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76332929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06-02-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왜 대학 경쟁력을 논하는가
1. 대학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한다.
2. 대학의 획일적 발전모형이 문제다
- 일류대학 따라하기
- 대학의 낮은 만족도
3. 시장 관점과 다양한 경쟁 수단의 개발 필요
제2장 대학의 전략 선택, 어떻게 할 것인가
1. 시장 환경 분석
- 재원시장 분석
- 노동시장 분석
2. 전략 유형의 분류
- 전략 유형 분류 기준
- 7대 유형별 전략
3. 대학의 핵심 성공요인
- 전략 유형과 핵심 성공요인의 적합성
- 공통 핵심 성공 요인: 리더십, 교수 경쟁 시스템, 행정 시스템
제3장 전략 유형별 성공 모델
1. 전략 유형 1 - 연구중심 종합형
2. 전략 유형 2 - 연구중심 집중형
3. 전략 유형 3 - 지역거점 연구중심형
4. 전략 유형 4 - 교육중심 종합형
5. 전략 유형 5 - 교육중심 집중형
6. 전략 유형 6 - 지역거점 실무교육형
7. 전략 유형 7 - 현장연계 교육형
제4장 혁신하는 대학만이 살아남는다
1. 차별화 전략을 추진하기 위한 환경 조성
- 시장·경쟁 원리 작동을 위한 다양한 기제 도입
- 지역사회 및 기업과 공생하는 대학 생태계 형성
- 대학 재정의 확충과 효율적 관리
- 국립대학의 지배구조 개선
2. 대학 혁신을 위한 시스템 개혁
- 총장의 혁신 리더십 발휘 체계를 구축
- 교수 경쟁 시스템의 도입
- 행정 시스템의 혁신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부금 시장 역시 해마다 규모가 커지고 있다. 1990년 4,900억 원 규모이던 것이 10년 새 2배로 증가하여 2001년에는 8,879억 원을 돌파했고, 현재는 1조 원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문제는 특정 대학의 집중화 현상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실제로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성균관대학교가 전체 기부금 시장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이 제공하는 기부금의 경우에는 상위 20개 대학이 전체의 80%를, 그리고 개인 기부금의 경우에도 동문이 두터운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가 4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기부금은 어떤 대학이든 유치할 수 있지만, 사회적인 기여도나 높은 명성을 유지하는 대학일수록 더 유리한 것이 현실인 점을 고려하여 연구 및 교육의 결과물들인 연구 성과, 명망 있는 동문 배출을 끌어올릴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 본문 4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