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시행정론

도시행정론 (박종화 외)

(이론과 정책, 제5판)

박종화 (지은이)
대영문화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시행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시행정론 (박종화 외) (이론과 정책, 제5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7043
· 쪽수 : 556쪽
· 출판일 : 2018-02-05

목차

제5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5


제1부 도시행정의 의의

제1장 도시와 도시문제 23

제1절 도시의 개념 23
1. 정치학적 시각/24
2. 경제학적 시각/25
3. 사회학적 시각/26
4. 객관적 및 행정적 정의/29
5. 기능적 정의/29
제2절 도시문제 32
1. 도시문제의 의의/32
2. 도시문제의 범주/33
3. 도시문제의 유형/34

제2장 도시행정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 범위 43
제1절 도시행정의 대두 배경 43
1. 도시 성장과 쇠퇴/44
2. 지방자치와 지방분권화/44
제2절 도시행정의 학문적 성격 45
1. 종합성/45
2. 응용성/46
제3절 도시행정의 연구 범위 47
1. 전통적 연구 범위/47
2. 최근의 연구 범위/48
제4절 도시행정의 구성 요소 49
제5절 도시행정의 이념 50
1. 효율성/51
2. 합법성/51
3. 민주성/51
4. 형평성/52
5. 대응성/52
6. 자치성/53


제2부 도시에 대한 이론적 접근

제3장 도시화 57

제1절 도시화의 의의 57
1. 도시화의 개념/57
2. 도시화의 결정 요인/57
제2절 도시화의 추세 및 특징 59
1. 도시화 추세/59
2. 도시화의 특징과 문제점/61
제3절 도시화의 새로운 전망 64

제4장 도시의 체계와 성장 66
제1절 도시의 체계와 성장의 의의 66
제2절 도시의 공간구조 67
제3절 도시의 토지 이용 68
1. 기능별 토지 용도/68
2. 중심지이론/69
제4절 도시의 계층 72
1. 도시 계층의 의의/72
2. 도시의 규모/74
제5절 도시의 성장 77


제3부 도시정부와 행정

제5장 도시정부 81

제1절 도시정부의 통치구조 81
1. 시장(市長)-시의회 형태/81
2. 위원회 형태/86
3. 시의회-지배인 형태/88
4. 평가/90
제2절 도시정부 체계 91
1. 도시정부 체계의 의의/91
2. 도시정부 체계의 접근 방법/92
제3절 도시정부의 기능 106
1. 도시정부 기능의 유형/106
2. 정부간 기능 배분의 기준/109
3. 우리나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기능 배분/117
4. 정부 기능에 대한 평가 기준/118
제4절 도시정부의 혁신 122
1. 혁신의 개념/122
2. 도시정부 혁신 체계의 목표와 전략/125
3. 도시정부의 혁신 주체/126
4. 외국 도시정부의 혁신전략/126

제6장 도시정책 131
제1절 도시정책의 의의 131
1. 도시정책의 개념/131
2. 도시정책의 순환 과정/133
제2절 정책 과정에 관한 일반이론 134
1. 의사결정론/134
2. 체제이론/135
3. 다원론과 엘리트론/137
4. 하위정부이론/137
5. 공공선택이론/138
6. 마르크스주의이론/139
제3절 도시정책 과정 140
1. 정책의제 채택/140
2. 정책결정/143
3. 정책집행/148
4. 정책평가/150
5. 정책종결/156
제4절 도시정책 과정에의 참여자 158
1. 공식적 참여자/158
2. 비공식적 참여자/160

제7장 도시재정 163
제1절 도시정부의 예산 163
1. 예산의 의의/163
2. 도시정부 예산의 일반 원칙/167
3. 도시정부의 예산 과정/168
제2절 도시정부의 세입 176
1. 도시정부 세입의 의의/176
2. 세입분석의 단계 모형/177
3. 세입의 효율성과 형평성/179
4. 시세(市稅)/182
5. 세외수입/189
6. 도시재정 조정제도/196
7. 지방채/201
제3절 도시정부의 세출 206
1. 도시정부 세출의 의의/206
2. 경비의 분류/206
3. 지출분석/208

제8장 도시 공공서비스 213
제1절 도시 공공서비스의 의의 213
1. 공공서비스의 성격/213
2. 서비스의 분류/215
3. 공공개입의 필요성/220
4. 시장이 갖는 장점/222
5. 새로운 시각/224
제2절 도시 공공서비스의 공급 체계 225
1. 공공서비스 공급 체계의 의의/225
2. 공공서비스 공급 요소 간의 역할 체계/226
3. 정부의 직접 공급/229
4. 관민 파트너십/231
5. 민간 부문과의 계약/232

