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5575
· 쪽수 : 377쪽
· 출판일 : 2017-03-06
목차
머리말/3
제1장 복지언어의 개념과 필요성 11
제1절 복지언어의 개념 12
제2절 복지언어 논의의 중요성 22
제3절 사유언어 이론 25
제4절 사회권 및 복지권과 복지의무 34
제5절 복지의 모순성 36
제6절 복지와 사회적 연대성 41
제7절 복지와 복지전달체계 44
제2장 복지에서 이론과 실제-연금의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47
제1절 연금제도의 발달 48
제2절 국가지향적 패러다임의 성립과 특색 55
1. 베버리지 모델/55
2. 비스마르크 모델/58
제3절 시장지향적 패러다임의 성립과 특색 60
제4절 연금은 언제 가능한가? 64
제5절 한국의 국민연금제도 65
제6절 영국의 국민연금제도 69
제3장 복지와 일상언어 75
제1절 언어복지 75
1. 공동체 사이의 접촉에서 언어의 중요성/75
2. 진입장벽 이론/78
3. 언어복지와 정부의 역할/80
제2절 복지관료제와 언어 85
1. 언어를 보는 눈/85
2. 복지관료제 언어의 유형/90
3. 복지관료제 언어와 그 문제점: 시민들과 정부 사이 간격 넓히기/96
4. 복지관료제 언어의 은폐효과/98
제3절 쉬운 언어 운동 100
1. 영국의 쉬운 언어 운동/100
2. 미국의 쉬운 언어 운동/102
제4장 복지언어의 연구방법론 104
제1절 복지학에서의 언어적 전회 105
1. 몇몇 학문 분야에서의 언어적 전회/105
2. 외적 접근(E-approach)과 내적 접근(I-approach)/107
3. 복지학에서의 언어적 전회의 의의/109
제2절 복지언어와 세계 113
1. 과학세계의 언어/114
2. 생활세계의 언어/118
3. 포스트모던과 언어/120
제3절 표층구조와 심층구조 122
제4절 복지언어의 연구방법론 143
제5장 복지언어의 모델 151
제1절 복지언어 모델 151
제2절 복지의 핵심가치 153
1.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154
2. 생활세계(Life-World)/161
3. 사회적 행복(social happiness)/172
4. 정의(Justice)/190
제3절 복지패러다임과 복지언어 195
1. 효율성 패러다임/199
2. 공정성 패러다임/203
제6장 매개변인으로서의 복지원리 207
제1절 복지를 보는 관점: 복지주의와 시장주의 210
1. 사회민주주의/216
2. 신우파의 견해/217
제2절 평등과 자유 218
제3절 복지원리로서의 사회통합 222
1. 사회통합성의 개념/222
2. 사회통합성의 구성요소/224
3. 이념 속에서의 사회통합/226
4. 사회통합의 사회정책/227
제4절 공적복지(公的福祉) 229
1. 전통적 공적복지/238
2. 새로운 공공복지/243
제5절 통치기술로서의 실용 246
1. 실용주의(pragmatism)의 두 차원/247
2. 실용으로서의 복지: 중도(The Middle Way)/251
3. 적용과정에서의 굴절/252
제7장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용어 혼용에 대한 연구 260
제1절 서 론 260
제2절 사회복지 측면에서의 언어적 모호성 262
1. 논의의 대상과 선행연구의 검토/262
2. 모호성의 언어(Vague Language) 이론/263
제3절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용어 혼용 265
1. 용어 혼용의 몇 가지 보기/265
2. 논의의 틀/266
제4절 영국의 복지국가와 재편(再編)의 모습 268
1. 복지의 공급자/268
2. 영국의 복지국가와 사회민주주의 모델, 그리고 복지국가의 위기/270
3. 신보수주의적 재편: 복지국가 축소, 다른 복지공급자의 역할 증대/272
4. 신자유주의적 복지국가 개혁/274
제5절 신우파(The New Right)와 신자유주의, 그리고 신보수주의 275
1. 여러 학자들의 구별/276
2. 모호성의 언어(Vague Language)를 넘어서기 위하여/281
3. 두 흐름의 차이가 잘 나타나는 분야/284
제6절 결 론 286
제8장 사회복지 전달체계 287
제1절 서 론 287
제2절 사회복지 전달체계 개편의 관심과 선행연구 288
제3절 영국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292
제4절 한국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297
1. 한국에서의 개편 논의/297
2. 경상북도 읍.면.동사무소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현황/300
제5절 결론 및 정책적 함의 303
1. 역할 분담과 복지사업의 분리 방안/303
2. 깔대기 현상 제거/305
3. 민관협력 체제 구축/305
제9장 패러다임의 전환 315
제1절 현재의 복지모습으로서의 복지언어 315
제2절 사람은 어떻게 해야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가? 332
제3절 복지학에서 과학철학과 인문학주의의 융합 335
참고문헌 343
찾아보기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