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7635420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3-09-20
책 소개
목차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 | 약어표 _027
오경 개관
1. 입문 _035
1.1. 이름 _035
1.2. 개요 _036
1.3. 장르 _037
1.4. 구조 _038
1.5. 본문 _039
1.6. 기본 역사(창세기에서 열왕기 상권까지) 안에서의 오경 _039
2. 역사적 배경 _041
2.1. 오경은 누가 언제 썼을까? _041
2.2. 오경의 발달에 관해 논쟁하는 이론들 _042
2.2.1. 반복과 긴장 _043
2.2.2. 고전적 모델: 문헌 가설 _044
2.2.3. 더욱 최근의 발전들 _045
2.3. 유배 이전, 유배 중 또는 유배 이후? _047
2.4. 오경 발전의 역사적 중요 지점들 _049
2.5. 오경의 거룩한 율법, 법문서의 발전 그리고 계약들 _050
2.6. 고대근동의 맥락에서의 오경 _053
2.7. 페르시아 제국과 헬레니즘 제국 시대에 유다교의 기초가 된 문서 _054
2.8. 오경에서 말하는 사건들은 실제로 일어났을까? _055
3. 신학, 윤리 그리고 관련성 _057
3.1. 축복, 선, 생명 _057
3.2. 하느님과 인류의 관계, 갈등과 화해 _059
3.3. 사회윤리, 가난한 사람과 이주민을 선택 _061
3.4. 관련성 _062
참고 문헌 _064
창세기 입문
책의 이름 _069
문학적 구조 _070
편집사 _073
연대, 배경 그리고 청중 _082
주요 쟁점과 신학적 주제 _087
의의와 중요성 _092
개요 _094
창세기 주해
서문: 세상과 인류를 하느님께서 창조하시다 1,1-2,3 _097
하늘과 땅의 세대 2,4-4,26 _102
아담의 세대 5,1-6,8 _119
노아의 세대 6,9-9,29 _125
노아의 아들들 세대 10,1-11,9 _133
셈의 세대 11,10-26 _140
테라의 세대 11,27-25,11 _141
테라 11,27-32 _141
하느님과 함께 아브람이 땅을 여행하다 12-14장 _142
하느님과 아브라함의 계약 그리고 이스마엘의 탄생 15-17장 _150
마므레에서 소돔과 고모라까지 18-19장 _158
아브라함의 후손들에게 계속된 위협 20-22장 _163
세대의 변화 23,1-25,11 _173
이스마엘의 세대 25,12-18 _177
이사악의 세대 25,19-35,29 _178
야곱과 에사우의 투쟁: 태중에서 성인까지 25,19-34 _178
필리스티아 땅에 사는 이사악과 레베카 26장 _181
야곱과 에사우의 투쟁: 야곱이 거의 죽을 뻔하다 27,1-45 _183
야곱이 베텔과 하란으로 갔다가 돌아오다 27,46-35,29 _187
야곱과 에사우의 만남 32,4-33,20 _204
스켐에서의 야곱과 그의 가족 33,18-34,31 _209
베텔에서의 야곱과 그의 가족 35장 _215
에사우의 세대 36장 _219
야곱의 세대 37,1-50,26 _221
요셉과 그의 형제들 37장 _221
타마르과 유다의 막간극 38장 _227
이집트에서 포티파르의 집에 들어간 요셉 39장 _231
요셉이 왕실 관리들의 꿈을 해석하다 40장 _234
파라오의 꿈을 해석하고 요셉이 발탁되다 41장 _236
형제들의 첫 번째 이집트 여행 42장 _241
형제들의 두 번째 이집트 여행 43장 _245
요셉이 형들에게 놓은 마지막 덫 44장 _248
요셉이 자신을 드러내다 45장 _250
야곱의 가족이 이집트로 이주하다 46장 _253
파라오를 알현한 가족, 땅을 관리하는 요셉, 아버지께 맹세한 요셉 47장 _254
야곱의 축복과 죽음 48-49장 _257
요셉의 마지막 말과 죽음 50장 _265
역자 후기 _267
참고 문헌 _269
책속에서
오경은 위에서 언급한 세 단계의 역사기술 외에도 동심원적인 배열을 보인다. 시나이산에서 받은 하느님의 계시를 중심에 놓고(탈출 19장-민수 10,10) 이스라엘이 광야를 통과하는 여정으로 둘러싼다. 창세기는 이스라엘 건국 이전 세대인 족보적 선사 시대를, 신명기는 모세의 유언을 설명하는 책으로서 오경의 가장 바깥을 에워싼다. 이 두 책은 저마다 야곱이 열두 아들을 축복하고, 모세가 열두 지파를 축복하는 것으로 끝난다(창세 49장; 신명 33장).
오경은 유다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그리고 그 너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쳤다(Anderson 2017, 171-179). 오경의 율법은 … 오늘날의 성찰에 영감을 줄 수 있는 윤리적 지혜를 담고 있다. 오경은 우주를 유일하신 우주적 하느님의 피조물로 제시하고, 하느님은 인류와 계약을 맺으시고, 가장 힘든 갈등에 처한 인간들과 열정적인 관계를 맺으시고, 생명과 복을 가장 풍성히 내려 주시고, 억압받는 자를 구원하시는 분으로 묘사한다. 이런 것들이 하느님이 요구하시는 윤리의 이유이자 목표이며, 그리스도교 신앙의 기초다.
가정은 하느님의 계획과 약속에 결정적이다. 이 점은 위에서 언급한 형제들의 세대를 통해 부분적으로 표현된다. 남성은 이야기의 일부일 뿐이다. 어머니들과 자매들이 모든 세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세 3장에서 역동적 인물은 아담이 아니라 하와다. 신학 전통에서는 종종 하와를 인류 최초의 죄인이자 유혹자로서 부정적으로 보았다. 인류에 지식을 가져다준 이는 상대적으로 수동적인 아담이 아닌 하와이며, 그녀의 행동으로 인류가 인간이 된다. 선조들의 아내들은 이따금 가부장적 권위의 한계와 억압에 맞서 싸우는 영웅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