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에제키엘서·다니엘서

에제키엘서·다니엘서

존 J. 콜린스, 폴 M. 조이스, 몰리 M. 잔 (지은이), 강수원 (옮긴이)
성서와함께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900원 -10% 0원
210원
18,6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에제키엘서·다니엘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에제키엘서·다니엘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76354532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5-05-27

책 소개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는 2022년 출간된 The Jerome Bible Commentar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Third Fully Revised Edition의 한국어판이다. 제15권은 존 J. 콜린스의 <구약성경의 묵시록과 종말론>, 폴 M. 조이스의 <에제키엘서>와 몰리 M. 잔의 <다니엘서>로 구성되었다.

목차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약어 _027

구약성경의 묵시록과 종말론
1. 유배 시대 이후의 예언 _038
2. 헬레니즘 시대의 묵시문학 _043
3. 역사 _045
4. 고대 신화의 사용 _049
5. 이원론 _053
6. 천상 존재들 _055
7. 메시아 대망 _057
8. 천상 세계에 들어감 _061
9. 그리스도교에 수용된 묵시론 _065
10. 결론 _067

에제키엘서 입문
저술 연대와 배경 _073
문학적 특징 _075
편집사 _076
신학적 주제 _078
신학적 유산과 영향 _084
개요 _088

에제키엘서 주해
예언자의 소명 1,1–3,27 _091
머리글 1,1–3 _091
어좌-병거 환시 1,4–28 _093
일련의 임무 2,1–3,27 _097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 말씀 4,1–24,27 _101
예언적 상징 행위 4,1–5,17 _101
이스라엘의 산을 향한 신탁 6,1–14 _105
다가오는 심판에 관한 신탁 7,1–27 _106
성전에 관한 첫 번째 환시 8,1–11,25 _107
성전에서 벌어진 역겨운 짓 8,1–18 _107
죄인들을 죽임 9,1–11 _109
사악한 도성을 불태움 10,1–22 _111
심판과 약속 11,1–21 _112
주님이 성전을 떠나심 11,22–25 _119
예언적 상징 행위 12,1–20 _119
지체되지 않는 심판 12,21–28 _120
거짓 예언자를 거슬러 13,1–23 _121
우상숭배자를 거슬러 14,1–11 _122
노아와 다니엘과 욥 14,12–23 _124
포도나무의 비유 15,1–8 _125
부정한 아내인 예루살렘 16,1–63 1_26
독수리와 포도나무 17,1–21 _129
향백나무의 비유 17,22–24 _130
“너희가 다시는 이 속담을 … 말하지 않을 것이다” 18,1–32 _131
사자와 포도나무의 애가 19,1–14 _135
“너희도 조상들의 길을 걸어 자신을 부정하게 만드려느냐?” 20,1–44 _136
심판의 칼 21,1–32 _139
피의 도성 22,1–31 _141
두 자매, 오홀라와 오홀리바 23,1–49 _142
솥의 비유 24,1–14 _144
에제키엘의 아내의 죽음에 관한 신탁 24,15–27 _145
이방 나라에 대한 신탁 25,1–32,32 _147
암몬, 모압, 에돔, 필리스티아에 대한 신탁 25,1–17 _149
티로에 대한 신탁 26,1–28,26 _150
이집트에 대한 신탁 29,1–32,32 _154
전환점 33,1-33 _158
주제들의 요약 33,1–20 _159
“도성이 함락되었다!” 33,21–33 _160
이스라엘에 관한 축복의 신탁 34,1–37,28 _162
나쁜 목자와 좋은 목자 34,1–31 _163
에돔에 내리는 심판, 이스라엘에 내리는 축복 35,1–36,15 _165
새 마음과 새 영 36,16–38 _167
마른 뼈가 있는 계곡 37,1–14 _169
유다와 이스라엘의 재통일 37,15–28 _171
마곡의 임금 곡 38,1–39,29 _173
곡의 침공 38,1–23 _174
곡의 군대의 패배 39,1–29 _175
장엄한 성전에 관한 환시 40,1–48,35 _178
성전 탐방 40,1–42,20 179
성전의 구역, 문들, 바깥뜰과 안뜰 40,1–47 179
성전 자체 40,48–41,26 _181
사제들의 방과 성전 구역 전체 42,1–20 _182
주님의 영광이 돌아옴 43,1–12 _183
번제 제단 43,13–27 _186
성전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사제직 44,1–31 _187
땅의 분할, 도량형, 축제에 관한 규정 45,1–25 _189
제후, 사제들의 방, 성전 부엌에 관한 규정 46,1–24 _190
생명의 강 47,1–12 _191
이스라엘의 경계선과 땅의 분배 47,13–23 _193
이스라엘 땅의 구분 48,1–29 _194
예루살렘의 성문 48,30–35 _195
참고 문헌 _197

