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재무행정학

재무행정학 (신무섭 외)

(개정8판)

신무섭, 주상현 (지은이)
대영문화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5,000원 -10% 1750원 29,750원 >

책 이미지

재무행정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재무행정학 (신무섭 외) (개정8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재무/금융
· ISBN : 9788976447418
· 쪽수 : 638쪽
· 출판일 : 2019-08-30

목차

개정 8판 머리말/3
초판 머리말/5
감사의 말/8

Chapter 01 재무행정학이란 무엇인가? 23
제1절 재무행정 연구의 중요성 24
1. 재무행정을 공부하는 이유/24
2. 재무행정 연구가 중요한 이유/26
제2절 재무행정이란 무엇인가? 29
1. 재무행정의 예/29
2. 재무행정의 개념/33
제3절 재무행정은 어떻게 연구되어 왔나? 35
1. 서울대의 유훈 교수/36
2. 서울대의 강신택 교수/37
3. 고려대의 이문영 윤성식 교수/38
4. 연세대의 배득종 교수/38
5. 계명대의 윤영진 교수/39
6. 연세대의 하연섭 교수/40

Chapter 02 정부 활동과 예산 43
제1절 정부 활동의 특성과 종류 44
1. 정부와 관련한 용어/44
2. 정부 활동의 특성과 종류/45
제2절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49
1. 가족의 치매환자 돌보기와 치매 도우미 사업/49
2. 경찰서와 사설 경비회사/50
3. 시의 아동복지시설과 민간 아동복지시설 활동/51
4. 버스와 택시/51
5. 요약: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구분/53
제3절 정부 활동과 통합예산과 재정 54
1. 정부 활동의 운영 단위/54
2. 통합예산의 개념/55
3. 통합예산과 포괄 범위 논쟁/56
4. 정부 활동과 재정과 통합예산/58

Chapter 03 예산의 개념과 기능 및 원칙 61
제1절 재무행정과 예산 62
1. 재무행정의 예/62
2. 공무원과 재무행정/63
3. 재무행정과 예산/64
제2절 예산의 개념 65
1. 예산은 정보이다/66
2. 예산은 계획이다/66
3. 예산은 정책이다/67
4. 예산은 국민과의 계약이다/67
5. 예산 재정 회계/68
제3절 정부 예산과 민간기업 예산의 차이 69
1. 목적과 동기/69
2. 규모와 범위/70
3. 참여자의 다양성/71
4. 법적 제약/71
5. 경비 부담자와 사용자의 불일치/72
제4절 예산의 기능 72
1. 정치적 기능/72
2. 행정적 기능/73
3. 법률적 기능/73
4. 경제적 기능/74
제5절 예산의 원칙 74
1. 일반 원칙/74
2. 경제학적 관점과 행정학적 관점/75
3. 입법부 우위의 예산 원칙과 행정부 우위의 예산 원칙/76
4. 국가재정법 상의 예산 편성과 집행 원칙/81
5. 예산 원칙과 재정준칙/81

Chapter 04 예산의 종류와 분류 83
제1절 예산의 종류 84
1. 의 의/84
2. 예산의 종류/84
3. 예산의 종류와 예산 운영/94
제2절 예산의 분류 96
1. 의 의/96
2. 예산의 분류/97
3. 예산 분류와 예산 운영/118

Chapter 05 재무행정의 조직과 법적 기초 127
제1절 재무행정의 조직 128
1. 의 의/128
2. 기본 체제/129
제2절 중앙예산기관 130
1. 의 의/130
2. 유 형/131
3. 기 능/136
4. 우리나라 중앙예산기관의 변천과기획재정부 예산실/138
제3절 재무행정의 법적 기초 144
1. 의 의/144
2. 헌법과 법률 체계/145
3. 국세기본법 국세징수법 기타 세법/147
4. 국가재정법 정부기업예산법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148
5. 국가회계법/153
6. 국고금관리법/154
7. 지방재정법 지방세법 지방공기업법/155
제4절 요 약 157
1. 재무행정의 조직/157
2. 중앙예산기관/157
3. 재무행정의 법적 기초/158

