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85430409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4-12-0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005
발간사 009
Ⅰ 사회적경제 social economy
사회적경제 social economy 021
제3섹터와 비영리부문 the third sector and non-profit sector 030
사회자본 social capital 037
어소시에이션 association 042
사회적기업 social enterprise 046
사회적회사 social firm 048
노동통합사회적기업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 WISE 050
지역공동체이익회사 community interest company, CIC 052
사회적협동조합 social co-operative 054
연대협동조합 solidarity co-operative 058
공익협동조합 utility co-operative 061
공정무역 Fair Trade 064
커뮤니티 community 070
커뮤니티경제개발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CED 074
커뮤니티비즈니스, 마을기업 community business 079
지역화폐 local currency 083
사회서비스 social services 088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포용 social exclusion vs. social inclusion 090
사회취약계층 socially disadvantaged 095
소액대출과 소액금융 micro credit and micro finance 098
사회투자 social investment 103
사회투자수익률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107
사회적회계 social accounting 109
사회책임조달 socially responsible public procurement, SRPP 113
Ⅱ 협동조합 이론과 운동 co-operative theories and movement
결사체와 사업체 association vs. enterprise 119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 profit corporation vs. benevolent corporation 124
마르크스의 협동조합 이해 128
협동마을 co-operative community 133
협동조합공화국 the co-operative republic 138
협동조합섹터 the co-operative sector 141
국제협동조합연맹 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 ICA 145
레이들로 보고서 <서기 2000년의 협동조합> Co-operatives in the Year 2000 153
협동조합 지역사회 co-perative community 156
로치데일 원칙 the Rochdale Principle of Co-operative 159
ICA 협동조합 원칙 제정(1937) enactment of co-operative principles in 1937, ICA 163
ICA 협동조합 원칙 개정(1966) amendment of co-operative principles in 1966, ICA 167
협동조합 정체성에 관한 ICA 선언 ICA Statement on the Co-operative Identity 171
ILO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권고> ILO ”Promotion of Cooperative Recommendation” 177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권고 Promotion of Cooperative Recommendation 181
협동조합에 관한 유엔 결의문 UN Resolution co-operatives 195
사회발전에서 협동조합 Cooperatives in social development: 제65차 유엔 총회(2009. 12. 18) 에서 채택된 결의문(64/136) 198
노동자소유기업 worker owned company 203
노동자협동조합 worker co-operative, employee co-operative 208
농업협동조합 agricultural co-operative 214
산림조합 forestry co-operative 219
수산업협동조합 fisheries co-operative 222
신용협동조합 credit union 226
국제라이파이젠연맹 International Raiffeisen Union 229
세계신협협의회 World Council of Credit Unions, WOCCU 231
새마을금고 New Community(Saemaul) Credit co-operative 234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소비자협동조합 consumer co-operative 237
중소기업협동조합 small and medium industry co-operative 243
(일반)협동조합 co-operative 246
한국의 사회적협동조합 social co-operative in South Korea 250
협동조합 생태계 ecosystem for co-operatives 253
Ⅲ 협동조합 운영 operation in co-operative
조합원 member, membership of co-operative 261
조합원의 권리와 의무(권한과 책임) rights and duties of members 264
조합원 활동 activities of co-operative members 267
조합원 모임 meeting of co-operative members 270
준조합원제도 quasi-member of co-operative 274
협동조합 지배구조 co-operative governance 277
