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8897635307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6-11-28
목차
머리말 5
1장 | 이야기들(Storie)을 이야기하는 것과 역사(Storia)를 저술하는 것 21
1. 고대의 역사와 텔레비전의 세상 22
2. 고대의 역사와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상 24
3. 성경 이야기들의 ‘진리’ 25
4. 역사(Storia)와 이야기들(Storie) 26
1) 예수의 세례 26
2) 소설을 쓰는 것 또는 소설처럼 쓰는 것? 29
3) 현대의 역사 편찬 30
4) 불타는 떨기 32
5) 예수의 번민 33
6) 바다 횡단 34
2장 | 창조, 대홍수, 바벨 탑. 기원에 대한 이야기와 이야기의 기원 3 7
1. 세상의 창조(창세 12장) 38
1) 역사의 시작과 세상의 시작 41
2) 이스라엘의 하느님과 다른 나라의 신들 43
3) 선과 악, 행복과 불행 45
4) 민족의 우열, 사람의 평등 46
5) 공간보다 우월한 시간 47
2. 대홍수 이야기(창세 69장) 50
3. 바벨 탑 이야기(창세 11,19) 55
3장 | 아브라함과 선조들, 역사 속 실존 인물인가? 전설 속 상상 인물인가? 58
1. 선조들의 이야기와 ‘이스라엘 역사’의 시작 58
2. 선조들의 역사성 또는 선조 시대의 역사성? 60
1) 역사에 남겨진 선조들의 빈약한 흔적 60
2) 선조 시대의 역사성? 61
3) 고대 ‘선조들의 신앙’? 또는 한 ‘가족의 신앙’? 62
4) 유목민들의 세상과 역사 66
5) 선조들과 이집트 67
6) 선조들의 역사성을 위한 논거 71
3. 중요한 몇몇 문서의 편집 시기 73
4. 이야기의 목적 76
1) ‘전설들’과 ‘전설적인’ 인물들 76
2) 정보 전달(Informare)인가? 의식과 지각의 형성(Formare)인가? 77
3) 왜 이스라엘 선조들에 대해 말해야 하는가? 78
4장 | 모세, 다윗 시대 이전의 영웅에서 유배 이후 이스라엘의 설립자로 81
1. 성경 이야기의 역사적 윤곽 82
2. 모세 83
3. 이집트에서 히브리인들의 종살이(탈출 1장; 5장) 85
4. 이집트 재앙(탈출 712장) 88
5. 이집트 탈출과 바다 횡단(탈출 1315장) 93
1) 파피루스 아나스타시 5와 다른 문헌 93
2) 기록의 부재와 그 이유 94
3) 이집트 탈출의 여정 95
4) 바다 기적 97
5) 말(馬)에 신경과민적인 성경의 하느님 99
6. 광야 체류 103
1) 40년 103
2) 광야에서 행해진 기적 104
3) 광야 체류 107
4) 시나이 산 112
5) 모세의 법 114
5장 | 땅의 정복과 유목민들의 정착: 피지배계층의 반란 또는 사회적 진화? 120
1. 여호수아기와 고고학 120
1) 여호수아기의 역사적 문제 121
2) 여호수아기와 ‘영웅 서사시적’ 문학 양식 121
2. 이스라엘 민족의 가나안 땅 정착에 대한 이론들 125
1) 군사적 정복 125
2) 반유목민들의 점진적 정착 126
3) 가나안 성읍들에 대항한 피지배 계층의 반란 127
4) 이론들에 대한 비판과 균형 131
5) 메르네프타 비석 137
6) 하삐루인들과 히브리인들 142
7) 필리스티아인들과 바다 민족들 144
8) 결론 145
3. 여호수아기의 하느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하느님 147
1) ‘전쟁 영웅’ 여호수아 148
2) 영웅 서사시의 문학적 관습 150
3) 영웅 서사시적 문학 양식이 지닌 위험성 152
6장 | 다윗과 솔로몬:거대한 왕국의 왕 아니면 작은 지방 부족의 조상? 153
1. 판관기 153
2. 다윗과 솔로몬 왕국 155
1) 다윗과 솔로몬: 거대한 왕국의 임금? 혹은 지방 부족의 작은 족장? 155
2) 단 비문과 ‘다윗 집안’ 161
3. 르하브암, 예로보암, 그리고 이집트 임금 시삭 163
4. 북 왕국(이스라엘 왕국)과 오므리의 나라 164
1) 북 왕국에 새 왕가를 세운 오므리 임금 164
2) 아합 임금과 아시리아 제국의 첫 번째 접촉 166
3) 메사 비석 172
4) 단 비문 176
5. 예후 왕국 178
6. 이스라엘 임금, 여호아스의 조공(기원전 798783) 187
7장 | 국제정치의 소용돌이 속의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 192
1. 북 왕국 이스라엘의 종말 192
2. 사르곤 2세의 필리스티아 원정 195
3. 산헤립(기원전 705681)의 유다 전쟁(기원전 701) 197
1) 전쟁 이전의 사건들 197
2) 히즈키야가 방어선을 구축하다 199
3) 기원전 701년 아시리아의 유다 전쟁 204
4) 귀납적 성찰 몇 가지 228
맺음말 233 간략한 참고 문헌 238 간략한 연대표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