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76332608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5-06-1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PART 1 일반재 신산업
1장 세계 경제 패권과 일반재 신산업 창출
1. 일반재 신산업과 경제 성장
2. 일반재 신산업 창출을 주도한 국가
3. 일반재 신산업 창출을 주도한 기업
4. 일반재 신산업 창출은 한국 경제의 돌파구
2장 메가 상품이 글로벌 기업을 만든다
1. 발명에서 대중화까지
2. 신상품 발전 과정에 나타나는 두 가지 특징
3. 메가상품 개발을 위한 기업의 노력
4. 신산업 창출을 위한 정책
PART 2 시장포화
3장 시장포화와 소비상한
1. 시장포화 가능성이 대두되다
2. 소비 상한은 왜 생기나
3. 상품마다 소비상한이 다르다
4. 가격 하락이 성장을 가져다주지는 않는다
5. 소비상한이 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
4장 소비상한을 극복하라
1. 일반재 산업이 성장하려면
2. 지출점유율은 상품고도화의 관리지표
3. 메가상품은 신산업 창출의 관리지표
4. 기술 개발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PART 3 IT산업
5장 IT산업의 부침
1. 한국 경제에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다
2. IT산업이 가져다준 파급효과
3. 기대는 착각이었고 버블로 이어지다
4. IT산업의 부침이 주는 지혜
6장 휴무자산과 경제 성장
1. 생산성 향상이 휴무자산을 발생시키다
2. 한국에서 발생한 휴무자산
3. 휴무자산과 상품개발의 조건
4. 성장이론과의 관계
7장 IT산업의 미래를 위하여
1. 리더십을 발휘할 최전방산업 기획
2. 지속적인 성공신화의 창출
3. 창의력이 우수한 조직이 성공을 가져온다
4. 정부는 신상품 개발을 위한 또 다른 참여자
에필로그
부록: 휴무자산의 발생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내 기업이 반도체나 휴대폰 등 IT제조에서 여태까지 선두를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신상품을 먼저 개발하여 시장에 누구보다 먼저 진출하는 선점 전략보다는 다른 나라가 시장에 내놓은 신상품을 우수한 공정기술로 빠르게 따라잡아 시장을 잠식하는 밀착추격 전략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IT산업이 산업재를 주로 생산했기 때문이고, IT산업이 생산한 일반재는 그 숫자와 종류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 본문 268~269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