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76353771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1-05-21
책 소개
목차
책 머리에 · 12
Ⅰ. 비천함과 고귀함 사이의 인간 · 19
1. 서론 · 22
2. 성경의 사고방식이 지닌 몇 가지 특징 · 25
1) 공동체와 개인 · 25
2) 구체성과 추상성 · 28
3) 이야기와 논리 · 32
3. 성경이 말하는 피조물의 본질적인 조건 · 39
1) “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창세 1,26.27) · 41
2) 이스라엘의 법률 · 45
3) 권력에 대한 비판 · 53
4) 고상한 문체와 단순한 문체 · 57
4. 결론 · 69
Ⅱ. 과거와 현재: 창세기에 나타난 시간 체험 · 71
1. 서론 · 73
2. 창세 1,1-2,3의 시간 · 75
3. 그리스 세계의 시간과 성경 세계의 시간 · 82
4. 성경 세계에서 나타나는 ‘시간’의 특징 · 93
5. 아브라함 · 97
6. 이사악과 땅에 대한 권리 · 109
7. 야곱과 (바빌론) 유배로부터의 귀향 · 112
8. 요셉과 디아스포라의 삶 · 116
9. 결론 · 121
Ⅲ. 개별성과 보편성: 창세기의 족보들과 역사적 도전에 대한 답변들 · 123
1. 서론: 족보의 기능 · 125
2. 창세 1-11장의 족보들 · 129
1) 멸망과 재창조, 유배와 귀향 · 129
2) 이스라엘과 다른 민족들 · 134
(1) ‘민족들의 계보’(창세 10장) · 135
(2) ‘민족들의 계보’의 지리학 · 137
(3) 창세 10,1-32의 문학적 기원 · 139
(4) ‘민족들의 계보’와 헤시오도스의 <여인들 목록> · 151
(5) 역사적 배경에서 ‘민족들의 계보’가 지닌 의미 · 155
3. 성조들 · 161
4. 결론 · 177
Ⅳ. 화려함과 진솔함: 모세의 노래(탈출 15,1-21)와 이스라엘의 하느님 야훼의 왕권. 히브리 시문학에 대한 고찰 · 179
1. 서론: 고전문학과 성경 문학 · 181
1) 영웅서사문학과 귀족계급 · 183
2) 영웅서사문학에 대한 성경의 반감 · 185
3) 왜 성경은 영웅서사문학에 대해 알지 못하는가? · 198
4) “주님은 전쟁의 용사, 그 이름 주님이시다”(탈출 15,3) · 207
2. 모세와 미르얌의 노래(탈출 15,1-21) · 211
1) 성경 본문의 몇 가지 특징 · 212
2) 시의 개요 · 220
3) 혼돈에 대항한 태초의 전투 · 222
3. 결론 · 227
Ⅴ. 사랑과 법률: 하느님에 대한 사랑, 그리스도교 성경의 첫 번째 계명 · 229
1. 고대 세계와 낭만주의의 사랑에 대한 서로 다른 개념 · 232
1)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에서의 낭만주의적 사랑 · 232
2) 고대 세계에서의 사랑과 사회 · 235
2. 성경의 하느님 사랑에 대한 계명 · 240
1) 사랑과 계명들의 준수 · 241
2) 아버지와 아들 간의 사랑 · 244
3) 계약과 사랑 · 247
3. 외교적 언어와 신학적 언어 · 252
4. 결론 · 262
Ⅵ. 길과 목적지: 구약성경에 나오는 순례에 대한 표현 · 263
1. 서론 · 265
2. 계절과 해에 따른 이스라엘의 정기적인 순례들 · 268
3. 신명 26,1-11의 맏물 봉헌 · 274
4. 당신 백성과 함께 걸으시는 하느님 · 280
1) 에제키엘과 ‘바퀴’로 움직이시는 하느님 · 280
2) 제2이사야와 귀향 행진(이사 40,9-11) · 282
5. 당신 백성과 함께 천막으로 순례하시는 하느님(탈출 29,43-46) · 286
6. 결론 · 291
Ⅶ. 권리와 법률: 둘의 본질적인 구분 · 295
1. 탈출기의 히브리 산파들(탈출 1,15-22) · 302
2. 모세의 탄생(탈출 2,1-10) · 309
3. 사울의 소실 리츠파(2사무 21,1-14) · 312
4. 결론 · 322
Ⅷ. 권력과 참여: 신명기가 말하는 권력의 분할과 분배(신명 16,18-18,22) · 325
1. 서론 · 328
2. 신명 16,18-18,22의 공직자들에 대한 법률 · 331
1) 임금에 대한 법(신명 17,14-20) · 332
2) 임금에게 주어진 유일한 과제 · 337
3) 왕정와 법률 · 339
3. 서로 다른 직무들: 판관, 레위인 사제, 예언자 · 343
1) 판관(신명 16,18-20; 17,8-13) · 343
2) 레위인 사제(신명 18,1-8) · 347
3) 예언자(신명 18,9-22) · 349
4. 결론 · 354
Ⅸ. 군주제와 민주주의: 요탐의 우화(판관 9,8-15ㄱ), 군주제에 대한 거부인가? 비판인가?
