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장 루이 스카의 탈출기 이야기

장 루이 스카의 탈출기 이야기

장 루이 스카 (지은이), 이인섭 (옮긴이)
가톨릭출판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25,200원 -10% 0원
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장 루이 스카의 탈출기 이야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장 루이 스카의 탈출기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인물
· ISBN : 9788932118956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4-04-03

책 소개

세계적으로 이름난 성서학자인 장 루이 스카가 구약 성경의 ‘탈출기’에 대해 알려 주는 책이다. 이 책은 ‘탈출기’의 기원부터 탈출기에 담긴 중심 메시지, 주요 주제 등을 상세하게 다룬다.

목차

머리말 · 5
옮긴이의 말 · 12

제1장 탈출기를 읽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탈출기의 본질은 무엇인가 · 21
탈출기의 원천 · 25
탈출기의 고대 필사본 · 33

제2장 탈출기가 이야기하는 것은 무엇인가
탈출기의 핵심 ― 나일강에서 시나이산까지 · 39
탈출기의 실마리 ― 이스라엘의 주님은 누구이신가? · 42

제3장 탈출기 안에서 조화를 이루는 목소리
복합적 본문에 대한 예시 · 54
사제계 저자의 문체 · 58
대중적 이야기의 특징 · 63
제4장 탈출기에 쓰인 법의 세계와 그 특징
법의 세계 · 72
전례에 관한 법 · 78

제5장 첫 번째 주제 ― 이스라엘의 주님은 누구이신가?
“나는 주 너의 하느님이다.” · 83
파라오가 저지른 죄의 본질 · 84
모세의 사명이 시작되다 · 88
파라오의 거부와 하느님의 응답 · 91
‘표징과 기적’ 그리고 최종적인 심판 · 93

제6장 두 번째 주제 ― 완고한 파라오와 이집트 재앙
하느님의 진정한 승리 · 102
하느님 중심의 세계 · 103
하느님의 말씀은 항상 유효하다 · 105
파라오의 제한적인 힘 · 106
이집트 재앙 이야기의 구성 · 108
재앙 이야기의 독특한 특징 · 114

제7장 세 번째 주제 ― 하느님과 모세
하느님의 부르심과 모세의 회피 121
“나는 있는 나다.”(탈출 3,14)의 의미 127
하느님과의 관계가 회복될 수 있을까? 130

제8장 네 번째 주제 ― ‘갈대 바다의 기적’에 대한 해석
갈대 바다의 기적을 이루는 세 단계 · 141
물이 갈라지다 · 145
두려움과 진정한 믿음 · 148

제9장 다섯 번째 주제 ― 광야에서 누구에게 의존할 것인가?
만나와 메추라기 · 154
물이 솟아난 기적 ― 하느님의 선물 · 159
광야에서 아말렉의 위협을 받다 · 161
광야에서의 어려움이 말하고자 하는 것 · 165

제10장 여섯 번째 주제 ― 이스라엘 한가운데 내 천막을 세우리라
하느님께서 머무시는 곳 · 169
그분의 성전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 175
이스라엘 백성의 천막에 함께하시는 주님 · 177

제11장 일곱 번째 주제 ― 탈출기의 법전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구약과 신약 ― 다름 가운데의 연속성 · 183
구약 성경의 법의 본질 · 186
구약 성경의 법의 본질을 보여 주는 예시 · 189
고소할 것인가, 타협할 것인가 · 194

제12장 여덟 번째 주제 ― 시나이산과 하느님
시나이산의 하느님 · 199
하느님의 현현과 십계명 · 201
하느님을 드러내는 이미지들 · 207
정의와 공정은 하느님 어좌의 바탕 · 209

제13장 아홉 번째 주제 ― 하느님과 맺은 계약
하느님의 식탁에 앉은 이들 · 216
말씀의 예식과 계약 · 220

제14장 탈출기를 받아들인 방식 ― 구약과 신약, 그리고 그 밖의 문화에서
구약 성경에서의 탈출기 · 227
신약 성경에서의 탈출기 · 228
유다교에서의 탈출기 · 231
그리스도교 주석에서의 탈출기 · 240
코란에서의 탈출기 · 245

제15장 탈출기와 유럽 문화
첫 번째 예 ― 십계명 · 250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는 탈출기 · 252
그림과 조각 작품에서 나타나는 탈출기 · 257
음악에서의 탈출기 · 263
영화에서의 탈출기 · 267

