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영어학
· ISBN : 9788975996498
· 쪽수 : 427쪽
· 출판일 : 2018-01-31
책 소개
목차
01 외국어 학습 과정에서 제기되는 주요 용어에 대한 논의 …15
1.1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15
1.2 의사소통능력 …18
1.3 상호작용능력 …26
1.4 주요 용어에 대한 논의 …28
02 외국어 학습의 기본 모델 …39
2.1 창의적 언어구성(Creative Construction) 모델 …40
2.2 언어 기능 학습(Language Skill-Learning) 모델 …46
2.3 의식적인 외국어 학습과 무의식적인 외국어 습득 …51
2.4 사회적 측면의 언어학습 …54
03 행동주의와 외국어 학습 …61
3.1 고전적 행동주의와 신행동주의 …62
3.2 행동주의 학습원리 …65
3.3 행동주의에서 바라본 외국어 학습 …68
3.4 대조분석(Contrastive Analysis) …69
3.5 행동주의 외국어 학습에 대한 비평 …76
04 인지주의와 외국어 학습 …85
4.1 생득적 언어습득 능력 …86
4.2 인지능력과 외국어 학습 …93
4.3 환경적 요인의 영향 …96
05 구성주의와 외국어 학습 …105
5.1 구성주의 기본 원리 …105
5.2 구성주의 주요 개념 …112
5.3 구성주의에 근거한 외국어 학습의 원리 …116
5.4 상호작용 가설과 외국어 학습 …119
06 Vygotsky의 사회·문화 이론과 외국어 학습 …131
6.1 사회·문화 이론의 원리 …132
6.2 공공 발화, 사적 발화, 내적 발화 …136
6.4 Vygotsky의 사회·문화 이론과 외국어 학습 …139
6.5 Vygotsky 사회·문화 이론과 문화 이식 가설 비교 …141
6.6 Piaget와 Vygotsky 간의 비교 …143
07 어린이의 언어 발달 단계 …151
7.1 기본 작동원리(Operating Principles) …152
7.2 아기 말(Baby Talk)과 보모의 말(Caretaker Speech) …154
7.3 언어 발달 단계의 보편성 문제 …157
7.4 문법체계의 발달단계 …164
7.5 문장 변형(transformation) 능력의 발달 …171
08 어린이와 성인 간의 언어학습 비교 …185
8.1 어린이와 성인 간의 언어학습 비교 …186
8.2 언어적 입력을 근거로 한 학습 환경 비교 …194
8.3 어린이와 성인 간의 영역별 성취도 비교 …196
8.4 조기 언어교육 …201
09 학습자의 오류분석 …207
9.1 오류의 출처와 원인 …208
9.2 오류분석 …219
9.3 중간언어 …223
9.4 생략에 의한 단순화 …228
9.5 간섭 오류와 발전적 오류 …229
10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 차이 규명 …235
10.1 학습자 개개인의 언어 숙달도 차이 의미 …236
10.2 학습 동기 …240
10.3 학습 기회 …246
10.4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능력 …251
10.5 인성 …258
10.6 학습자의 모국어 …265
10.7 연령 …267
10.8 학습전략 …270
11 언어의 실제적 사용과 사회적 요인들 …277
11.1 언어의 실제적 사용에서 나타나는 학습자 발화의 변이성 …278
11.2 의사소통전략(Communication Strategy) …287
11.3 의사소통전략과 관련된 문제들 …294
11.4 외국어 학습자 발화의 의사소통적 효과 …296
12 외국어 학습이론 탐색 …303
12.1 보편문법과 외국어 학습 …304
12.2 정보처리 이론 …311
12.3 Krashen의 이해 가능한 언어입력 가설 …315
12.4 VanPatten의 언어입력 처리 이론 …325
12.5 Gass의 언어입력 처리 이론 …328
12.6 이해 가능한 언어출력 가설 …333
12.7 McLaughin의 자동화 이론 …336
12.8 경쟁(Competition) 모형 …340
12.9 문화이식(Acculturation) 가설 …342
12.10 Gardner의 사회-교육적 모델 …348
12.11 학습이론 요약 …350
13 형태 초점 외국어 교수와 학습 …355
13.1 형태 초점 교수법(FFI: Form-Focused Instruction)의 등장 배경 …356
13.2 형태 초점 교수법의 역사적 변천 과정 …362
13.3 형태 초점 교수법의 최근 경향 …364
13.4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외국어 교육 …373
14 외국어 교수·학습 과정의 주요 특징 …381
14.1 언어학습은 자연적 상황에서 일어날 때 효과적인가? …382
14.2 발화 활동이 없어도 외국어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가? …385
14.3. 언어 발달 단계는 보편적인 순서를 보여주는가? …387
14.4 단순화된 언어입력은 외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가? …391
14.5 언어적 요인 이외에 언어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이 있는가? …393
14.6 성공적인 외국어 학습을 위한 함축성: 관련 연구를 통해 발견한 점 …396
참고문헌 …401
색인 …421
저자소개
책속에서
생득론자 (nativists) 들은 인간의 언어학습은 LAD/UG와 같은 생득적 요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언어에 대한 선천적 (nature) 지식을 갖고 있거나, 또는 언어학습에 대한 생물학적인 시간표 (biological timetable) 가 정해져 있어서 후천적인 요인의 작용이 없어도 언어를 성공적으로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언어를 학습해 나가면서 어린이 또는 학습자들이 보여주는 언어 발달 단계는 이미 생물학적으로 결정되어 있어서 (predetermined) 보편적 또는 유사한 발달단계를 보여준다. 만약 언어입력과 언어학습 환경과 같은 후천적 (nurture) 요인의 영향이 크다면, 서로 다른 언어적 환경에서, 그리고 서로 다른 언어입력을 받으면서 언어를 배워가는 어린이 또는 학습자들이 보여주는 언어 발달 단계는 각기 서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 라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언어 학습자들이 보여주는 언어 발달 단계는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후천적 요인보다 더 강하게 작용하는 어떤 생득적 요인의 작용 때문이라고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를 입증할 언어적 자료를 찾기 위한 학자들의 노력이 있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내적교 수요목 (internal syllabus) ’이라는 용어가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