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기업경영 20년

한국의 기업경영 20년

(개방의 파고를 넘어 세계로)

정구현, 강원, 김은환, 한창수, 태원유, 김종년, 배성오, 강한수, 이민훈 (지은이)
삼성경제연구소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620원
14,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기업경영 20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기업경영 20년 (개방의 파고를 넘어 세계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76333728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08-02-11

책 소개

과거 20년간 한국 기업이 겪은 위기와 극복 과정을 통찰하고, 향후 10년을 위해 무엇을 경쟁력으로 삼아야 할지를 살펴보고 있다.

목차

1부 한국 기업 20년사
01. 시대 구분과 거대변화
02. 민주화와 외형 성장 : 1987~1997년
민주와 개방
노동운동 활성화/ 민주화와 세계화에 직면한 노동 정책/
공산권 붕괴와 새로운 시장등장/ 자유화 행진
기회와 투자
투자의 르네상스/ 대기업 정책 강화와 구조조정 압력/ 세계로, 세계로/ 신흥재벌의 등장과 쇠퇴
03. 외환위기와 체질 개선 : 1997~2007년
위기와 해체
외환위기와 대마불사 신화의 붕괴/ 사업 구조조정: 빅딜, 위크아웃, 기업분할
재벌 시스템에 대한 규제 강화/ 금융 구조조정 : 퇴출, 공적자금 투입, M&A
갈등과 대립의 노사관계(1997~2006년)/ 노동 유연성 제고와 취약계층 보호에 주력하는 노동 정책
내실과 혁신
수익성 위주의 경영 / 질 중심 경영: R&D 투자 증가, 소프트 경쟁력 강조/
보수적 경영확산 : 부채비율, 투자증가율 감소, 내부자금 중심

2부 기업생태계의 변화와 경영성적표
01. 한국 기업생태계의 변화
글로벌 대기업의 출현
한국 대표 기업의 약진/ 디지털 신경제의 개화와 IT 기업의 성장/
IT 제조업과 전통 제조업의 연이은 약진/ 자산 1조원 이상의 중견 그룹 증가
벤처 버블과 붕괴
폭탄 돌리기식 벤처광풍/ 벤처 버블은 대내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
벤처 토양까지 훼손시킨 버블의 붕괴/ 벤처 버블 붕괴 이후 : 옥석 가리기 진행
소기업의 경영 악화
소기업의 급격한 증가/ 소기업의 실적 추락/ 소기업 실적 악순환 지속
02. 한국 기업 20년의 경영성적표
재무구조는 견실해졌으나 성장성이 문제
수익성 패러독스 : 수익성을 중시했으나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
한국 100대 기업의 경영 성과
한국 경제를 이끄는 10대 기업
글로벌 기업 후보군이 부족한 한국 기업

3부 한국 기업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01. 지배구조, 전략, 시스템의 3중주
02. 기업소유, 지배구조
지배구조의 급속한 변화
영미식 지배구조 도입 압력/ 대기업집단별 투명성 제고를 위한 노력/
전문경영인에게 귄한위양/ 시장의 감시 기능 정상화/ 소유경영자 혁신/
대기업집단의 지배구조 변화 : 삼자구도
소유구조 변화 압력과 유지노력
소유구조 변화 압력/ 분할승계/ 계열사 지분확대와 지주회사 설립/
지배권의 삼자구도 : 지속vs과도기
03. 경영전략
사업 전략 : 선택과 집중
비관련 다각화에서 업종 전문화로 / 외형 확장에서 내실 강화로 / 공격에서 수비로
글로벌 전략 : 국내에서 해외로
공격적 해외 진출이 남긴 교훈 : 글로벌 경영 경험 축적 / 양보다 질 위주의 글로벌화 : 글로벌 사업의 구조조정 / 진출지역 확대 / 글로벌 활동의 고도화/ 글로벌 경영 시스템 구축 필요성
고부가 전략 : 양에서 질로
'기술 추종자'에서 '기술 리더'로/ 프리미엄 브랜드 창출/ 디자인 경영의 개막/ 서비스,차별의 핵심무기로 부상
04. 운영시스템
능력, 성과주의의 급진전
성과주의 보상제도 확산/ 새로운 평가제도 모색/ 역량과 성가 중시읭 승진제도 확산
인력 관리의 다양화
사람중심에서 일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 핵심인재 등 채용의 다양화/
인력의 역량 강화에 초점/ 인사 관리 대상과 범위의 확대
고용유연화의 진전
인력 구조조정과 전략적 퇴직 관리/ 고용 형태의 다양화/ 해외 이전과 외주화/
능력 계발을 통한 기능적 유연성 확대
프로세스 혁신
정신무장 위주에서 방법론적 접근으로 / 품질혁신에서 경영 전반의 혁신으로 /
로컬 최적화에서 글로벌 최적화로/ 사무자동화에서 IT를 활용한 혁신으로

