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통학

소통학

이광석 (지은이)
대영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2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소통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통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5445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16-07-20

목차

제1부 학문적 관점에서 본 소통

제1장 진정 자유로운 의사소통의 조건: 아도르노와 하버마스 3
제1절 들어가는 말 3
제2절 인식론에 중심을 둔 언어사용의 우선성으로의 전환 5
제3절 주체와 객체의 상호성과 상호 주관성 9
제4절 언어의 이중적 성격 16
제5절 주체와 객체의 상호성의 조건으로서 육체적 계기 19

제2장 언어학에서 본 범세계적 소통 :
너와 나, 바벨탑의 꼭대기에서 마주하다 25
제1절 사람과 삶, 그리고 언어 25
1. 인간의 언어·언어적 인간!/25
2. 언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기/30
제2절 언어의 범세계적 소통 37
1. 언어와 문화/37
2. 소통의 힘, 언어문화/40
제3절 소통을 바로 보기 45
1. 소통의 시대/45
2. 소통의 의미와 의의/48
3. 진정한 소통/51

제3장 소통의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기반 57
제1절 목적론 : 학문적 필요성과 문화적 실천 58
1. 소통의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필요성/58
2. 소통의 문화콘텐츠학의 문화적 실천/64
제2절 대상론 : 문화콘텐츠 68
1. 경험주체와 그 대상/68
2. 문화콘텐츠와 정보-지식-지혜/71
3.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차원/76
제3절 방법론 : 소통현실과 공감의 방법론 78
제4절 소통의 문화콘텐츠학 구조 83

제4장 커뮤니케이션학을 넘어 글로벌 소통학으로: 동서 문화맥락 속의
소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통합적 연구의 필요성 89
제1절 뉴미디어가 여는 새로운 소통의 지평 89
1. 뉴미디어 시대의 화두는 단연 소통/89
2. 소통(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91
제2절 문화적 맥락과 커뮤니케이션(소통) 93
1. 문화에 따른 소통 방식의 차이/93
2. 저맥락 사회 대 고맥락 사회, 직설적 의사소통 대 정황적 소통/95
제3절 서구인의 커뮤니케이션 98
1. 커뮤니케이션의 어원과 그 의미 차원/98
2. 영어 커뮤니케이션의 축소된 의미/100
3. 대화 중심적 커뮤니케이션/102
4. 자기 중심적 커뮤니케이션/103
제4절 커뮤니케이션학의 형성 104
1. 커뮤니케이션학의 원조는 수사학/104
2. 수사학이 웅변학, 스피치학을 거쳐 커뮤니케이션학으로 정착/106
3. 인간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대한 연구로서의 커뮤니케이션학/108
4. 커뮤니케이션학의 전개/110
제5절 소통은 사이-존재인 인간의 사이하기 112
1. 소통의 의미/113
2. 소통의 경험/114
3. 인간이 여는 소통의 차원/119
4. 소통의 기본구조 ‘사이’, ‘사이하다’/121
제6절 글로벌 소통학을 지향하며 124

제2부 문화적 관점에서 본 소통

제5장 프로이트 정신분석에서의 대화와 소통 131
제1절 들어가는 말 131
제2절 히스테리와 최면요법 133
제3절 환자의 저항 137
제4절 전이(轉移, ?bertragung) 139
제5절 정신분석에서의 대화와 소통 141
제6절 맺는말 144

제6장 언어 소통과 문화 147
제1절 언어 지배와 언어 횡단 147
제2절 지구상의 언어 소멸, 우리와 무슨 관계 152
제3절 소통의 세 가지 토대와 차별성 154
제4절 한국의 다문화 사회의 당면 문제 169

제7장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의 상호문화주의적 함의 174
제1절 머리말 174
1. 의사소통모형의 상호문화적 함의/175
2. 의사소통행위이론의 태생적 그늘/179
3. 담론윤리의 실천적 그늘/183
4. 정당화담론 안/팎의 비대칭-정의와 연대의 불균형/186
5. 감정이입으로 재구성된 의사소통행위이론: 정의와 연대의 대칭적 구성/188
제2절 맺음말 : 글로벌 군자상을 기대하며 192