· 357
1. 서론 · 359
2. 요탐의 우화(판관 9,8-15ㄱ) · 365
1) 본문의 문학 유형 · 365
2) 본문의 문제점: 판관 9장은 한 사람이 쓴 글인가? 아니면
여러 사람이 편집한 글인가? · 370
3) 우화의 기원 · 381
3. 우화의 의미: 군주제에 대한 거부인가? 비판인가? · 383
4. 결론 · 391
Ⅹ. 죽음과 부활: 불 병거(2열왕 2,11) · 393
1. 서론 · 397
2. 이야기의 목적(1절) · 401
3. 둘이 함께 떠난 여행(2-7절) · 404
4. 요르단강을 건너다(7-10절) · 409
5. 불 병거(11-12절) · 417
6. 요르단강을 건너 되돌아오다(13-15절) · 421
7. 마지막 확증(16-18절) · 425
8. 결론 · 427
ⅩⅠ. 다성음악과 교향곡: 현대 해석학이 설명하는 요셉 이야기(창세 37-50장) · 429
1. 이스라엘의 역사라는 창으로 바라본 요셉 이야기 · 432
2. 지파들 간의 관계라는 창으로 바라본 요셉 이야기 · 440
3. 권력의 세상이라는 창으로 바라본 요셉 이야기 · 445
4. 민족들 사이에서 이스라엘의 역할이라는 창으로 바라
본 요셉 이야기 · 449
5. ‘숨겨진 하느님’이라는 창으로 바라본 요셉의 이야기 · 453
6. 결론 · 460
원문 출처 · 466
책속에서
나는 다만, 바로 그 잉크 방울들로부터 유명한 성경 이야기들이 태어났고 그들이 얼마나 풍요로운지 보여주고자 할 뿐이다. 성경의 이야기들은 참으로 엄청나게 풍요롭다. 거기에서부터 솟아 나오는 세상은 마치도 요셉의 긴 저고리처럼(창세 37,3) - 이 구절에 대한 오래된 성경 본문들의 번역이 지닌 이미지를 그대로 따르자면 - 다양하고 풍부한 색채로 가득 찬 세상이다.
‘하느님의 모습’으로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인간의 본성에 속하는 특징이 된다. 이 점에서 우리는 성경의 가르침이 좀 전에 언급했던 메소포타미아의 그것과 얼마나 크게 차이가 나는지를 금방 알 수 있다. 창조주 앞에서 인류의 모든 구성원이 근본적으로 평등하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천명하기 위해, 성경은 ‘하느님의 모습’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주님께서는 이 계약을 우리 조상들과 맺으신 것이 아니라, 오늘 여기에 살아 있는 우리 모두와 맺으신 것이다”(신명 5,3). … 따라서 신명기의 이 구절을 조금 다른 방식으로 바꾸어본다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님께서는 구약성경(Antico Testamento)을 우리 조상들에게 건네주신 것이 아니라, 오늘 여기에 살아 있는 바로 우리 모두에게 건네주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