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조시대 화성행궁 연구

정조시대 화성행궁 연구

김선희 (지은이)
신구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조시대 화성행궁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조시대 화성행궁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76682659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2-03-30

책 소개

화성행궁은 조선시대 최대 규모의 지방 궁궐로 정조시대 문화적 역량이 결집되어 건립된 문화유산이다. 정조시대 임금과 신하의 새로운 구상은 물론 문화예술의 다양한 면모와 저력을 총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화성행궁이야말로 조선시대 행궁 연구의 출발점이자 귀결점이다.

목차

머리말 004

서론 015

제1장 조선(朝鮮)의 행궁(行宮) 029
1. 능행 행궁 033
2. 온행 행궁 060
3. 전란대비 행궁 068
4. 상왕거처 행궁 086

제2장 화성행궁의 건설과정과 주요 인물 095
1. 화성행궁의 건설과정 097
2. 화성행궁 건설 관련 주요 인물 110

제3장 화성행궁 주요 건물의 배치와 기능 137
1. 봉수당(奉壽堂)과 생활공간 144
2. 낙남헌(洛南軒)과 행사·휴식공간 154
3. 신풍루(新豊樓)와 행정·군사공간 165
4. 화령전(華寧殿)과 제사공간 172

제4장 화성행궁의 창고(倉庫)와 부속시설 177
1. 행궁 내(內) 창고와 부속시설 179
2. 행궁 외(外) 창고와 부속시설 201

제5장 화성행궁 소장 기물(器物) 227
1. 봉수당(奉壽堂) 기물 229
2. 낙남헌(洛南軒)과 노래당(老來堂) 기물 242
3. 유여택(維與宅) 기물 252
4. 외정리소(外整理所) 기물 253
5. 수라간(水剌間) 기물 261
6. 기타 기물 273