Chapter 06 예산 과정 161
제1절 예산과 회계연도 및 예산 과정의 중복 162
1. 예 산/162
2. 회계연도와 예산 과정의 중복/165
제2절 중앙정부 예산 과정 166
1. 예산 편성/166
2. 예산 심의/172
3. 예산의 집행/176
4. 결산과 회계검사/181
제3절 지방자치단체 예산 과정 184
1. 예산 편성/185
2. 지방의회의 예산 심의 의결/188
3. 예산의 집행/190
4. 결산과 회계검사/192

Chapter 07 예산 이론 197
제1절 예산 이론의 발전과 이론의 유형 198
1. 예산 이론의 발전/198
2. 예산 이론의 유형/203
제2절 시장실패론과 비시장실패론 204
1. 시장실패론/205
2. 비시장실패론/208
제3절 예산팽창론 212
1. 국가 활동 증대의 법칙/212
2. 전위 효과/213
3. 정부 서비스 가격의 상대적 효과/214
4. 지대 추구와 연합 형성/214
5. 리바이어던이론과 재정환상론/214
6. 문화이론/215
7. 자본주의 국가 재정위기론/216
제4절 예산결정요인론 217
제5절 공공선택론 218
제6절 총체주의 221
1. 총체주의의 특징/223
2. 총체주의의 한계/224
제7절 점증주의 225
1. 점증주의의 특징/227
2. 점증주의의 한계/229
제8절 모호성모형 232
1. 모호성모형의 특징/235
2. 모호성모형의 한계/237
제9절 단절균형이론 240
1. 단절균형이론의 특징/242
2. 단절균형이론의 한계/244
제10절 다중합리성모형 245
1. 다중합리성모형의 특징/247
2. 다중합리성모형의 한계/251
제11절 요 약 252
1. 예산 이론의 발전과 유형/252
2. 시장실패론과 비시장실패론/253
3. 예산팽창론/254
4. 예산결정요인론/254
5. 공공선택론/255
6. 총체주의(합리모형)/255
7. 점증주의(Incrementalism)/256
8. 모호성모형(Ambiquity model)/256
9. 단절균형이론(Punctuated equilibrium theory)/256
10. 다중합리성모형(Multiple rationalities model of budgeting)/257

Chapter 08 기획(계획)과 예산 261
제1절 기획의 의의와 종류 262
1. 예산 편성과 기획/262
2. 기획의 정의/263
3. 기획(계획)의 종류/267
제2절 기획 과정 269
1. 발전기획 과정/270
2. 사업기획 과정/273
제3절 계획과 예산 274
1. 계획과 예산의 차이/274
2. 계획과 예산의 괴리/275
제4절 중기재정계획(국가재정운용계획) 282
1. 중기재정계획의 의의/282
2. 우리나라의 중기재정계획: 국가재정운용계획/283
3. 국가재정운용계획의 수립 절차/288

Chapter 09 입법부와 예산 심의 과정 293
제1절 행정국가와 입법부 294
1. 행정국가의 본질/294
2. 입법부와 행정부의 힘의 원천/295
3. 입법부와 행정부의 관계/298
제2절 입법부의 역할과 유형 302
1. 입법부의 역할/302
2. 입법부의 유형/304
제3절 입법부의 구성과 예산 심의 절차 308
1. 단원제와 양원제/309
2. 본회의 중심주의와 위원회 중심주의/309
3. 입법 활동 보좌기관/309
4. 예산 심의 절차/310
5. 요 약/312

Chapter 10 예산 집행 317
제1절 예산 집행의 의의 318
1. 책임의 확보/318
2. 예산통제/319
3. 신축성의 유지/319
제2절 예산 집행의 절차와 관련 기관의 기능 320
1. 예산 집행의 절차/320
2. 관련 기관의 기능/323
3. 예산 집행의 측면들/326
제3절 예산의 통제와 신축성 유지 방법 337
1. 예산의 통제 방법/337
2. 신축성 유지 방법/339

Chapter 11 결산과 회계검사 345
제1절 결산의 의의와 과정 346
1. 결산의 의의/346
2. 결산의 과정/347
제2절 회계검사기관의 조직과 기능 349
1. 회계검사의 의의/349
2. 회계검사기관의 유형/349
3. 영국의 회계검사원/351
4. 미국의 회계검사원/353
제3절 우리나라 감사원의 조직과 기능 356
1. 연 혁/356
2. 조 직/356
3. 기 능/357
4. 감사(회계검사)의 절차, 종류, 방법/363
5. 감사원 감사와 국정감사/369

