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재무행정학

새재무행정학 (윤영진)

(제5판)

윤영진 (지은이)
대영문화사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7개 3,48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새재무행정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재무행정학 (윤영진) (제5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3489
· 쪽수 : 594쪽
· 출판일 : 2010-08-30

목차

제 1 편 예산론
제1장 예산론 서설 19
제1절 거시적 관점의 예산 보기 19
1. 예산의 구조/20
2. 재정 및 공공부문의 범위/37
제2절 미시적 관점의 예산 보기 49
1. 예산 분류와 예산 과목 체계/50
2. 예산 과목의 분류 체계/52
3. 예산 분류의 유형/60
제3절 배분 기구로서의 예산 71
1. 예산이란 무엇인가?/71
2. 공공부문에서의 희소성/74
3. 예산: 배분의 정치경제학/78
4. 재정 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87
제4절 예산의 규범 91
1. 재정의 기능과 규범/91
2. 예산 운영의 새로운 규범/97
3. 예산 운영의 전통적 규범/103
제2장 예산제도론 109
제1절 예산의 종류 109
1. 예산 성립 시기에 따른 종류: 본예산ㆍ추가경정예산ㆍ수정예산/109
2. 예산 불성립시의 종류: 준예산ㆍ가예산ㆍ잠정예산/112
3. 조세지출 예산제도/114
4. 완전고용 예산제도/118
제2절 예산과 법률의 관계 120
1. 예산의 법적 성격/120
2. 예산과 법률의 관계/121
3. 예산의 법적 성격에 관한 각국의 예/124
제3절 예산 관계 법규 126
1. 예산 관계 법규 체계/126
2. 헌법/127
3. 국가재정법/129
4. 정부기업예산법과 공공기관운영법/132
제4절 예산 관계 조직 134
1. 기본 체제/134
2. 중앙예산기관/136
3. 기타 재무행정조직/142
제3장 예산과정론 144
제1절 예산주기 144
1. 예산주기의 의의/144
2. 예산주기의 특징/145
3. 예산 과정과 정책 과정/146
4. 회계연도/148
제2절 예산의 편성 149
1. 예산 편성의 의의/149
2. 거시적 예산결정과 미시적 예산결정/150
3. 국가재정 운용계획/152
4. 예산총액배분 자율편성제도/154
5. 예산 편성 절차/155
제3절 예산의 심의 164
1. 예산 심의의 의의와 기능/164
2. 예산 심의의 기준/166
3. 예산 심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70
4. 예산 심의의 절차/175
5. 예산 심의의 특징/182
6. 예산 심의의 예외/185
제4절 예산의 집행 187
1. 예산 집행의 의의와 목표/187
2. 예산 집행과 예산통제/188
3. 예산 집행과 신축성 유지 방안/190
4. 예산 집행의 절차/198
5. 예산 집행 과정의 제도 개선/205
제5절 결산 및 회계검사 207
1. 결산/207
2. 회계검사/217
제4장 예산행태론 230
제1절 예산결정기관의 역할 및 행태 230
1. 역할 및 행태의 유형/230
2. 각 기관의 역할 및 행태/232
3. 기관의 역할 및 행태론의 한계/246
제2절 예산전략 247
1. 예산전략의 의의/247
2. 행정 부처의 예산 확보 전략/248
3. 중앙예산기관의 대응 전략/253
4. 예산 요구의 정도와 예산 획득의 관계/255
제3절 예산 내용과 예산 행태 257
1. 경직성 경비와 예산 행태/258
2. 사업 내용과 예산 행태/259
제4절 예산 수요와 예산 행태 261
1. 예산결정요인론/261
2. 예산 수요와 예산 행태/262
제5장 예산이론 264
제1절 예산이론의 전개 264
1. 예산이론과 키의 질문/264
2. 예산결정 이론의 전개/266
3. 예산 체제의 판단 기준/268
제2절 총체주의 269
1. 총체주의의 의의/269
2. 과정 측면에서 총체주의/270
3. 결과 측면에서 총체주의/272
4. 총체주의의 한계/273
제3절 점증주의 274
1. 점증주의의 의의/274
2. 과정 측면에서 점증주의/276
3. 산출 측면에서 점증주의/279
4. 점증주의의 한계/283
5. 총체주의와 점증주의의 비교/285
제4절 다중 합리성 모형 286
1. 다중 합리성 모형의 의의/286
2. 킹던의 정책결정 모형/287
3. 루빈의 실시간 예산 운영 모형/288
4. 다중 합리성 모형의 모색/291
제5절 조직과정 모형 294
1. 조직과정 모형의 의의/294
2. 조직과정 모형의 선언 단계/295
3. 조직과정 모형의 형식화 단계/296
4. 조직과정 모형의 분화 단계/299
5. 조직과정 모형의 확산 단계/300 제6장 예산분석론 303
제1절 사업의 분석 및 평가 303
1. 사업분석의 의의/303
