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76354532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5-05-27
책 소개
목차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약어 _027
구약성경의 묵시록과 종말론
1. 유배 시대 이후의 예언 _038
2. 헬레니즘 시대의 묵시문학 _043
3. 역사 _045
4. 고대 신화의 사용 _049
5. 이원론 _053
6. 천상 존재들 _055
7. 메시아 대망 _057
8. 천상 세계에 들어감 _061
9. 그리스도교에 수용된 묵시론 _065
10. 결론 _067
에제키엘서 입문
저술 연대와 배경 _073
문학적 특징 _075
편집사 _076
신학적 주제 _078
신학적 유산과 영향 _084
개요 _088
에제키엘서 주해
예언자의 소명 1,1–3,27 _091
머리글 1,1–3 _091
어좌-병거 환시 1,4–28 _093
일련의 임무 2,1–3,27 _097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 말씀 4,1–24,27 _101
예언적 상징 행위 4,1–5,17 _101
이스라엘의 산을 향한 신탁 6,1–14 _105
다가오는 심판에 관한 신탁 7,1–27 _106
성전에 관한 첫 번째 환시 8,1–11,25 _107
성전에서 벌어진 역겨운 짓 8,1–18 _107
죄인들을 죽임 9,1–11 _109
사악한 도성을 불태움 10,1–22 _111
심판과 약속 11,1–21 _112
주님이 성전을 떠나심 11,22–25 _119
예언적 상징 행위 12,1–20 _119
지체되지 않는 심판 12,21–28 _120
거짓 예언자를 거슬러 13,1–23 _121
우상숭배자를 거슬러 14,1–11 _122
노아와 다니엘과 욥 14,12–23 _124
포도나무의 비유 15,1–8 _125
부정한 아내인 예루살렘 16,1–63 1_26
독수리와 포도나무 17,1–21 _129
향백나무의 비유 17,22–24 _130
“너희가 다시는 이 속담을 … 말하지 않을 것이다” 18,1–32 _131
사자와 포도나무의 애가 19,1–14 _135
“너희도 조상들의 길을 걸어 자신을 부정하게 만드려느냐?” 20,1–44 _136
심판의 칼 21,1–32 _139
피의 도성 22,1–31 _141
두 자매, 오홀라와 오홀리바 23,1–49 _142
솥의 비유 24,1–14 _144
에제키엘의 아내의 죽음에 관한 신탁 24,15–27 _145
이방 나라에 대한 신탁 25,1–32,32 _147
암몬, 모압, 에돔, 필리스티아에 대한 신탁 25,1–17 _149
티로에 대한 신탁 26,1–28,26 _150
이집트에 대한 신탁 29,1–32,32 _154
전환점 33,1-33 _158
주제들의 요약 33,1–20 _159
“도성이 함락되었다!” 33,21–33 _160
이스라엘에 관한 축복의 신탁 34,1–37,28 _162
나쁜 목자와 좋은 목자 34,1–31 _163
에돔에 내리는 심판, 이스라엘에 내리는 축복 35,1–36,15 _165
새 마음과 새 영 36,16–38 _167
마른 뼈가 있는 계곡 37,1–14 _169
유다와 이스라엘의 재통일 37,15–28 _171
마곡의 임금 곡 38,1–39,29 _173
곡의 침공 38,1–23 _174
곡의 군대의 패배 39,1–29 _175
장엄한 성전에 관한 환시 40,1–48,35 _178
성전 탐방 40,1–42,20 179
성전의 구역, 문들, 바깥뜰과 안뜰 40,1–47 179
성전 자체 40,48–41,26 _181
사제들의 방과 성전 구역 전체 42,1–20 _182
주님의 영광이 돌아옴 43,1–12 _183
번제 제단 43,13–27 _186
성전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사제직 44,1–31 _187
땅의 분할, 도량형, 축제에 관한 규정 45,1–25 _189
제후, 사제들의 방, 성전 부엌에 관한 규정 46,1–24 _190
생명의 강 47,1–12 _191
이스라엘의 경계선과 땅의 분배 47,13–23 _193
이스라엘 땅의 구분 48,1–29 _194
예루살렘의 성문 48,30–35 _195
참고 문헌 _197
다니엘서 입문
문학적 구조와 장르 _202
저술 연대와 편집사 _203
청중과 주요 주제들 _207
중요성 _210
개요 _211
다니엘서 주해
이야기: 이방 임금의 궁정에서 활약하는 다니엘 1,1-6,29 _215
네부카드네자르의 궁정 내 유배자들 1,1-21 _215
네부카드네자르의 꿈 2,1-49 _219
타오르는 불가마 3,1-97 _226
네부카드네자르의 이상 행동 3,98-4,34 _232
벽에 쓰인 글 5,1-6,1 _236
사자 굴 6,2-29 _240
다니엘의 환시 7,1-12,13 _244
네 마리 짐승과 하느님의 어전 7,1-28 _244
숫양과 숫염소 8,1-27 _251
성경 말씀의 숨겨진 의미와 일흔 주간 9,1-27 _254
계시, 역사 그리고 구원 10-12장 _259
천사를 만난 환시 10,1-11,1 _259
역사에 관한 예언 11,2-45 _262
구원과 심판 12,1-13 _266
그 외 다니엘의 행적 13,1-14,42 _269
수산나 이야기 13,1–64 _269
벨과 뱀 이야기 14,1–42 _273
참고 문헌 _279
옮긴이의 말 _280
책속에서
묵시론은 신약성경의 여러 책, 기원전에서 기원후로 넘어가는 수 세기에 걸쳐 기록된 사해 문서, 유다교와 그리스도교 양쪽 모두의 방대한 비非정경 작품들에서도 발견된다. 묵시론은 신비로운 일들의 계시, 특히 역사의 종말과 최후의 심판에 관한 계시를 다룬다.
묵시적 세계관은 그 자체로 하나의 전통이 되었고, 그리스도교 안에 폭넓게 수용되었다. 하느님의 개입이 임박했다는 기대감은 기원후 1세기 말 이후로 약해졌지만, 이후로도 수세기에 걸쳐 간헐적으로 되살아나고는 하였다. 이와 반대로 라삐 유다교는 묵시론을 거부하였는데, 아마도 로마에 맞선 봉기가 실패하면서 큰 실망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유다교에서도 간헐적이나마 묵시적 열망이 되살아났고, 천상 세계에 관한 묵시적 관심은 중세 초기에 유다교 신비주의가 번성하는 데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
바빌론인들에게 패배하고 유배를 겪은 사건은 에제키엘과 그의 전승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해석의 열쇠이다. 유다가 겪은 재난은 분명 물리적 자산의 붕괴를 가져왔으나, 더 심각한 폐해는 백성이 받은 심리적 충격에 있었다. 특히 이러한 트라우마가 지닌 신학적 의미는 에제키엘서를 이해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