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노동운동
· ISBN : 9788976962812
· 쪽수 : 704쪽
· 출판일 : 2012-01-13
책 소개
목차
몬드라곤에서 배우자 목차
1부 몬드라곤에 대한 초보적 이해
01 인류의 실험장, 몬드라곤
특이한 사례가 갖는 의미|‘연구와 실천’을 위한 문제제기|노동자 소유제와 몬드라곤|기업구조에 대한 전통적 이론의 퇴조와 새로운 대안의 모색
02 바스크 지방에 대하여
바스크 문화의 유래|프랑코 통치기: 1939~1975|프랑코 통치기의 노사 관계|독재에서 민주주의로|몬드라곤 이전의 협동조합들
2부 몬드라곤 협동조합 복합체의 건설
03 몬드라곤 협동조합 복합체의 전사
돈 호세 마리아: 자영 농장주의 아들에서 성직자로|몬드라곤에서의 출발
04 최초의 노동자생산협동조합
울고의 창립|정관 작성|조합평의회|여성 노동자의 권리|투표권|재정 정책|임금과 급여 수준|정부의 승인|초창기의 발전
05 지원기관과 협동조합의 다양화
협동조합은행의 설립|사회보장협동조합|알레코프 학생협동조합|서비스와 농업 관련 협동조합|주택 공급과 건설
06 협동조합 그룹으로 발전
‘울라르코’의 설립|운영체계|이윤과 손실의 공동화
07 높은 경쟁력의 비밀, 공업기술연구협동조합
돈 호세 마리아의 영향|이켈란의 자금 조달과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운영체계와 노동조직
08 협동조합 은행, 노동인민금고의 중추적 역할
노동인민금고의 조직과 관리| 연합협정|노동인민금고 기업국|여성협동조합의 설립|노동인민금고 내부에서 만들어진 협동조합의 설립 사례|협동조합 그룹에 의한 새로운 회사 설립|협동조합으로 전환한 사기업
3부 경영체계의 변화
09 내부 갈등의 극복
새로운 직무평가 프로그램|직무평가에 대한 불만|1974년의 파업|1974년 파업 이후의 논쟁|파업 가담자들을 구제하기 위한 운동|파업 경험에 대한 반성
10 노동자 참여체계에 대한 재고
노동조합 및 정당과의 관계
11 노동개혁 프로그램
코프레시에서 시도된 최초의 실험|다른 협동조합들로 확대되는 개혁|신설 공장의 새로운 노동조직|조합평의회의 모호한 역할|돈 호세 마리아의 초연함|노동개혁 프로그램의 성과
4부 80년대 경제침체기의 몬드라곤의 대응
12 모두가 살기 위해 나누는 희생
임금정책의 변경|조합원들의 출자금 증액
13 실업에 대한 보상과 지원
권리와 의무의 균형|사업 수행을 위한 정책과 그 과정|비용의 분담
14 울라르코에서 파고르로
느슨한 연합 체제에서 통합 경영 체제로: 1964~1975|개입과 재편: 1976~1983|협동조합 그룹의 재편: 1985~1986
15 서비스업과 농업 관련 협동조합의 규모 확장
에로스키 슈퍼마켓의 성장|농업 관련 사업 부문의 발전
16 노동인민금고의 역할 변화
위기 대응으로서 방어와 구제 프로그램|수비올라의 구제|수비올라 경영의 구제|위기에서 노동인민금고의 역할
5부 90년대와 그 이후를 대비한 조직 재편
17 전략적인 조직 재편
지역 및 중앙 정치·경제에 끼친 몬드라곤의 영향|경제위기에 직면|구조 개혁의 계획과 수행|경제적 도전에 대한 대응|사기업과의 관계|몬드라곤의 생산성과 경쟁력
18 강화된 경쟁에 따른 조건 변화와 대응
고용 창출과 유지를 위한 필요조건의 변화|교육과 연구의 강화|조직 재편의 사회적 의미|조직 내 민주주의와 참여|의사소통의 문제|경영·운영과 노동 관리에 참여하는 노동자|조합평의회의 역할|몬드라곤의 힘