2. 비용-편익분석/305
3. 적용 사례: 고속도로 건설의 타당성 분석/315
4. 예비타당성 조사제도/320
제2절 세입·세출의 예측 325
1. 세입·세출 예측의 의의/325
2. 세입·세출 예측의 필요성/327
3. 세입·세출 예측 방법의 유형/328
4. 예측 방법 선택시의 고려 요인/338
5. 예측 방법의 선택/340
제7장 예산정보론 342
제1절 예산과 정보 342
1. 예산정보의 의의/342
2. 예산정보의 유형/343
3. 예산정보의 수요자/343
제2절 예산정보의 공개 344
1. 예산정보 공개의 의의/344
2. 예산 투명성의 필수 요소/346
3. 정보공개의 전제 조건과 방향/347
4. 예산 투명성 지표 체계/349
제3절 재정정보 시스템 357
1. 재정정보 시스템의 의의/357
2. 재정정보 시스템의 설계/358
3. 우리나라의 재정정보 시스템/364
제8장 예산개혁론 374
제1절 예산제도 개혁의 변천 374
1. 예산제도와 예산정보의 정향/375
2. 품목별 예산제도(LBS)/376
3. 성과주의 예산제도(PBS)/378
4. 계획예산제도(PPBS)/382
5. 영기준 예산(ZBB)/389
6. 새로운 성과주의 예산제도/398
제2절 예산개혁의 이념과 목표 404
1. 예산개혁의 의의/404
2. 예산개혁의 이념과 목표/405
제3절 선진국 예산개혁의 흐름 408
1. 선진국 예산개혁의 연혁/408
2. 예산개혁 흐름의 특징/412
제4절 우리나라 예산개혁의 추진 과정과 방향 415
1. 예산개혁의 목표와 추진 현황/415
2. 재정성과 관리제도/416
3. 디지털 예산회계 시스템의 구축/425
4. 예산회계제도 개혁의 방향/428
제9장 예산과 시민 430
제1절 시민사회의 성장과 재정 민주주의 430
1. 시민사회의 성장과 납세자운동/430
2. 재정 민주주의의 개념과 제도화/431
제2절 납세자 시민단체 433
1. 납세자 시민단체의 유형/433
2. 한국의 예산감시 시민단체/440
제3절 예산 과정에의 시민 참여 443
1. 예산 과정에의 NGO 참여/443
2. 시민 참여의 제도화/446
제 2 편 재정관리론
제10장 정부회계 463
제1절 회계학 체계와 정부회계 463
1. 회계학 체계/463
2. 정부회계의 개념과 특징/465
제2절 회계의 기본 원리 466
1. 회계의 의의/466
2. 회계의 기본 원리/468
3. 회계 실체와 보고 실체/475
4. 회계 기준/477
제3절 회계제도의 유형 478
1. 기장 방식에 의한 구분: 단식부기와 복식부기/478
2. 인식 기준에 의한 구분: 현금주의와 발생주의/482
3. 정부회계 제도의 유형/484
제4절 재무제표 485
1. 재무제표 체계/485
2. 재정상태표/488
3. 재정운영표/490
4. 순자산변동표/494
5. 현금흐름보고서/497
제5절 재정보고 498
1. 재정보고의 의의/498
2. 재정보고 체계/499
제11장 조달 및 계약 관리 504
제1절 예산 집행과 조달행정 504
1. 조달의 의의/504
2. 조달의 목표와 원칙/505
3. 집중 조달과 분산 조달/506
4. 구매, 리스, 아웃소싱의 선택/507
5. 중앙조달기관과 수요기관/508
6. 조달 업무 처리 과정/511
7. 전자조달 시스템/514
제2절 정부 계약 515
1. 정부 계약의 의의/515
2. 정부 계약의 종류/515
3. 정부 계약의 일반적 절차/519
제12장 재정적자 및 채무·채권관리 522
제1절 재정적자와 국가 채무 522
1. 재정정책과 재정적자/522
2. 재정적자와 국가 채무/523
3. 재정적자와 국가 채무의 관리/524
제2절 채무관리 531
1. 채무의 정의/531
2. 채무의 범위와 구성/534
3. 국가 채무 현황/536
4. 채무관리/537
제3절 채권관리 539
1. 국가 채권의 정의/539
2. 국가 채권의 종류/540
3. 채권관리/541

참고 문헌/543
찾아보기/555

저자소개

윤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제학과(경제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행정학 박사) 미국 American University 풀브라이트 객원교수 한국지방재정학회 회장 한국사회서비스학회 회장 대구광역시 재정계획심의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디지털 예산회계기획단 자문위원장 기획예산처 재정정책자문위원회 위원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회계기준심의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위원 함께하는 시민행동 공동대표 좋은예산센터 이사장(현) 계명대학교 교수(현) [주요 저서] 행정개혁실천론(공저, 법문사, 2008) 새행정학(공저, 대영문화사, 2008) 복지재정과 시민참여(공저, 나남, 2007) 행정이론(공저, 대영문화사, 2002)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