3) 재강조되는 공론장의 의미와 현실적 한계
7. 권력이론과 인간관계
1) 인간의 기본욕구인 권력
2) 구조화된 권력에서 인간관계
3) 해체를 주장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인간관계
8. 경제학 모델과 사회이론의 결합: 합리적 선택이론, 게임이론, 사회 연결망이론
1) 합리적 선택이론의 등장과 사회학의 수용
2) 게임이론과 죄수의 딜레마
3) 사회 연결망 이론
2부 일상 속의 인간관계
4장 인간관계의 주체
1. 나는 누구인가?
1) 자아개념의 정의
2) 자아개념의 기능과 발달
3) 자아개념의 유형
4) 건강한 자아개념 형성 방법
2. 나의 성격은 어떠한가?
1) 성격의 개념
2) 성격의 구성요소
3) 성격유형
4) 건강한 성격의 특징
5) 건강한 성격 형성을 위한 노력
5장 친구와의 인간관계
1. 친구관계의 정의와 특징
1) 친구관계의 정의
2) 친구관계의 특징
2. 친구관계의 기능과 유형
1) 친구관계의 기능
2) 친구관계의 유형
3. 친구관계의 변화
1) 아동기
2) 청소년기
3) 성인 초기 및 중년기
4) 노년기
4. 친구관계의 발전과 해체
1) 친구관계의 발전
2) 친구관계의 해체
5. 효과적인 친구관계의 전략
6장 가족 내의 인간관계
1. 가족관계
1) 가족의 기능
2) 가족의 다양한 형태
3) 가족관계의 특성
2. 부부 간의 인간관계
1) 부부관계의 형성
2) 부부관계의 적응 및 역할
3) 부부의 의사소통
4) 성공적 부부관계
5) 부부관계의 해체 및 심화 요인
3. 부모-자녀 간의 인간관계
1) 부모-자녀관계의 특성
2) 부모-자녀 간 중요 갈등 요인
3)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
4. 형제자매 간의 인간관계
1) 형제-자매관계의 특성
2) 형제자매 간의 주요 갈등요인
3) 형제자매의 상호작용
7장 직장 내의 인간관계
1. 진로 선택
2. 직장생활의 적응과 부적응
1) 직장에서 잘 적응하는 방법
3.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8장 소셜 네트워크(SNS)와 인간관계
1. 소셜 네트워크(SNS)의 의미
2. 소셜 네트워크(SNS)의 종류와 특성
1) 페이스북(Facebook)
2) 유튜브(YouTube)
3) 카카오톡(Kakao Talk)
4) 카카오스토리(Kakao Story)
5) 블로그(Blog)
6) 네이버 밴드(Naver Band)
7) 인스타그램(Instagram)
8) 쓰레드(Threads)
9) 엑스(X, Twitter)
3. 소셜 네트워크(SNS)와 사회심리적 효과
1) 긍정적 효과
2) 부정적 효과
4. 사이버 공간
1) 사이버 공간의 특징
2)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류
3)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관계 문제점
3부 인간관계의 기술
9장 인간관계의 갈등
1. 갈등의 개념과 과정
1) 갈등의 개념
2) 갈등의 과정(단계별 갈등)
3) 갈등의 원인
2. 갈등의 관리 유형
1) 회피형(avoiding)
2) 수용형(accommodating, 순응형)
3) 통합형(integrating, 협력형)
4) 경쟁형(competing)
5) 타협형(compromising)
3. 유형별 갈등관리
1) 개인 간 갈등관리
2) 조직 내 갈등관리
3) 집단 간 갈등관리
4. 갈등의 효과
1) 갈등의 순기능
2) 갈등의 역기능
3) 갈등의 부정적 견해 및 긍정적 견해
5. 갈등의 대처 및 해결방안
1) 갈등의 대처
2) 갈등의 해결방안
10장 인간관계와 스트레스
1. 스트레스의 이해
1) 스트레스의 어원
2) 스트레스(stress)의 개념 및 연관성
2. 스트레스의 원인
1) 스트레스의 생물학적 원인
2) 스트레스의 사회·심리적 원인
3) 스트레스의 성격학적 원인
4) 스트레스의 사회경제적 요인
5) 스트레스의 생활사건
6) 일상적 짜증거리
7) 만성적 긴장
3. 스트레스의 유형
1) 신체적 스트레스
2) 심리적 스트레스
3) 사회적 스트레스
4. 스트레스의 반응과 대응양식
1) 스트레스의 반응
2) 스트레스의 대응방식
5. 스트레스의 대처 및 해결방안
1) 스트레스의 대처
2) 스트레스의 해결방안
11장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1. 의사소통의 개념
1) 의사소통의 목적과 필요성
2) 의사소통의 기능
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1) 발신자(communicator)
2) 수신자(receiver)
3) 메시지(message)
4) 피드백(feedback)
3. 의사소통의 형태
1) 언어적 의사소통
2) 비언어적 의사소통
4. 의사소통의 이론
1) 사티어(Satir) 의사소통 이론
2) 에릭 번(Eric Berne)의 교류분석
5. 의사소통의 유형(네트워크)과 특징
1) 일방적 의사소통
2)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6. 의사소통의 장애와 원인
1) 왜곡
2) 조직 공동체의 환경
3) 여과
4) 정보의 과부하
5) 감정 상태
7. 효율적 의사소통 기술
1) 언어적 기술
2) 비언어적 기술
12장 공감(empathy)의 기술
1. 공감의 개념
2. 공감의 필요성
3. 공감의 수준
1) 공감 수준 1
2) 공감 수준 2
3) 공감 수준 3
4) 공감 수준 4
5) 공감 수준 5
4. 공감적 경청하기
1) 경청(listening)하기
2) 효과적인 경청 기술(아홉 가지)
5. 나 전달법(I-Message)
1) 나 전달법(I-Message)과 너 전달법(You-Message)
2) 나-전달법(I-Message)의 구성요소
3) 나-전달법 유의사항(여섯 가지)
6. 조하리의 창(Johari’s Window)
1) 공개적 영역(open area)
2) 맹목적 영역(blind area)
3) 비공개적 영역(hidden area)
4) 미지적 영역(unknown area)
13장 인간관계의 문제진단 및 대처
1. 현대사회와 인간관계
1) 만남에서 스침으로의 인간관계
2) 관계의 역설
2. 다양한 인간관계와 태도
1) 인간관계의 분류
2) 태도와 인간관계
3. 인간관계 진단
1) 바람직한 인간관계
2) 인간관계 분석
3) 인간관계 평가
4.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유형과 특성
1)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기준
2)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유형
3)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특성과 대처
5.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
1) 관계의 리더십
2) 이미지 관리와 자기개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