제9장 광역행정 235
제1절 광역행정의 의의 235
1. 광역행정의 개념/235
2. 광역행정의 필요성/236
제2절 광역행정의 대상 238
1. 주변 요소 의존형/238
2. 지역연결형/239
3. 기능연계형/239
4. 입지제한형/239
5. 기반 규모 의존형/239
제3절 광역행정사무의 분류 기준 240
1. 존스의 기준/240
2. 정부간 관계자문위원회의 기준/241
3. 펄로프의 기준/242
4. 기타 기준/243
제4절 광역행정의 방식 243
1. 구조적 개편을 수반하지 않는 방식/244
2. 구조적 개편을 수반하는 방식/246
3. 논의와 평가/249
제5절 광역행정의 장?단점 250
1. 광역행정의 장점/250
2. 광역행정의 문제점/251
제6절 우리나라의 광역행정 252
1. 행정협의회/252
2. 지방자치단체조합/253
3. 단일정부/254


제4부 도시계획과 분석 기법

제10장 도시계획 257

제1절 도시계획의 의의와 유형 257
1. 도시계획의 개념/257
2. 도시계획 과정/258
3. 도시계획의 유형/260
제2절 도시계획 사상의 시대적 변천 262
1. 공중위생 개선운동/262
2. 도시미화운동/264
3. 사회경제적 변수/265
4. 토지 이용과 생태학적 배려/267
5. 뉴어바니즘과 스마트 성장/268
제3절 우리나라의 도시계획 제도 269
1. 도시계획 제도의 시대적 변천/269
2. 도시계획 체계/271
3. 단계별 도시계획의 비교/272

제11장 도시분석 기법 275
제1절 도시 인구의 예측모형 275
1. 도시 인구 예측의 의의/275
2. 도시 인구 예측모형/276
제2절 도시경제의 분석모형 283
1. 경제기반모형/283
2. 변화-할당모형/291
3. 지역투입-산출모형/297
제3절 도시 공공사업의 비용편익분석 기법 303
1. 비용편익분석의 의의와 절차/303
2. 비용편익분석의 평가 기준/308


제5부 도시행정의 실제

제12장 도시개발 319

제1절 도시개발의 의의 319
1. 도시개발과 관련된 환경의 변화/319
2. 도시개발의 개념/320
제2절 도시개발 전략 321
1. 전원도시관/321
2. 계획전략/322
3. 개선전략/323
제3절 신도시 개발 325
1. 신도시 개발의 개념/325
2. 신도시 개발의 목표/325
3. 신도시 개발의 유형/326
4. 신도시 개발의 주요 이슈/326
5. 우리나라의 신도시 개발/327
제4절 도시재개발 329
1. 도시재개발의 법적?제도적 변천 과정/329
2. 도시재개발 시행의 이유/330
3. 도시재개발의 유형/331
4. 도시재생/333
제5절 광역도시권 개발 335
1. 광역도시권 개발의 의의/335
2. 광역도시권 개발의 문제점/336
제6절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 340
1.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의 의의/340
2. 지속 가능한 개발의 대두/342
3. 지속 가능한 개발의 전략/343

제13장 도시경제 345
제1절 도시경제의 의의 345
1. 도시경제와 산업/345
2. 도시 산업구조의 변화와 산업도시의 유형/346
3. 도시경제 성장과 산업생산 체제/348
제2절 도시경제 정책 349
1. 테크노폴리스/349
2. 테크노파크/353
3. 비즈니스 인큐베이터/354
4. 산업장려지구/356
5. 산업 클러스터/358
제3절 도시경제 정책 수단 360
1. 공공교육과 직업훈련/360
2. 기반시설 공급/360
3. 토지이용정책/360
4. 보조금 프로그램/361
5. 환경정책/361
제4절 주요 도시의 산업구조 변화와 도시경제 정책 361
1. 서울/361
2. 피츠버그/363
3. 브레멘/364

제14장 도시토지 366
제1절 토지시장의 특성과 정부 개입의 필요성 366
1. 불완전 경쟁적 토지시장/366
2. 시장실패/368
제2절 도시토지 정책과 도시토지 이용계획 369
1. 도시토지 정책/369
2. 도시토지 이용계획과 공익/371
제3절 도시토지 정책 수단(Ⅰ): 토지 이용 규제 373
1. 도시계획과 토지이용계획/373
2. 토지이용계획과 용도지역?지구제/374
3. 용도지역?지구제의 연혁/375
4. 용도지역?지구제의 내용/377
5. 전통적인 용도지역?지구제의 문제점/382
6. 새로운 도시토지 이용 규제 방법/383
제4절 도시토지 정책 수단(Ⅱ): 토지 개발과 공급 386
1. 토지개발사업의 종류/386
2. 토지구획 정리사업/387
3. 공영개발사업/390
4. 도시개발사업/392
제5절 도시토지 정책 수단(Ⅲ): 개발이익 환수제도 394
1. 개발이익 환수의 의의/394
2. 과세적 방법/395
3. 비과세적 방법/396

