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71103562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08-05-15
책 소개
목차
제 1 장 공동체와 마을만들기
Ⅰ. 공동체의 해체와 와해
Ⅱ. 공동체의 의미와 새로운 탐색
Ⅲ. 공동체 형성을 위한 구상과 마을만들기 사례들
Ⅳ. 마을만들기의 지향성과 실천전략
1. 마을만들기의 지향성 분석
2. 일반적 과정과 전략들
Ⅴ. 맺는 말
제 2 장 21세기 기독 공동체의 비전
Ⅰ. 들어가는 말
Ⅱ. 공동체의 해체요인
1. 대도시화
2. 자기애적 성향과 이기적 공동체
Ⅲ. 한국인의 참자기
Ⅳ. 기독 공동체의 특성
1. 기독교의 공동체성
2. 기독교의 다양한 공동체 구성
Ⅴ. 기독교 공동체의 현실
1. 한국 기독교 공동체의 지나친 경쟁주의
2. 사이비 종교 공동체
Ⅵ. 의례의 기능
Ⅶ. 치료공동체의 예
1. 분리의 작업
2. 변화의 과정
3. 통합의 과정
Ⅷ. 치료공동체의 필요성
Ⅸ. 공동체의 예
1. 브루더호프 공동체 이야기
2. 라브리 공동체 이야기
3. 한국 디아코니아 자매회
4. 태백 예수원
Ⅹ. 나가는 말
제 3 장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을 위한 정부의 역할
Ⅰ. 서 론
Ⅱ.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의 개념적 논의
1. 지역공동체의 개념
2.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의 개념
Ⅲ.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의 방향
1. 공동체 역량구축의 기본방향
2. 마을단위 공동체의 활성화 방향
3. 지역공동체의 형성을 통한 역량구축의 방향
Ⅳ. 지역공동체 역량구축을 위한 정부의 역할
1. 정부역할의 기본방향
2. 공동체 역량강화에 대한 정부역할의 평가 틀
Ⅴ. 결 론
제 4 장 지역공동체 회복
Ⅰ. 왜, 지역공동체인가
Ⅱ. 지역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고 있나
1. 세계적인 토고미
2. 100년 계획 문당리
3. 으뜸마을 진안군
4. 시작하는 갈현동
5. 희망세상 반송동
6. 거버넌스 순천시
Ⅲ. 무엇이 공동체 세우기인가
1. 학습조직
2. 마을규약
3. 마을의제
4. 마을관계
5. 마을비전
Ⅳ. 지역공동체 세우기 주체들의 역할은 무엇인가
1. 주민의 마을만들기 참여와 역할은 생활기본권이다
2. 행정의 효과적 지원은 마을만들기 운영체계를 구축하는 일이다
3. 전문가의 성실한 조언은 비전이 있는 마을을 만들어 낸다
4. NGO의 지속적인 중개활동은 마을만들기 활력소이다
Ⅴ. 요약 및 결론
제 5 장 현대 지역공동체의 의의와 형성전략
Ⅰ. 서 론
Ⅱ. 지역공동체의 의의와 최소단위로서의 동네공동체
1. 지역공동체의 개념과 성격
2. 현대행정에서의 지역공동체의 의의
3. 지역공동체 최소단위로서의 동네
4. 동네를 중심으로 한 지역공동체 운동사례
Ⅲ. 지역공동체 형성전략
1. ‘지역의 제도화’ 모형을 통해 본 지역공동체 형성전략
2.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과정상의 주요 전략
제 6 장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재생
Ⅰ. 머 리 말
Ⅱ. 기존 도시재개발사업 추진동향
1. 주민참여 미흡
2. 자기구역 중심적 개발
3. 지역경제기반 상실
4. 재정착률 감소, 재고주택 감소와 같은 사회적 비용 추가발생
5. 커뮤니티 내 갈등과 불신의 만연
6. 수익성 없는 노후 불량 주택지의 방치로 인한 환경문제
Ⅲ. 서울시의 도시재생정책
1. 도심재창조 프로젝트
2. 뉴타운사업 및 균형발전촉진사업
Ⅳ. 주민참여를 통한 커뮤니티 중심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개념
1. 도시재생이란?