6부 몬드라곤의 교훈
19 돈 호세 마리아의 사상
설립자에 대한 소개|제자들의 눈에 비친 돈 호세 마리아|돈 호세 마리아 사상의 전개|문화적 정치적 억압에 직면하여|교회와의 관계|정치적 이데올로기| 근본적인 지도 이념|협동조합운동에 관하여|지도자로서 돈 호세 마리아
20 민족문화와 조직문화
바스크 문화|협동조합의 문화|사고의 틀|조직문화를 유지·변화시키기 위한 제도의 형성
21 몬드라곤의 경험은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미국에서 몬드라곤의 영향|노동자에 의한 소유와 통제의 유지|노동자로서의 이익과 소유자로서의 이익 균형|보완·지원조직 |지도력|조직문화|지역경제의 발전
몬드라곤의 기적 목차
1부 몬드라곤의 현황과 조직구조
01 1992년 이후의 주요한 변화
협동조합의 통합: 민주와 집중, 분산과 효율의 문제|몬드라곤의 글로벌화
02 지표로 살펴본 2010년 현황
1989~2010년의 기본 지표|2010년의 대차대조표와 부가가치 변동
03 몬드라곤의 의사결정구조와 고용구조
몬드라곤의 3단계 조직구조|몬드라곤의 중앙조직들: 몬드라곤 의회, 상임위원회, 총이사회|고용구조와 조합원들의 참여|파고르 전자 노동자 조합원들의 인식과 태도 조사 결과
2부 각 부문의 진화
04 금융 부문의 진화
노동인민금고의 역할 변화와 성장|라군-아로의 진화와 성장|라군-아로 보험과 라군-아로 생명보험
05 제조업 부문의 진화
MCC 체제 출범 이전 제조업 부문의 현황 개요|MCC 체제의 출범과 제조업 그룹, 제조업 소그룹의 성장|몬드라곤 체제의 출범과 제조업 부문 재편
06 유통 부문의 진화
에로스키 소비자협동조합의 놀라운 성과|농업 및 식품 분야의 전개|소비자협동조합인가 노동자생산협동조합인가?
07 지식 부문의 진화
기술연구소 이켈란, 이데코, 그리고 각종 분야의 신기술연구소|몬드라곤대학교|협동조합 경영교육기관 오타롤라
3부 몬드라곤의 원칙과 가치
08 협동조합의 일반 원칙
협동조합운동 역사에서 몬드라곤의 위치|협동조합의 정의와 가치|국제협동조합연맹이 선언한 협동조합의 7대 원칙
09 몬드라곤의 협동조합 문화와 협동조합 원칙
몬드라곤의 협동조합 문화|몬드라곤의 10대 원칙|몬드라곤의 기업 목표: 고용 창출
몬드라곤에 관한 모든 것
Q&A로 알아보는 몬드라곤
4부 몬드라곤의 미래
10 2008년 금융위기에 대한 대응
위기의 징후들: 일시적 조정 국면인가 장기적 후퇴인가?|몬드라곤의 대응
11 몬드라곤과 현대자동차
자산 규모와 매출 규모, 그리고 글로벌화|회사 소유구조와 급여, 그리고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문제|협동조합 문화와 노동조합 문화
12 몬드라곤의 미래를 위한 포석
글로벌화 전략의 보완|참여와 조직 혁신을 어떻게 지속할 것인가?
5부 몬드라곤과 성장 패러다임의 전환
13 성장 패러다임 변화의 계기
전통적인 성장론의 한계|보편적 복지국가의 기초
14 질 좋은 고용을 위한 성장
고용 확대는 성장의 결과인가, 아니면 목표인가?|기업 활동의 목표와 성장에 대한 관점의 차이
6부 한국의 경험과 확대 전략
15 한국의 경험
생산공동체, 자활공동체, 그리고 대안기업운동|1997년 금융위기 이후 2002년까지 전개된 노동자기업인수운동|사회적 기업 |원주 지역의 새로운 시도
16 확대 전략
자본수익율과 노동자들의 집단 양심|KCS를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