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3058619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4-12-20
책 소개
목차
제1장 리더십과 팔로어십의 이론적 고찰
1. 리더십의 필요성과 이론
1) 리더십의 필요성
2) 리더십 이론
(1) 특성 이론(1930∼1940년대)
(2) 행동 이론(1940∼1950년대)
(3) 상황 이론(1950∼1960년대)
(4) 리더-구성원 교환 이론(1970년대)
(5) 암묵적 리더십 이론(1970∼1980년대)
(6) 거래적 및 변혁적 이론(1970∼1980년대)
(7) 서번트 리더십(1980∼1990년대)
(8) 최근 리더십 이론(2000년대 이후)
3) 리더십 이론의 평가
2. 팔로어십의 필요성과 이론
1) 팔로어십의 필요성과 특징
(1) 팔로어십의 필요성
(2) 효과적인 팔로어십의 특징
2) 팔로어십 이론
(1) 역할 기반 팔로어십(1950∼1960년대)
(2) 1970∼1980년대
(3) 켈리의 팔로어십 모형(1980∼1990년대)
(4) 찰레프의 용감한 팔로어십 모형(1990∼2000년대)
(5) 2000년대∼현재
3) 팔로어십 이론의 평가
3. 리더십과 팔로어십의 관계
참고문헌
제2장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리더십
1. 디지털 전환의 배경과 내용
1) 디지털 전환의 출현 배경
(1) 디지털 전환 시대의 출현
(2) 디지털 전환 시대의 특징
2)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내용
(1) 디지털 전환의 개념
(2) 공공부문에서 디지털 전환의 의미
3) 조직 수준에서 디지털 전환
2. 새로운 리더십과 팔로어십의 전환 필요성
1) 시대 및 세대의 전환에 따른 조직의 변화
2) 디지털 전환 시대에 리더십의 요구사항
3) 디지털 전환 시대에 팔로어십의 요구사항
4) 새로운 리더십과 팔로어십의 메가적 전환
참고문헌
제3장 디지털 리더십과 팔로어십의 모형
1. 디지털 리더십과 팔로어십의 개념적 모형
1) 디지털 리더십의 개념적 모형
(1) 디지털 리더십의 개념
(2) 전통적 리더십과 디지털 리더십의 비교
(3) 디지털 리더십의 개념적 요소
(4) 공공조직에서 디지털 리더십의 접근 차원
2) 디지털 팔로어십의 개념적 모형
(1) 디지털 팔로어십의 개념
(2) 전통적 팔로어십과 디지털 팔로어십의 비교
(3) 디지털 팔로어십의 개념적 요소
(4) 공공조직에서 디지털 팔로어십 접근 차원
3) 디지털 리더십과 팔로어십의 패러다임의 전환
2. 디지털 리더십과 팔로어십의 평가모형
1) 디지털 리더십의 평가모형과 평가지표
(1) 평가모형
(2) 평가지표
(3) 평가방법
2) 디지털 팔로어십의 평가모형과 평가지표
(1) 평가모형
(2) 평가지표
(3) 평가방법
3) 디지털 리더십과 팔로어십의 통합적 평가모형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