4부 새로운 10년, 한국 기업의 과제
01. 한국 기업이 맞이할 환경과 과제
세계 경제 환경의 변화
한국 기업 경영의 변화
새로운 10년을 위한 제언
02. 전략 고도화
지신 기반 소프트 역량 강화
창의력을 붇돋우는 풍토 조성/ 미래 신상품, 신사업 개발 역량 강화/
고부가 지식 축적 및 활용력 강화
글로벌 전략의 고도화
현지화와 글로벌 통합/ 현지인 중간관리층 육성/ 현지지향형 틈새 시장 발굴/ 글로벌 통합 및 네트워크 전략
기업 네트워크 강화
새로운 '게임의 룰'엥 눈뜰 때/ 기업 커뮤니티 업그레이드/ ROI에 근거한 전략적 접근
03. 혁신자형 운영 시스템
글로벌 운영 시스템 구축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 활용/ 글로벌 IT 인프라 구축/ 글로벌 인재 육성 시스템
지식 창조를 위한 조직 재설계
혁신 깊이 심화 : 과거 연장선상에서 벗어나 단절적 혁신/ 혁신 주기 단축 : 혁신의 일상화/
혁신 범위 확대: 혁신의 전면화/ 지식 창조형 성장동력 구축 미흡/ 압축 성장 시대의 패러다임/
창의적 조직 시스템 모델의 방향/ 수준별 부문별로 차별적 접근/ 국가 전체 혁신 시스템과의 연계
03. 시장의 선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역동적 기업생태계 구축
원활한 퇴출 시스템 마련 : M&A 활성화, 회계 투명성 강화/ 시장의 선별 기능 강화 : 자본시장의 역할 재정립 / 중소, 중견기업의 성장 경로 마련
한국형 지배구조 모색
전문경영체제에 대한 경제, 사회적인 안전망 구축/ 영미식 지배구조의 급속한 도입을 피하고 시장 선택 존중/ 소유경영자는 경영 참여 줄이고 경영 감시자의 역할에 초점/M&A시장을 조속히 정비
사회적 책임 강화
윤리경영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환경경영을 통한 지속 성장/ 자발적 사회공헌활동