2. 주민참여 도시재개발이란?
3.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재개발이란?
4. 지속가능한 도시재개발이란?
5. 주민참여를 통한 커뮤니티 중심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이란?
Ⅴ. 주민참여를 통한 커뮤니티 중심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방안
1. 도시재생 관련 부문별 기본방향
2. 실천방안
제 7 장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아파트단지 공화국
Ⅰ.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
Ⅱ. 촌충처럼 박힌 무료함의 발톱과 반복되는 일상이 발효시키는 남루한 공기
Ⅲ. 벗어날 수 없는 일상과 버릴 수 없는 욕망, 그 사이의 깊은 절망
Ⅳ. 허공에 아슬아슬하게 매달린 가짜 행복을 찾아 공중을 떠다니는 포자들
Ⅴ. 자기 가족만 배타적으로 사랑해야 한다고 믿는 독점과 자폐의 공간
Ⅵ. 줄행랑과 ‘땅 집’, 그리고 끝없는 직각과 직선의 세계 속 레디메이드 인생
Ⅶ. 거대한 침묵의 조형물이거나 혹은 잔뜩 발기한 거대한 난수표
Ⅷ. 이혼, 자식, 봉양, 사랑의 교환가치로 거래되는 아파트와 처복
Ⅸ. 유동의 문화와 성공한 인생
Ⅹ. 공적 정열과 사적 냉소
제 8 장 도시공동체 회복을 위한 아파트 주민운동
Ⅰ. 서 론
Ⅱ. 도시공동체 이론과 운동의 배경
1. 도시공동체의 이론적 배경
2. 도시공동체운동의 개념적 배경
Ⅲ. 도시공동체운동으로서 아파트 주민운동
1. 아파트 주거의 일반화와 문제점
2. 아파트 주민운동의 유형
Ⅳ. 아파트 공동체운동의 활성화
1. 옥외 공유공간의 활용
2. 아파트 사이버공간의 활용
Ⅴ. 맺 음 말
제 9 장 일본에서의 마을만들기 운동과 대표사례
Ⅰ. 서 론
Ⅱ. 마을만들기란 무엇인가?
1. 마을만들기란 용어에 대해
2. 마을만들기와 도시계획과의 관계에 대하여
Ⅲ. 일본에서의 마을만들기
1. 마을만들기의 등장배경과 발전과정
Ⅳ. 일본의 마을만들기 대표사례
1. 세타가야구의 마을만들기
2. 유후잉 마을의 마을만들기와 장소마케팅 전략
Ⅴ. 결론을 대신하여
제10장 고령자 거주환경과 공동체
Ⅰ. 서 론
Ⅱ. 일본의 고령자정책
1. 개호보험제도 개정안의 특징
2. 개호예방과 지역연계 사업
Ⅲ. 지역사회와 융화되는 고령자 거주환경
1. 지역 커뮤니티 기반의 고령자 공동주택
2. 소규모 다기능 고령자 공동주택
Ⅳ. 맺 음 말
제11장 마을만들기와 단계별 사례
Ⅰ. 서 론
Ⅱ. ‘꿈 그리기’와 ‘보물찾기’
1. 일본 사이타마현 카와고에시 : 역사의 보존과 가로경관 정비 사업
2. 일본 후쿠오카현 호시노무라시 : 별과 문화의 마을만들기
3. 일본 에이메현 마츠야마시 : 21세기형 마을만들기
Ⅲ. ‘역할정하기’와 ‘규칙만들기’
1. 일본 치바현 아비코시 : 사람세우기
2. 일본 미야기현 모토요시쵸 : 주민협의회 활동
Ⅳ. 창의적인 도구들
1. 대안화폐
2. 동네 한바퀴
3. 녹색가게
4. 마을조성을 위한 매칭펀드
Ⅴ. 맺 음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