Chapter 12 예산 개혁 379
제1절 예산 개혁의 개념과 방법 380
1. 예산 개혁의 개념/380
2. 예산 개혁의 지향/381
3. 예산 개혁의 과정과 접근 방법/384
4. 예산 개혁의 대략적 흐름/386
제2절 예산 제도의 전개 392
1. 품목별 예산 제도/392
2. 성과주의 예산 제도/394
3. 계획예산 제도/399
4. 영기준 예산 제도/406
5. 성과관리 예산 제도/418
6. 예산 제도의 비교/432
제3절 최근 한국의 예산 개혁과 특징 436
1. 한국의 예산 개혁에 대한 연구/436
2. 최근 한국의 예산 개혁과 성과관리 예산 제도/437

Chapter 13 조세 체제와 세무행정 451
제1절 조세와 조세 제도 452
1. 조세의 개념과 분류/452
2. 조세의 원칙/459
3. 우리나라의 조세 제도/462
제2절 세무행정 조직과 기능 476
1. 세무행정 조직의 변천/476
2. 세무행정 조직의 기능/481
3. 조세구제 제도의 의의와 절차/483

Chapter 14 정부회계 487
제1절 정부회계의 이해 488
1. 정부회계의 의의와 종류/488
2. 정부회계의 기능과 원리 및 회계책임관/493
3. 정부회계 기준과 원칙/503
4. 정부회계의 실체/505
제2절 정부회계 제도의 유형과 구분 506
1. 정부회계 제도의 유형/506
2. 정부회계 제도의 구분/507
제3절 결산보고서와 재무제표 512
1. 재정보고 및 국가회계 법령 체계/512
2. 결산보고서/513
3. 재무제표/514
제4절 정부회계 변화 방향 523

Chapter 15 정부 예산과 재정관리 527
제1절 재정환경의 변화와 재정관리의 필요성 528
1. 재정환경의 변화/528
2. 재정관리의 필요성/530
제2절 재정정책과 적자재정 531
1. 국가의 재정정책/531
2. 국가 재정전망과 적자재정/533
제3절 국가채무 관리 534
1. 국가채무의 개념과 범위/534
2. 국가채무 실태/542
제4절 재정건정성과 재정위기 546
1. 재정건전성/546
2. 재정위기/551
3.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재정관리 도구/554

Chapter 16 조달과 계약 563
제1절 정부조달의 의의와 범위 564
1. 정부조달의 의의/564
2. 정부조달의 원칙과 유형/566
3. 조달사업의 수요기관과 규모/570
4. 전자조달/572
제2절 정부계약 575
1. 정부계약의 의의/575
2. 정부계약의 종류/577
3. 정부계약의 절차/585
4. 이의신청 제도/590
제3절 정부조달의 변화 방향 591

참고문헌/594
찾아보기/621

저자소개

신무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했으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 박사를 취득했다.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12년 정년퇴임을 하고 전북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재무행정학』을 1989년에 출간했고, 그 후 여러 차례 개정판을 발간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형식적인 서류작업으로서 계획」(2012), 「전북지역 행정학자와 연구경향」(2020) 등이 있고, 역서로는 『미국예산정치론』(Irene S. Rubin, The Politics of Public Budgeting)(2001), 『정부 재무관리 이론』(Gerald J. Miller, Government Financial Management Theory)(2011)이 있다.
펼치기
주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박사학위논문: 지방정부간 정책갈등에 관한 연구)를 취득했다. 현재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Florida State University에서 교환교수(2016)로 연구 기회를 가진 바 있다. 『문화와 국민행복』(2019), 『재무행정학』(2019), 『행정학 강의』(2023) 등의 공저가 있으며, 「한국행정학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2002), 「지방자치단체 인구소멸 실태와 정책방안」(2021), 「지방소멸 대응정책 중요도 분석과 정책적 함의」(2023) 등이 있다. 2024년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지원(SSK) 글로벌 아젠다연구 사업에 선정돼 연구책임자로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한 건강한 사회구조 구축과 지역사회 역할” 연구를 2027년 8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학문적 관심분야는 재무행정, 지방재정, 지역정책 등이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48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