부록1 기업경영연표(1987~2006)
부록2 한국 100대 기업의 경영 성과 추이
부록3 한국의 100대 기업
참고문헌

저자소개

정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8년부터 2003년까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강의와 연구를 했고 동서문제연구원장, 경영대학원장, 상경대학장 일을 했다. 2004년에는 한국경영학회 회장으로 재임하면서 한국경영교육인증원을 추진하여 2005년에 설립했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장으로 일하면서 베이징에 연구소를 세우는 등 국제화와 업그레이드에 기여했다. 2012년에 한국경영학회가 경영학의 발전에 기여한 학자에게 수여하는 ‘상남경영학자상’을 받았다. (사)서울국제포럼의 회장을 역임했고 2018년 초에 제이캠퍼스라는 연구소 겸 평생학습기관을 설립하여 현재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기업의 성장전략과 경영구조』『한국의 기업경영 20년』『동아시아의 부상』이 있다. 그 외 주요 공저로는 『코리안 매니지먼트Korean Management: Global Strategy and Cultural Transformation』『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혁신의 시간』『한국의 제3섹터』『문답으로 이해하는 시장경제원리 99』『대전환의 파도, 한국의 선택』 등이 있다.
펼치기
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의 듀크대학에서 MBA를,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재무관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연구논문으로 「현금흐름과 기업가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경영공학으로 석사를, 성균관대학교에서 조직이론으로 경영학박사를 받았다. 삼성그룹 싱크탱크인 삼성경제연구소(現 삼성글로벌리서치)에서 27년간 인적자원관리와 경영전략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조직문화센터장과 경영전략실장, 산업전략실장을 지냈다. 현재는 프리랜서 연구자로서 저술과 강의, 컨설팅 등을 수행하고 있다. 현역 시절 경험한 삼성그룹에 대한 전략지원 업무를 바탕으로 이를 확장하여 다른 기업은 물론, 더 나아가 개인에 이르기까지 미래대응전략을 연구하는 중이다. 2017년 《기업 진화의 비밀》을 출간하여 2018년 《매일경제》 정진기언론문화상 경영경제도서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산업혁명의 숨은 주역들》(2019), 《기업과 정의》(2020), 《버추얼토피아》(2021), 《디지털 문해력 수업》(2023) 등 다수의 책을 썼다. 삼성, SK, 기아자동차, 아모레퍼시픽 등 국내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과 자문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원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도 출강 중이다.
펼치기
한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으며,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1년 삼성경제연구소(현 삼성글로벌리서치)에 입사하여 연구와 컨설팅 활동을 수행했으며, 삼성그룹 비서실에서 근무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경력과 프로젝트를 거쳤다. 오랜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에 시의적절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애써왔으며, 경영학적 통찰과 인문학적 내공이 조화를 이룬 글쓰기로 이름났다. 저서로는 《천년 전의 글로벌 CEO, 해상왕 장보고》, 《IMF충격, 그 이후》, 《한국의 기업 경영 20년》, 《대한민국 다시 읽기》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무형자산, 경쟁력의 새로운 원천》, 《몽키 비즈니스》, 《스프라우트!》 등이 있다.
펼치기
태원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국내 민간 연구기관에서 고용관계, 전략적 퇴직관리(아웃플레이스먼트), 경력관리, 일본식 경영 등을 연구하고 있다. 경북 경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CHAMINADE UNIVERSITY 일본경영학 석사, 일본 교토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방문학자, 노사정위원회 베이비붐세대 대책위원회 공익위원, 정부업무평가위원회 평가전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역서로는 《日本企業の副の?究》, 《인재경영의 두 시선》(공저), 《중국대전》(역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삼성경제연구소 산업전략2실 수석연구원 기업재무 분야에서 기업경쟁력 등의 연구에 주력해 왔으며, 현재 삼성경제연구소의 주간 이슈 진단지 의 데스크를 맡고 있다.?주요 연구물로《한국 기업경쟁력의 실상과 과제》외 다수가 있고, 저서로《한국의 기업경영 20년》(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배성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삼성경제연구소 인사조직실 수석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펼치기
강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 수석연구원.
펼치기
이민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마케팅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부전공인 심리학 지식을 마케팅에 접목하여 소비자행태를 연구하고 다양한 논문을 집필했다. 전자, 건설,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과 정부기관에 대한 경영진단 및 홍보 전략 컨설팅과 다수 대학의 비전 수립 컨설팅을 수행했다. 주요 연구물로 "국가 브랜드지수 개발"(2009), "2000~2004년 히트상품 분석을 통한 중기 소비시장 전망"(2005) 등이 있으며, "만족도와 재구매 간 관계에 있어서 인지종결욕구와 일시적 자아해석의 조절효과"(2008)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이민훈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