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646267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1-04-29
목차
제1장 『유식이십론』을 읽기 전에
Ⅰ. 유식과 현대
1. 외계 사물의 존재
1) 현대 물리학에서의 물질관
2. 외계 대상의 인식(지각)
1) 오감에 의한 지각이란
(1) 지각의 대상은 동일한 순간의 것이 아니다
(2) 인지과학에 의해 밝혀진 사실
2) 인식은 과거 내력의 영향을 받는다
Ⅱ. 불교로서의 유식사상
1. 불교가 지향하는 것은 무엇인가
1) 붓다의 근본 과제와 괴로움을 극복하는 방법
2) 괴로움의 원인을 단멸하는 방법
(1) 사성제에 의해 괴로움을 소멸하는 방법
(2) 중관파(용수)의 입장
(3) 유식학파의 입장
2. 유가행유식학파의 사상
1) 아뢰야식설
2) 삼성설
3) 유식무경설
3. 유식의 의의
Ⅲ. 세친과 그의 저작
1. 세친의 전기
2. 세친의 유식 관련 저작
1) 『유식삼십송』
2) 『(대승)오온론』
3) 『삼성론』
4) 『유식이십론』
Ⅳ. 『유식이십론』이란
1. 『유식이십론』의 책명
2. 주석과 참고문헌
3. 『유식이십론』의 내용 구성
4. 내용 개관
1) 논의 목적
2) 교증(가르침에 의한 확인)
3) 이증(이론적 증명)
4) 결어
제2장 『유식이십론』을 읽다
Ⅰ. 논의 목적―삼계유식의 확립
Ⅱ. 경전에서의 확인(교증)
1. 유심과 유식
2. 다른 교증의 예
Ⅲ. 이론적 증명(이증)―1
1. 논증의 제시(논증식)
2. 장소와 시간의 한정, 상속의 미결정, 작용을 행하는 것의 4가지 의미
1) 외계실재론자의 비난
(1) 모든 인식은 장소에 한정된다
(2) 모든 인식은 시간에 한정된다
(3) 동일한 장소?동일한 시간에 있는 자에게는 동일한 인식이 있다
(4) 환영?꿈 등은 효용이 없다
2) 세친의 답변
(1) 꿈?아귀의 비유
(2) 지옥의 비유
(3) 지옥이란
(4) 옥졸의 비유
3. 색형 등의 십부문의 교설은 밀의취이다
1) 화생의 유정
2) 오근과 오경
3) 불교에서의 진리의 요건
4) 색형 등의 교설의 밀의취
5) 인무아
6) 법무아
Ⅳ. 이론적 증명(이증)―2
1. 표거標擧
1) 외계대상에 대한 비실재 논증의 순서
2. 직접지각에 의한 단일한 것의 부정
3. 극미(원자)의 부정
1) 유부의 외계실재론
(1) 물질(색)론―오근과 오경
(2) 세속과 승의의 이제설
(3) 물질의 팔사구생
2) 직접지각(현량)에 의한 극미의 부정
3) 추리(비량)에 의한 극미의 부정
(1) 극미의 결합
(2) 극미의 유분?무분성
4. 추리에 의한 단일한 것의 부정
Ⅴ. 이론적 증명(이증)―3
1. 직접지각에 대하여
1) 3종류의 바른 인식기준
2) 외계실재론자의 논란
3) 세친의 반박
4) 식이 생기하는 구조
5) 세친에 의한 직접지각의 비판
6) 우리들의 직접지각
2. 기억의 상기(憶念)
1) 외계실재론자의 논란
2) 세친의 반박
3. 꿈과 각성
1) 붓다는 깨달은 자
2) 무분별지와 후득청정세간지
Ⅵ. 이론적 증명(이증)―4
1. 타자와의 관계
1) 가르침의 주고받음(授受)
(1) 외계실재론자의 논란
(2) 세친의 응답
가. 상속의 특수한 변화설
나. 가르침을 주고받음에 대한 세친의 견해
2) 몽중과 각성에서 행위의 차이
3) 외계비실재로서의 신체(신업)?발어 행위(어업)
(1) 외계실재론자의 논란
(2) 세친의 응답
(3) 의사력이 증상이라는 사례―1
(4) 의사력이 증상이라는 사례―2
2. 타심지
1) 외계실재론자의 논란
2) 세친의 반박
3) 타심지는 자심을 아는 것과 같다
Ⅶ. 결어
1. 궁극적 진리로서의 유식성
1) 여소유성?진소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