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7173
· 쪽수 : 442쪽
· 출판일 : 2018-08-31
목차
제2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7
제1편 위기관리 연구의 기초
제1장 위기관리학의 의의21
제1절 위기관리의 개념과 기원21
제2절 위기관리의 기원26
제3절 위기관리의 가치와 성격29
1. 위기관리의 이념적 가치/29
2. 위기관리와 민주주의/33
3. 위기관리의 일반적 성격/36
제2장 위기관리학의 학문적 발전과 특징40
제1절 위기관리학의 학문적 발전의 필요성40
제2절 위기관리학의 학문적 발전의 장애 요인44
제3절 위기관리학의 학문적 연구 동향48
제4절 위기관리학의 학문적 특징58
제5절 위기관리의 제학문적 성격62
제3장 위기관리학의 연구 관점과 접근법65
제1절 학문별 위기관리 연구 관점65
1. 심리학 관점/66
2. 사회학 관점/69
3. 정치학 관점/70
4. 경제학 관점/74
5. 행정학 관점/76
제2절 위기관리 정책집행 접근법79
1. 하향식 접근법/80
2. 상향식 접근법/81
3. 상황적 접근법/82
제3절 위기관리정책의 연구 접근법83
1. 행정제도 접근법/84
2. 인지학습 접근법/87
3. 의사결정 접근법/89
4. 집행과정 접근법/91
5. 집행구조 접근법/94
제4장 정부 위기관리 서비스와 불확실성101
제1절 시장 실패와 정부의 위기관리 서비스101
1. 시장 실패의 유형과 정부 개입/101
2. 위기관리 정부 실패 가능성/106
3. 공공재의 특성과 유형/107
4. 공공재의 공급 수준/110
제2절 불확실성 하에서의 위기관리 역량112
1. 예방 투자의 회피 성향과 위기관리정책 의사결정/112
2. 행정 역량과 참여 자율 역량/115
제2편 포괄적 안보와 위기관리
제5장 환경의 변화와 위기관리 전략121
제1절 미래 환경의 변화121
1. 국제 환경/121
2. 정치 환경/123
3. 경제 환경/124
4. 사회 문화 환경/126
5. 자연 환경/126
제2절 안보 환경의 변화와 미래 사회 위기127
1. 안보 환경의 변화/127
2. 미래 사회와 위기/131
제3절 환경의 불확실성과 위기관리135
1. 환경의 불확실성/135
2. 미래 사회의 위기관리/136
제4절 위기관리의 전략과 과정140
1. 위기관리 전략/140
2. 위기관리의 과정/144
제6장 포괄적 안보와 국가위기 유형152
제1절 국가 안보의 의의152
제2절 포괄적 안보의 개념156
제3절 국가위기 유형161
제7장 국가위기의 종류166
제1절 국민생활안전 위기166
1. 국민생활안전 위기의 의의/166
2. 일상적 위해와 국민생활안전 위기/168
3. 국민생활안전 위기 영역의 분류/172
제2절 재난 위기175
1. 자연재난 위기/176
2. 인적재난 위기/178
제3절 전통적 군사 안보 위기181
1. 전통적 군사 안보 위기의 의의/181
2. 테러리즘의 유형/184
3. 대테러리즘의 특성과 유형/189
제4절 국가핵심기반 위기191
1. 국가핵심기반 위기의 의의와 보호 조치/191
2. 국가핵심기반 위기관리 체계/197
3. 국가핵심기반 위기의 유형/198
제8장 국가위기관리의 영역204
제1절 국가위기204
제2절 국가위기와 국가위기관리208
제3절 국가위기관리의 영역210
제4절 위기관리의 의의와 성격216
1. 위기의 종류와 특징/216
2. 위기관리의 성격/219
제9장 통합위기관리시스템223
제1절 통합위기관리시스템의 의의223
1. 통합위기관리시스템의 개관/223
2. 통합위기관리시스템의 의미/225
3. 통합위기관리시스템의 이념적 가치와 목표/228
제2절 통합위기관리시스템의 구성 요소230
제3절 통합위기관리시스템의 효율화 변수233
제4절 총체적 위기관리 모형239
제3편 위기관리 과정
제10장 예방 단계245
제1절 의 의245
제2절 예방 단계의 중요성248
제3절 예방 단계에서의 활용 기법253
1. 예방 정책/254
2. 건축물 보호/259
3. 구조적 보호시설물 건설/261
4. 자연자원 보호/263
5. 주민 계몽 및 홍보/264
제11장 대비 단계268
제1절 의 의268
제2절 대비 단계의 중요성271
제3절 대비 단계에서의 활용 기법274
1. 위기관리 교육 및 훈련/274
2. 대피소의 지정과 대피계획 수립/278
3. 자원봉사자의 역할/281
4. 위기관리 기관 평가/282
5. 위기관리 계획 수립과 지방정부 간 상호 협력/284
제12장 대응 단계288
제1절 의 의288
제2절 대응 단계의 중요성과 활동291
1. 대응 단계의 중요성/291
2. 대응 단계의 활동/292
제3절 대응 단계에서의 기능297
1. 위기 경보 기능/297
2. 소개 기능/298
3. 응급의료 서비스 기능/299
4. 탐색 구조 기능/300
5. 질서유지 기능/301
6. 긴급피해복구 기능/301
제13장 복구 단계302
제1절 의 의302
제2절 복구 단계의 중요성과 활동305
제3절 복구계획308
제4절 복구에서 고려할 사항310
제4편 위기관리 체계
제14장 위기관리와 지방정부317
제1절 의 의317
제2절 위기관리에서 지방정부의 역할320
제3절 지방정부의 위기관리와 현황 분석324
1. 지방정부 위기관리의 이론적 검토/324
2. 지방정부의 위기관리 현황/328
제4절 지방정부의 바람직한 위기관리 역할332
제15장 위기관리 거버넌스338
제1절 위기관리정책과 다조직적 관계338
1. 위기관리정책의 특징/338
2. 위기관리 정책결정의 의의/341
3. 위기관리의 다조직적 관계/344
제2절 거버넌스와 위기관리347
1. 거버넌스의 의의/347
2. 위기관리 거버넌스의 흐름/348
제3절 위기관리 거버넌스와 네트워크351
1. 위기관리 거버넌스의 의미/351
2. 위기관리 거버넌스의 네트워크/353
3. 지방정부의 위기관리 거버넌스 네트워크/362
제4절 위기관리 거버넌스의 추진 전략364
1. 기본 방향과 정책목표/364
2. 위기관리 거버넌스의 정책목표별 추진 전략/365
3. 위기관리 거버넌스 네트워크 참여조직/367
제16장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372
제1절 의 의372
제2절 위기관리와 커뮤니케이션375
제3절 귀인 이론379
제4절 이미지 회복 이론382
제5절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384
제17장 위기관리와 이재민 구호387
제1절 의 의387
제2절 이재민 구호 체계389
1. 민 관 협력 체계/389
2. 구호물자 전달 체계/392
3. 이재민 구호 교육 체계/393
4. 현장긴급대응 체계/394
5. 의연금 모금 배분 체계/396
제18장 위기관리 법 제도400
제1절 의 의400
제2절 위기관리 법 제도의 이념적 정향성과 원칙402
1. 위기관리의 이념적 정향성/402
2. 위기관리 법제화 추진의 원칙/404
3. 위기관리 법 제도의 주요 내용/407
참고문헌/412
찾아보기/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