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5490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6-02-25
목차
제1장 스마트사회
제1절 스마트사회의 개념과 등장 14
1. 스마트사회의 개념_14
2. 스마트사회의 등장_15
제2절 스마트사회의 특징 17
제3절 스마트워크 20
1. 스마트워크의 의의_20
2. 스마트워크 기대 효과_21
3. 스마트워크센터 현황_22
제4절 스마트사회와 공동체 23
1. 스마트사회에서 공동체 모색_23
2.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정부_25
3. 공동체의 방향 모색의 토대: 미래사회의 전망_27
제2장 긍정적 탐구와 공동체
제1절 긍정적 탐구의 개념 34
제2절 긍정적 탐구의 원리 37
1. 구성주의 원리_37
2. 동시성의 원리_38
3. 시의 원리_40
4. 예상성의 원리_41
5. 긍정성의 원리_42
6. 이야기의 원리_43
제3절 긍정적 탐구의 이점 44
제4절 긍정적 탐구의 접근방법 45
제5절 긍정적 탐구의 과정 47
제6절 긍정적 탐구의 실행과정 50
1. 준비단계_50
2. 공동체에 긍정적 탐구의 도입_52
3. 추진형태의 형태: 긍정적 탐구의 프로세스의 설계_53
4. 임시적 긍정적 주제_53
5. 인터뷰 가이드_53
제7절 긍정적 탐구와 공동체 56
제3장 지역공동체
제1절 지역공동체의 의의 62
1. 지역공동체의 개념_62
2. 지역공동체 구성요소_64
제2절 지역공동체의 유형 66
제3절 지역공동체의 이점 68
제4절 지역공동체의 주요 이슈 71
제5절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필요성 73
제6절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76
1.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큰 그림_76
2. 지역공동체 활성화 기본요건_77
제7절 지역공동체에서 소통하는 방법 79
1. 큰 지도 접근법_80
2. 공동체 프로젝트 수립과정의 공개와구성원들의 참여_80
3. 상호 존중감 갖기_81
4. ICT의 활용_81
5. 소집단 및 소외계층의 배려_82
6. 공동체 소통망(연결망)의 확장_82
7. 소통 목적의 명확화_83
제8절 공동체 리더십 85
1. 리더십의 본질_85
2. 공동체 리더의 특징_86
제9절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실제 90
1. 사회적 경제_90
2. 마을기업_91
3. 정보화마을_93
제4장 ICT와 공동체
제1절 온라인 공동체 102
1. 온라인 공동체 의의_102
2. 인터넷 이용 인구_104
3. 온라인 공동체 관리 팁_105
4. 온라인 공동체 평가 틀_107
제2절 ICT와 온라인 공동체의 영향관계 109
제3절 건전한 온라인 공동체 활동 111
1. 사이버권리침해_112
제5장 인구와 공동체
제1절 공동체에서 인구의 중요성 120
제2절 고령화가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 123
제3절 국내 인구 추이와 미래 128
1. 전체 인구 추이_128
2. 고령자 현황_129
3. 청소년 현황_132
4. 종 합_133
제4절 인구문제에 대한 대응 134
제6장 삶의 질과 행복
제1절 공동체에서 삶의 질과 행복의 의미 140
제2절 삶의 질 141
1. 삶의 질의 개념_141
2. 삶의 질의 측정_142
3. 디지털 문화와 삶의 질_147
제3절 행복과 행복지수 148
1. 행복의 개념_148
2. 행복지수_150
제4절 긍정심리자본 157
제5절 지역공동체 행복지표 160
제7장 사회적 자본
제1절 사회적 자본의 의의 168
1. 자본의 본질과 차원_168
2. 사회적 자본의 개념_169
3. 사회적 자본의 접근 차원_174
4. 사회적 자본의 주제 영역_181
5. 국내 사회적 자본의 연구 실태_183
제2절 사회적 자본의 유형 184
제3절 공동체에서 신뢰 186
1. 신뢰의 중요성_186
2. 신뢰의 본질_187
3. 공동체에서 신뢰의 결정요인_188
제4절 공동체에서 사회적 자본의 영향 190
1. 사회적 자본의 긍정적 효과_191
2.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 효과_192
3.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_193
제5절 사회적 자본의 발전 방안 202
제8장 사회적 통합과 배제
제1절 사회적 포용 및 통합 214
1. 사회적 포용과 통합의 개념_214
2. 사회적 포용과 통합의 필요성_216
3. 공동체 단결_217
4. 포용과 통합의 방안_219
5. 사회적 포용과 통합의 측정_221
제2절 사회적 배제 223
1. 사회적 배제의 대두와 개념_223
2. 사회적 배제의 차원과 측정지표_225
제3절 사회적 배제와 정보격차 229
1. 정보격차의 의의_229
2. 스마트 정보격차_230
제4절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주의 234
1. 다문화사회의 개념_234
2.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사회의 유형_237
3. 다문화 실태_239
4. 다문화지원정책_241
5. 지역공동체에서 이주민들의 통합_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