제6장 화성행궁의 현판(懸板)과 시액(詩額) 281
1. 화성행궁 현판 현황 283
2. 현존 현판과 시액 290

결론 307

주 323
참고문헌 365
찾아보기 375

저자소개

김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국사학과 졸업 한신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현재 한신대학교 외래교수 화성시, 오산시 문화재위원 논저로 「화성유수 조심태 연구」 「조선의 행궁-국왕의 행차를 중심으로」 「강화행궁의 건립과 공간구성」 『생각이 열리는 창체한국사』(공저) 『수원의 궁궐, 화성행궁 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본서는 화성행궁 관련 자료의 종합적인 분석 및 선행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화성행궁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전국에 건립 운영되었던 행궁을 이용 목적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선왕의 능을 참배하기 위해 이용되었던 능행 행궁, 병을 치료하거 나 휴식하기 위해 온천을 다녀오는 온행 행궁, 한양을 방어하거나 난을 피하기 위한 전란대비 행궁, 상왕의 거처를 목적으로 하는 상왕거처 행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화성행궁이 건립된 1789년부터 1796년까지의 과정과 행궁 건설을 이끌었던 사람들의 활동 내역을 살펴보았다. 행궁의 건설과정은 1789년부터 1792년까지의 수원 신읍 조성기와 1794년부터 1796년까지 의 화성 성역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더불어 화성행궁이 평소 관아로 기능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행궁이 건립되고 운영되었던 시기 수원 부의 부사, 유수, 판관 등을 역임하였던 주요 인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행궁 건설에 참여하였던 장인(匠人)들의 활약을 살펴보고 더 불어 행궁 건설에 투입된 재정도 확인함으로써 화성행궁 건설과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행궁 주요 건물을 이용 현황에 따라 분류하여 행궁의 기능을 파악하였다. 행궁 주요 건물을 배치 양상과 기능에 따라 구획하고 1795년 혜경궁의 회갑연 행사와 국왕 행차 시 건물의 이용 상황, 국왕의 동선에 따라 건물을 분류하여 그 기능을 유추해 보았다.
4장에서는 화성행궁 내외에 위치한 유수부 산하의 창고와 부속 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평소 화성부의 관아로 이용되었던 화성행궁에는 지방 관아 소속의 창고는 물론 국왕의 행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물을 보관하고 운영하던 시설들이 함께 설치되었다. 이러한 부속 시설들은 화성행궁 내외의 각 관청 건물에 분산되어 분포하고 있었다. <화성전도> 에서 위치가 확인되는 부속 시설을 기준으로 『화성중기』와 『화영사례』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수원 신읍 조성기 이후부터 19세기 말까지 화성행궁 내외의 창고 및 부속 시설을 확인하였다. 화성행궁 내외에 설치되었던 창고에 대한 고찰을 통해 평소 지방 관아인 유수부의 창고와 부속 시설의 운영을 파악함으로써 행궁 운영의 실체에 접근할 수 있었다.
5장에서는 화성행궁에서 사용하거나 소장하고 있던 기물을 파악하였다. 화성행궁은 평소 화성유수부 관아로 이용되다 국왕의 원행 기간 중에는 국왕의 임시 처소로 사용되었다. 이와 함께 정조가 구상하던 갑자년 구상에 따라 화성행궁에서 소장하고 있던 다양한 기물은 국왕의 원 행 기간은 물론 정조의 노후 생활을 위한 당대 최고의 왕실 비품이었다. 이를 위해 자료에서 확인되는 봉수당과 낙남헌 기물, 유여택과 노래당의 기물, 원행에 대비하여 준비된 외정리소의 기물, 다양한 기종의 수라간 기물, 국왕의 행차 시 이동식으로 마련되었던 금루와 약방의 기물 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기물은 정조대 이후 지속적인 국왕의 행차가 이루어지면서 유수부 창고에서 보관하였고, 이후 화성부의 행사에서 재사용되거나 유수부 산하 기구에서 이용되었다. 이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수원 신읍 조성기 이후부터 19세기 말까지 유수부 창고의 기물 보관 및 이용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나아가 각 건물의 정확한 기능까지 알아낼 수 있었다.
6장에서는 화성행궁 각 건물에 걸려 있던 현판을 살펴보았다. 화성행궁 각 건물에는 명필들의 멋진 글씨로 쓰인 현판과 시액들이 걸려 있었다. 그중에는 정조의 어필 현판과 당대 최고 서예가들의 글씨로 쓰인 현판이 상당수였다. 행궁 건설 이후 주요 건물과 행궁의 여러 문(門)에 내걸렸던 편액을 비롯한 상량문과 시액 등 행궁 전체의 현판 현황에 대하여 정리하고 복원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국립고궁박물관 에서 소장하고 있는 〈장남헌〉·〈화성행궁〉·〈봉수당〉·〈장락당〉·〈낙남헌〉·〈득중정〉 현판 6개와 <자궁행화성행궁진찬일악장〉·〈화성행궁경차정묘판상운〉·〈화성진찬일구점시여연제신〉·〈낙남헌양로연〉·〈노래당구점> 등 5개 시액(詩額)의 상황을 알아 낼 수 있었다. 현판은 건물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향후 화성행궁의 올바른 복원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화성행궁은 평소 유수부의 관아로 기능하다가 국왕 행행 시에는 국왕 의 임시 거처로 기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여기에 갑자년 구상에 따라 공간이 구획되고, 이후에는 정조를 추모하는 공간이 추가됨으로써 다른 행궁과 구별되는 화성행궁의 특수성을 가지게 되었다. 국왕이 머물던 궁궐과 지방 관청의 기능에 적합한 공간이 행궁의 신축과 증개축 과정을 통해 조화롭게 갖추어진 것이다.
본서에서는 위와 같은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화성행궁의 성격을 여러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했다. 화성행궁의 역사·문화적 의미를 재조명함으로써 행궁의 조성 과정은 물론 그 규모와 구성 그리고 실제 기능까지 분석하여 당대의 수준 높고 세련된 문화의 실상을 밝혀내려고 하였다. 아울러 화성행궁의 미진한 복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행궁의 올바른 복원과 조선시대 왕실 문화를 새롭게 이해하는 것은 물론 화성행궁에서의 왕실 문화 행사 복원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