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6332462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4-12-10
책 소개
목차
2005년 전망 기조
세계 경제
1. 세계 경제 성장 둔화
2. 미국 부시 행정부 2기의 경제?통상 정책
3. 중국 경제의 연착륙
4. 일본 경제 회복세 유지
5. WTO 체제정비 노력 가속화
6. 고유가 지속
국내 경제
1. 미미한 소비회복세
2. 투자회복세 약화
3. 수출 증가세 큰 폭 둔화
4. 물가는 3% 초반대로 하향 안정
5. 일자리 창출 미흡과 청년취업난 지속
6. 달러화의 위상 약화와 위안화 평가절상
7. 저금리 현상 지속
8. 은행의 수익성 악화
9. 지속되는 신용불량자 문제
10. 금융산업의 재편과 외국 금융자본과의 경쟁 심화
산업
1. 조정기에 접어든 정보통신산업
2. 공급 과잉이 예상되는 반도체산업
3. 성장세가 둔화될 가전산업
4. 수출 둔화가 예상되는 자동차산업
5. 호조세가 기대되는 석유화학
6. 충분한 일감을 확보한 조선산업
7. 업태별로 명암이 갈리는 유통산업
8. 건설 수주 감소와 주택경기 위축
9. 한류 열풍의 확산
10. 협상 타결이 예상되는 한ㆍ일 FTA
기업경영
1. 한국 대표기업의 약진과 도전
2. 기업경영에 대한 견제 및 간섭 증대
3. 기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4. 소비시장별 부침 심화
5. 유통ㆍ제조 간 힘겨루기
6. 한ㆍ중ㆍ일 간 경쟁과 협력
공공정책
1. 부동산 정책 : 지속적 안정기조 및 보유세 부담 증가
3.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전환
4. 노사시장의 개혁과 노사정 갈등
5. 퇴직연금제 도입과 연금구조 개편
6. WTO 쌀 재협상과 농업구조 개편
7. 북핵 문제 장기화와 남북관계
사회·문화
1. 고령화의 급격한 진전
2. 사회갈등의 일상화
3. 대학 개혁 및 자율권 강화
4. 소비자 안전의 강화
5. 교토의정서 발효와 환경규제 강화
책속에서
내수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정부는 금리인화, 재정지출 확대, 감세등 내수 부양을 위한 일련을 정책들을 추친하고 있다. 정부의 경기부양책들이 소비를 자극하고 가계부채의 조정이 진전되면서 소비가 차츰 회복되고 유통업체들의 실적도 소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시기는 2005년 하반기 이후가 될 전망이다. 종래 가계의 소비여력을 위축시켜온 요인들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렵고, 최근 고유가에 따른 물가상승이 2005년에도 가계에 부담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소비심리 역시 단기간에 회복될 조짐은 찾기 힘들다. 따라서 2005년 소매유통업의 매출액은 2004년 실적대비 기술적 반등과 하반기 회복세를 고려해 볼 때, 약 3.2%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본문 185~186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