맺음말 · 270
탈출기에 관한 참고 문헌 목록 · 273

저자소개

장 루이 스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벨기에 출신의 예수회 사제이자 성서학자. 벨기에 나뮈르에서 철학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신학을 공부한 뒤 이탈리아 로마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성서 주석학을 전공하였다. 이후 줄곧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오경을 강의하며 수많은 저서와 논문을 펴냈다. 그중 우리나라에 소개된 책으로는 《모세오경 입문》, 《우리 선조들이 전해 준 이야기》, 《인간의 이야기에 깃든 하느님의 말씀》, 《잉크 한 방울》, 《처음 만나는 구약성서》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인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17년 인천교구에서 사제품을 받고 김포 성당에서 보좌 신부로 지냈다. 2022년 이탈리아 로마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동 대학 박사 과정에 진학하여 성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역서로는 《장 루이 스카의 탈출기 이야기》, 《성녀의 작은 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늘날 독자들은 탈출기의 저자가 누군지 알고 싶어 할 것이다. 또 노예 상태에 있던 이스라엘인들이 정확히 어떤 파라오 통치 아래에 있다가 이집트에서 탈출했는지, 혹은 어느 역사적 시기에 시나이 현현이 일어났는지, 또는 시나이산을 오늘날 어느 광야에서 찾을 수 있는지 알고 싶어 할 것이다. 이러한 질문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질문을 해 볼 수 있을 테지만, 오늘날 우리가 답변을 얻기는 어려울 것이다. 어쩌면 해결되지 않은 채로 영원히 남아 있을지도 모른다. 사실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탈출기 내에서 찾는 것도 쉽지 않다. 만일 이에 대해 비유를 들라고 하면 맥주를 포도주 상인에게서 찾는 격이라 할 것이다. 이를 찾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그 성공은 우연에 가깝다. 훌륭한 포도주를 만들 수 있는 포도주 상인에게는 맥주보다는 포도주를 청하는 것이 낫다. 그렇다면 탈출기가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또한 탈출기는 어디에서 유래되었으며,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 ‘제1장 탈출기를 읽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중에서


물론 파라오의 마음이 완고해졌던 것은 여전히 어려운 주제로 남는다. 하지만 이 사실에 대해 성경적 사고관에 비추어 해석하면 새로운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근본적인 문제는 이스라엘의 하느님께서 당대의 가장 강력한 권력자에게 당신을 알게 하실 수 있는지, 그리고 파라오가 최소한 이스라엘의 하느님과 그분의 요구에 신경 쓰지 않고 온전히 자발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구절을 살펴보자. “그렇지만 나는 까닭이 있어 너를 살려 두었다. 너에게 내 능력을 보이고, 온 세상에 내 이름을 떨치게 하려는 것이다.”(탈출 9,16) 이 메시지는 그 무엇도 이스라엘의 하느님께서 지니신 힘과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나타낸다.
― ‘제6장 두 번째 주제 ― 완고한 파라오와 이집트 재앙' 중에서


만나는 분명 당신 백성을 위한 것이다. 창조주 하느님께서 당신의 모든 창조물에 양식을 충분히 만들어 주시듯이, 노아와 배에 탄 이들에게 홍수를 예견하시며 그들의 양식을 걱정해 주신다. 또한 그분께서는 광야에 있는 당신 백성을 돌보신다. 이처럼 창조주의 힘을 보여 주시는 하느님께서는 광야라는 황량한 땅에서도 당신 백성을 먹여 주실 수 있다.
만나는 무엇인가? 광야에서 완성된 이 기적들은 항상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성경에 나오는 만나 이야기에서는 만나를 명확하게 묘사한다. “이슬이 걷힌 뒤에 보니, 잘기가 땅에 내린 서리처럼 잔 알갱이들이 광야 위에 깔려 있는 것이었다.”(탈출 16,14) 민수기에서는 몇 가지 자세한 사항을 덧붙인다. “만나는 고수 씨앗과 비슷하고 그 빛깔은 브델리움 같았다.”(민수 11,7) 주석가들은 이에 관해 다양한 설명을 제시했다. 가장 널리 퍼진 견해는 만나가 시나이 반도에서 자라는 위성류 관목의 분비물이라는 것이다.
―'제9장 다섯 번째 주제 ― 광야에서 누구에게 의존할 것인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