제8장 이문화간 소통지역 ‘마그레브’, 어떻게 볼 것인가? 197
제1절 편견과 실천 사이에서 197
제2절 편견으로부터의 탈주 지역, ‘마그레브’ 200
제3절 이문화간 소통지역, ‘마그레브’ 204
제4절 외부성과 ‘마그레브-기계’로서의 ‘마그레브’ 213

제9장 역사 속에서 배우는 소통의 지혜: 정조의 탕평과 소통의 리더십 218
제1절 소통 부재의 대한민국 리더십, 방향을 잃다 218
제2절 정조의 탕평 소통 리더십 돌아보기 223
1. 정조가 탕평으로 간 까닭은…/223
2. 의견의 정치로 생산적 소통을 극대화하다[峻論蕩平]/231
3. 진리의 정치로 시비를 가리다[皇極蕩平]/237
제3절 탕평 소통의 정면교사와 반면교사-탕평 소통의 공공성과 권위주의 245
제4절 민주 시대의 탕평 소통과 공공 리더십: 사이-소통 리더십, 소통-열음 리더십 253

제3부 소통학의 응용과 탐사

제10장 소통, 정의, 그리고 연대 263
제1절 서론 : 소통윤리학의 필요성 263
제2절 소통윤리학의 조건 : 하버마스의 도덕적 관점 266
제3절 소통의 원칙 : 담론윤리학의 정의원칙 270
1. 이상적 도덕원칙/271
2. 담론윤리학의 전제/275
제4절 담론윤리학을 통한 정의와 연대성의 종합 278
제5절 소통의 관점에서 정의와 연대성의 종합 282
제6절 결 론 285

제11장 소통과 분배적 정의: 분배정의에 대한 시민 선호와
한국복지제도의 실증적 평가 287
제1절 서 론 287
제2절 분배정의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290
1. 정치철학적 분배정의론/290
2. 분배정의의 원칙과 분배제도/295
제3절 연구설계 296
1. 연구모형/296
2. 설문문항 설정/297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298
제4절 연구결과 299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299
2. 분배원칙 선호도 및 불공정성에 대한 인식도 비교/301
3. 다중회귀분석 결과/303
제5절 결 론 307

제12장 소통의 방법과 전략 : 한국 행정의 주민참여 실태와
활성화를 위한 제언 312
제1절 문제 제기: 규범과 당위의 소통에서 실천의 소통으로 312
제2절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317
1. 이론적 논의: 주민참여의 흐름/317
2. 주민참여 유형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322
제3절 사전 조사(pilot research) 및 분석틀 324
1. 사전 조사(pilot research)/324
2. 분석틀과 분석방법/326
제4절 주민참여의 형태와 내용 329
1. 주민참여 형태 분석/329
2. 주민참여의 내용/336
제5절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338

제13장 시장에서의 의사소통에 관한 고찰 :
해석학적 방법론의 원용을 통하여 345
제1절 서 론 345
제2절 의사소통 분석을 위한 틀 348
1. 언어를 바라보는 관점의 통시적 고찰/348
2. 의사소통의 개념화와 개별화/351
3. 의미 확정의 기준으로 구조적 조직화/355
제3절 시장에서 의사소통 분석 356
1. 두 가지 유형의 세계/356
2. 한국 유통에서의 지향/359
3. 연구방법/361
4. 분 석/363
5. 행정학적 측면에서의 함의/368
제4절 결 론 369

저자소개

이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뉴캐슬대(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에서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로 근무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복지정책, 국제행정, 다문화행정 등이며, 최근 논문으로는 “프레임의 명명과 전환 및 검증에 관한 연구: 영국 스코틀란드의 지방자치와 독립 논의를 중심으로” (2016), “치매특별등급 제도운영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2016), “행정학에서 과학주의와 인문학주의의 대립과 대립 넘어서기에 관한 연구” (2016) 등이 있고, 최근 저서로는 「복지언어론: 복지정책학의 과학철학과 인문학주의의 융합」 (2016), 「정책으로서의 행정언어: 국어정책론」 (2016), 「소통학: 학문, 문화, 응용」 (공저, 2016), 「발전행정시대의 정부와 사회: 새마을 운동을 중심으로」 (공저,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