다니엘서 입문
문학적 구조와 장르 _202
저술 연대와 편집사 _203
청중과 주요 주제들 _207
중요성 _210
개요 _211

다니엘서 주해
이야기: 이방 임금의 궁정에서 활약하는 다니엘 1,1-6,29 _215
네부카드네자르의 궁정 내 유배자들 1,1-21 _215
네부카드네자르의 꿈 2,1-49 _219
타오르는 불가마 3,1-97 _226
네부카드네자르의 이상 행동 3,98-4,34 _232
벽에 쓰인 글 5,1-6,1 _236
사자 굴 6,2-29 _240
다니엘의 환시 7,1-12,13 _244
네 마리 짐승과 하느님의 어전 7,1-28 _244
숫양과 숫염소 8,1-27 _251
성경 말씀의 숨겨진 의미와 일흔 주간 9,1-27 _254
계시, 역사 그리고 구원 10-12장 _259
천사를 만난 환시 10,1-11,1 _259
역사에 관한 예언 11,2-45 _262
구원과 심판 12,1-13 _266
그 외 다니엘의 행적 13,1-14,42 _269
수산나 이야기 13,1–64 _269
벨과 뱀 이야기 14,1–42 _273

참고 문헌 _279
옮긴이의 말 _280

저자소개

몰리 M. 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일 신학대학의 구약성경 교수이며, 사해 문서 관련 학술지 Dead Sea Discoveries의 총괄 편집장이다. Rethinking Rewritten Scripture(2011), Genres of Rewriting in Second Temple Judais(2020) 외 여러 책을 썼다.
펼치기
존 J. 콜린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일 신학대학의 구약성경 비평 및 해석학 교수이며, Yale Anchor Bible 시리즈의 총괄 편집장이다. 구약성경 묵시론과 헬레니즘 시대의 유다교, 사해 문서 연구로 유명하다. Between Athens and Jerusalem: Jewish Identity in the Hellenistic Diaspora(1983), The Bible after Babel: Historical Criticism in a Postmodern Age(2005) 외 여러 책을 썼다.
펼치기
폴 M. 조이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킹스 칼리지 런던의 구약성경 석좌교수이며, 유다교와 그리스도교의 성경 전승사, 성경 해석학과 방법론 등 성경과 관련한 역사적·신학적 주제들을 폭넓게 연구한다. The God Ezekiel Creates(2014)의 공동 편집자이다.
펼치기
강수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교구 소속으로 2003년 사제품을 받았다. 로마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성서학 석사(S.S.L.)와 박사(S.S.D.)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과 가톨릭신학원에서 구약성경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구약성경 에세이》, 《유딧기》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묵시론은 신약성경의 여러 책, 기원전에서 기원후로 넘어가는 수 세기에 걸쳐 기록된 사해 문서, 유다교와 그리스도교 양쪽 모두의 방대한 비非정경 작품들에서도 발견된다. 묵시론은 신비로운 일들의 계시, 특히 역사의 종말과 최후의 심판에 관한 계시를 다룬다.


묵시적 세계관은 그 자체로 하나의 전통이 되었고, 그리스도교 안에 폭넓게 수용되었다. 하느님의 개입이 임박했다는 기대감은 기원후 1세기 말 이후로 약해졌지만, 이후로도 수세기에 걸쳐 간헐적으로 되살아나고는 하였다. 이와 반대로 라삐 유다교는 묵시론을 거부하였는데, 아마도 로마에 맞선 봉기가 실패하면서 큰 실망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유다교에서도 간헐적이나마 묵시적 열망이 되살아났고, 천상 세계에 관한 묵시적 관심은 중세 초기에 유다교 신비주의가 번성하는 데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


바빌론인들에게 패배하고 유배를 겪은 사건은 에제키엘과 그의 전승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해석의 열쇠이다. 유다가 겪은 재난은 분명 물리적 자산의 붕괴를 가져왔으나, 더 심각한 폐해는 백성이 받은 심리적 충격에 있었다. 특히 이러한 트라우마가 지닌 신학적 의미는 에제키엘서를 이해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