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7585591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2-06-30
목차
교사론에 대한 글을 내면서
머리말
Chapter01. 외국어 학습이론
1.1 행동주의(Behaviorism)
1.2 인지주의(Cognitive Psychology)
1.3 인본주의(Humanistic Approaches)
1.3.1 인본주의 이론
1.3.2 인본주의 대표 학자
1.3.2.1 ABRAHAM MASLOW(1908-1970)
1.3.2.2 ERIK ERIKSON(1902-1994)
1.3.2.3 CARL ROGERS(1902-1987)
1,3,2,4 GEORGE KELLY(1905-1967)
1.3.3 인본주의 이론의 의의 및 비판
1.4 구성주의(Constructivism)
1.4.1 인지적 구성주의
1.4.1.1 JEAN PIAGET(1896-1980)
1.4.1.2 JEROME BRUNER(1915-)
1.4.2 사회적 구성주의
1.4.2.1 LEV VYGOTSKY(1896-1934)
1.4.2.2 REUVEN FEUERSTEIN(1921-)
1.4.2.3 URI BRONFENBRENNER(1917-2005)
1.4.3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의 의의 및 비판
Chapter02. 외국어 교사교육 이론
2.1 교사 교육의 흐름
2.1.1 교사의 교수 전문성
2.1.1.1 교사가 필요한 지식
2.1.1.2 교사 전문성 기준
2.1.2 최근 교사교육의 경향
2.2 교사교육의 이론적 기반
2.2.1 인본주의 관점의 교사교육
2.2.2 구성주의 관점의 교사교육
2.3 교사교육 모형
2.3.1 장인 모형(Craft Model)
2.3.2 응용과학 모형(Applied Science Model)
2.3.3 성찰 모형(Reflective Model)
2.3.4 교사교육의 방향
2.3.4.1 구성주의적 접근
2.3.4.2 비판적 성찰(Critical Reflection)
Chapter03. 수업 장학과 수업 성찰
3.1 수업 장학
3.1.1 수업 장학 담당자와 교사
3.1.2 수업 장학 모형
3.1.2.1 Wallace(1991)의 모형
3.1.2.2 Freeman(1982)의 모형
3.1.2.3 Gebhard(1990)의 모형
3.1.3 효과적 수업 장학의 요인
3.2 수업 성찰
3.2.1 수업 보고서 및 성찰일지(Lesson Reports & Reflective Journal)
3.2.2 수업 관찰(Class Observation)
3.2.2.1 시스템에 의한 관찰(System-based Observation)
3.2.2.2 민속지학적 관찰(Ethnographic Observation)
3.2.2.3 특별목적 관찰(Ad-hoc Observation)
3.2.3 마이크로 티칭(Microteaching)
3.2.4 컨설팅 및 멘토링(Consulting & Mentoring)
3.2.5 현장 연구(Action Research)
3.2.6 교사평가
3.3 요약
Chapter04. 교사교육의 실제
4.1 의사소통중심 언어교수법
4.2 우리나라의 영어 교사교육
4.2.1 교사의 자질
4.2.2 교사양성 프로그램
4.2.3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4.3 핀란드의 교사교육
4.3.1 교사교육의 목표 및 특징
4.3.2 교사의 자질
4.3.3 교사양성 및 재교육
4.3.3.1 교직과정
4.3.3.2 교사 유형별 양성과정
4.3.3.3 교사 재교육 과정
4.3.4 요약
4.4 교사교육 관련 연구
4.4.1 주제별 분류
4.4.2 연구방법별 분류
4.4.3 요약
Chapter05.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