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참나무림의 식생관리

참나무림의 식생관리

가메야마 아키라 (지은이), 문석기, 이도한, 송호경, 박범진, 최광렬, 김진선 (옮긴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참나무림의 식생관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참나무림의 식생관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88975994951
· 쪽수 : 437쪽
· 출판일 : 2013-12-09

책 소개

우리 삶을 이롭게 하는 참나무 관리 지침서. 우리 주변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참나무림이 인간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바르게 조명한 책이다. 연료재로 밖에 대접 받지 못하던 참나무를 용재수로서 바라보고 무육 관리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목차

참나무림의 개설
참나무림의 개설 14

chapter Ⅰ 참나무림의 생태학
1. 농촌 생태계와 잡목림 22
1-1 농촌 생태계의 성립 22
1-2 농촌생태계의 변용 27
1-3 잡목림의 재평가 34
2. 잡목림의 종다양성 37
2-1 잡목림에 생육하는 식물의 풍부성 37
2-2 종의 다양성을 결정하는 요인 39
2-3 잡목림의 재평가 34
2-4 잡목림의 관리와 종의 다양성 45
3. 일본의 잡목림의 분류와 분포
3-1 일본의 이차림의 종류와 분포 48
3-2 이차림의 분포 요인 52
3-3 잡목림의 종 조성에 기초를 둔 분류와 그 특징 55
3-4 잡목림의 식생학적 가치 68
4. 잡목림의 물질 순환 70
4-1 잡목림의 물질 생산 71
4-2 잡목림에 있어서의 물질 순환 75
5. 잡목림의 생물 계절과 군락의 동태 86
5-1 생물 계절의 조사 86
5-2 조사의 목적 87
5-3 온대 낙엽 활엽수림의 생물 계절 89
5-4 목본 식물의 생물 계절 90
5-5 개화기의 특성 94
5-6 생물 계절로 본 식물 군락의 동태 98
6. 잡목림 매토종자의 발아 특성과 종조성 102
6-1 매토종자의 발아 특성 102
6-2 매토 종자의 종 조성 106
6-3 개벌이 개화 결실에 미치는 영향 108
7. 졸참나무의 종생태
7-1 개화에서 결실까지 113
7-2 졸참나무의 종자 생산량 117
7-3 졸참나무의 발아와 실생의 확립 118
7-4 임상에 있어서의 실생의 생존 120
7-5 졸참나무의 성장 특성 122
8. 잡목림 임상식물의 다양성과 종생태
8-1 풍부한 임상식물 식생과 종 생태 124
8-2 임상식물의 생활사와 환경 125
8-3 임상식물의 풍부한 잡목림을 위해서 142
9.곤충의 종생태
9-1 수액에 모이는 종류와 그 행동 생태 144
9-2 잡목림을 생활권으로 하는 곤충의 생태 153
10. 들새의 종생태
10-1 계절의 변화와 조류 163
10-2 잡목림의 구조와 조류 172
10-3 잡목림의 관리와 조류 183
11. 포유류의 종생태 185
11-1 포유류의 거주지로서의 잡목림 186
11-2 포유류와 잡목림의 상호관계 193

chapterⅡ 참나무림의 식생관리기술
1. 식생 계획과 식생 관리 계획 212
1-1 계획의 목적 212
1-2 협력 215
1-3 식생계획 217
1-4 식생 관리 계획 218
1-5 식생 관리 계획의 정리 221
2.잡목림의 갱신기술 223
2-1 잡목림의 갱신 223
2-2 결실과 조자 산포의 생태 227
2-3 갱신의 기술 231
2-4 다양한 생물상의 보전을 고려한 갱신 기술 238
3. 임상 관리와 밀도 관리 241
3-1 하예작업과 낙엽채취 241
3-2 야생풀꽃ㆍ화목의 육성 249
3-3 잡목림의 소동굴 261
4. 잡목림의 조성 274
4-1 잡목림의 조성 경과 274
4-2 잡목림의 조성 방법 276
4-3 조성 후의 모니터링 284
4-4 잡목림 조성의 미래 286

chapter Ⅲ 참나무림과 인간 생활
1. 잡목림의 역사와 문학 288
1-1 농가와 산의 관계 288
1-2 낙엽채취 290
1-3 장작 패기 295
1-4 숯불 굽기 300
1-5 산림육성 303
2. 잡목림의 환경 교육 306
2-1 환경교육의 무대로서의 잡목림 306
2-2 잡목림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309
2-3 미래의 잡목림과 환경 교육 325
3. 잡목림의 시민 참가형 식생관리 328
3-1 잡목림과 관련하는 성취감 331
3-2 식생 관리에의 시민 참가 332
3-3 식생관리에서 시작하는 시민자치 333
3-4 시민 자치를 촉진하기 위한 유의점 335
4. 세계의 잡목림 338
4-1 살아있는 잡목림 338
4-2 잡목림 갱신의 차이 343
4-3 아시아의 연료림 346
4-4 중부 유럽의 연료림 349
4-5 아프리카의 연료림 352

chapterⅣ 식생관리의 사례집
1.도립 공원의 잡목림의 식생 관리 356
서론 356
1-1 도쿄부의 구릉지공원 356
1-2 식생관리의 목적 357
1-3 구릉지 공원의 잡목림의 식생관리 357
1-4 식생 관리의 목적의 변화 362
2.자치제가 하는 식생관리 364
2-1 잡목림의 실태와 식생 관리의 과제 364
2-2 잡목림의 식생 관리방안 368
2-3 식생 관리의 실제 372
2-4 향후의 과제 383
3. 골프장의 잡목림 385
3-1 골프장의 랜드스케이프 385
3-2 골프장의 건설에 관한 법적 규제 387
3-3 골프장의 잡목림의 유형과 기능 390
3-4 골프장 잡목림의 보전과 관리 393
4. 교육과 잡목림 399
4-1 학교 교육의 장소 400
4-2 생애 학습의 장소 407
5. 건축 외부 공간의 잡목림 417
5-1 외부 공간의 특성 417
5-2 외부 공간과 잡목림 419
5-3 잡목림의 이용한 외구(外構) 420
6. 고카이가와의 강가 숲 428
6-1 강가의 잡목림의 모습 428
6-2 레드 데이터 식물들의 보고 430
6-3 Rhododendron pulchrum의 숲 433
6-4 숲을 지키는 사람들의 고리 435

저자소개

가메야마 아키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농공대학 명예교수
펼치기
문석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ㆍ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서울대학교 농학박사)
펼치기
이도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ㆍ금강유역환경청 연구원(충남대학교 농학박사)
펼치기
이도한의 다른 책 >
송호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ㆍ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교수(서울대학교 농학박사)
펼치기
최광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ㆍ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명예교수(서울대학교 농학박사)
펼치기
김진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ㆍ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치바대학교 농학박사)
펼치기

책속에서

잡목림에서는 잡목림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생물에 대한 종류뿐만 아니라 잡목림을 다양한 종류로 구성된 생물 군집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잡목림의 생물 군집을 구성하고 있는 생물 중에서 여기서는 생산자인 식물 군락에 대해 취급하기로 한다. 인위적으로 성립되어 온 잡목림은 자연 입지와 인간 활동에 의해 규정되고 있다. 수목에 대해서는 개체 레벨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개체군 레벨에서 관리한다는 관점이 중요하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