제15장 도시주택 397
제1절 도시주택의 의의 397
1. 주택의 개념/397
2. 주택의 특성/398
3. 주택의 종류/398
제2절 도시주택 문제 399
1. 주택문제의 개념/399
2. 주택문제의 유형/399
제3절 도시주택 정책 404
1. 주택시장에의 정부 개입에 대한 이론적 대립/404
2. 도시주택 정책의 유형/406
3. 우리나라의 도시주택 정책/408

제16장 도시교통 417
제1절 도시교통의 의의 417
1. 도시와 교통/417
2. 도시교통의 기능과 특성/418
3. 교통 체계와 토지이용 체계/421
제2절 도시교통 문제 423
1. 도로교통 혼잡/423
2. 주차문제/424
3. 대중교통 수단의 문제/424
4. 교통공해/425
5. 교통사고/426
제3절 도시교통 정책 427
1. 지하철 시대의 대중교통 체계 정비/428
2. 도시 공간구조의 다핵화/429
3. 교통시설의 확충과 정비/429
4. 교통 체계 관리/430
5. 교통수요 관리/431
6. 도시교통 행정 체계/431
7. 신교통 수단/433
8. 지능형 교통 체계/434

제17장 도시환경 437
제1절 도시환경 보전의 의의 437
제2절 도시환경의 주요 변수 439
1. 대기오염/440
2. 수질오염/441
3. 폐기물/442
제3절 도시환경 정책 444
1. 도시환경 정책의 기본 방향/445
2. 대상 분야별 대책/446
3. 도시환경 정책의 문제점/453
제4절 새로운 선택과 과제 455

제18장 도시재난 458
제1절 재난의 개념 및 특징 458
1. 재난의 개념/458
2. 재난의 특징/459
제2절 재난의 유형 460
제3절 재난관리의 체계 461
제4절 재난관리의 방향 464
1. 재난관리의 체계화/464
2. 재난 연구의 활성화/465
3. 재난에 대한 의식 개혁 및 안전문화의 정착/465

제19장 도시빈곤 467
제1절 빈곤의 개념 467
1. 절대적 빈곤/468
2. 상대적 빈곤/469
3. 도시빈곤의 형성과 영향/470
제2절 빈곤의 원인 471
1. 개인적 측면/471
2. 사회적 측면/472
3. 빈곤문화 가설/473
제3절 빈곤 대책 474
1. 사회적 효용성/474
2. 인적 자본에의 투자/475
3. 소득이전/475
4. 재활 서비스/476
5. 참여 및 조직/476

제20장 도시범죄 478
제1절 도시범죄 478
1. 도시범죄의 개념/478
2. 범죄행위의 유형/481
3. 범죄의 원인/481
4. 범죄 예방 활동의 적정 수준/483
5. 범죄 예방 예산의 배분/486
제2절 도시경찰 488
1. 도시범죄와 경찰/488
2. 경찰 업무의 속성/489
3. 경찰의 특성/492
4. 경찰 행태의 근원/494
5. 경찰 업무와 역할/495
6. 경찰정책의 이슈/497


제6부 도시행정의 미래

제21장 도시행정의 새로운 방향 모색 505

제1절 미래 사회와 도시 현상 505
1. 정보통신의 발달/505
2. 교통 체계의 발달/507
3. 도시산업 구조의 변화/508
4. 국제화와 도시 체계의 변화/508
5. 지방자치의 활성화/509
6. 인구의 고령화와 복지 수요의 증가/510
7. 1~2인 가구의 증가와 주택 수요의 변화/510
8. 도시 내 빈곤과 양극화/511
제2절 도시행정의 방향 512
1. 도시정부의 정책개발 기능 강화/512
2. 광역행정 체제의 정비/513
3. 민간자본의 도입과 활용/514
4. 도시개발의 합리화/515
5. 도시행정의 국제화/516
6. 복지행정의 강화/517
7. 스마트 도시 인프라의 구축/517
8. 포용도시 정책의 강화/519
9. 관민 파트너십과 협치의 강화/519
10. 도시경영 전문가의 육성과 훈련/520


참고 문헌/522
찾아보기/547

저자소개

박종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럿거스 대학교 도시계획 및 정책개발학과를 졸업(계획학 박사 Ph.D.)한 후, 1990년 부터 경북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으며,1998~1999년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교수, 그리고 2007~2008년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교수로 근무하였다. 최근 연구의 관심은 도시 및 지역개발과정에서의 갈등관리와 지역경제성장 과정에서 첨단기술 산업의 입지와 영향 분석등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