민주적 통제 democratic control 287
총회(대의원총회) General Assembly(meeting of representatives) 292
이사회 board of directors 295
감사 audit 298
협동조합 수익분배구조 profit sharing in co-operatives 301
협동조합연합회 federation, union of co-operatives 306
협동조합 사업연합회 co-operative business federation 311
비사업연합회 non-business federation 315
협동조합의 합병과 분할 merger and division of co-operative 318
협동조합 간 협동 cooperation among co-operatives 321
협동조합 상호지원기금 co-operative mutual aid fund 327
한국의 협동조합 과세제도 tax treatment of co-operatives in South Korea 331
Ⅳ 협동조합 사업 business of co-operative
조합 組合 341
출자 user-owner equity investment 343
가입출자금 membership share, subscription share, or common stock required for membership 348
투자의 기간 문제 horizon problem 349
유한책임과 무한책임 limited liability vs. unlimited liability 351
공동유대 common bond 353
출자방식: 우선출자, 회전출자, 배당의 출자전환 preference share, revolving fund, retained patronage, dividends reinvestment 356
조합원 채권 borrowing from members 360
협동조합 이용 patronage 362
무임승차자 문제 free rider problem 365
출자배당제한 limited dividends on equity capital 367
이용실적배당 patronage refunds, dividend on purchase 369
비분할적립금, 비분할자본 unallocated equity, indivisible capital 370
지분환급청구권 equity redemption 374
매취사업과 수탁사업 wholesale buying and selling on commission 378
원가주의 cost principle 379
신용사업과 상호금융사업 credit business and mutual banking business 381
협동조합 자회사 subsidiaries of the co-operatives 384
독점규제 예외와 협동조합 exclusion from application of anti-monopoly act 386
항목 찾아보기 391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회적경제 social economy
경제학자이자 협동조합 이론 연구자였던 프랑스의 샤를 지드Charles Gide는 1903년 발간한 한 보고서에서 이들 3가지 유형의 조직과 기타 사회적 장치들을 통틀어 ‘사회적경제?conomie sociale’라고 지칭했다. 그는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수반하는 이윤독점과 불평등을 해소하고 견제하는 장치로서 ‘사회적경제’라는 개념을 설정했다.
하지만 사회적경제라는 용어는 그 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 각국에서는 여러 사회문제를 국가 차원에서 해결하는 복지체계가 확립되었다. 지역공동체 형태로 문제를 해결했던 상호공제회나 결사체들은 전국 차원의 사회보장제도가 수립된 후에는 역할이 없어졌기 때문에 제도 속으로 편입되거나 해체되었다.
사회적경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복지국가가 위기를 맞이하면서부터였다. 1970년대부터 유럽의 자본주의는 저성장의 길을 걸으면서 실업과 빈곤화 문제가 심각해졌다. 재정이 어려워진 각국 정부는 종전과 같이 넉넉하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었고, 고용을 창출하는 데도 무력했다. 결국 자율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면서 사회에 유익한 목적을 추구하는 제3섹터의 역할과 잠재력에 많은 기대가 모아졌다.
지역화폐 local currency
지역화폐란 정부에 의해 통용이 강제되고 전국에서 유통하는 법정화폐와 달리 시민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운영되며 소규모 지역 내에서 유통하는 국지적 화폐다. 법정화폐의 경우 가치가 국가에 의해 부여되지만, 지역화폐는 그 가치가 회원들 사이의 거래에 의해 부여된다.
지역화폐의 구체적 형태는 나라마다 다르지만, 기본 모델은 1983년 캐나다의 마이클 린턴Michael Linton에 의해 제시되었다. 밴쿠버의 작은 광산촌인 코트니Courtenay는 당시 광산이 폐쇄되면서 실업자가 양산되어 주민들이 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린턴은 기업에 고용되지 못해 법정화폐를 확보하지 못하더라도 경제적 자립을 가능케 할 새로운 교환방식을 모색했는데, 그 핵심이 바로 지역화폐였다. 이때 린턴이 제안한 지역화
폐는 ‘레츠LETS’ 즉 ‘지역교환거래망Local Exchange and Trading System’이라고 알려진 유형으로서, 직장이 없어 돈을 벌지 못하더라도 소비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서는 화폐경제의 한계를 뛰어넘고, 법정화폐는 아니지만 교환의 매개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는 물물교환경제의 한계를 뛰어넘는 시도였다.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포용 social exclusion vs. social inclusion
‘사회적 배제’라는 개념은 1974년 프랑스 시라크 정부의 사회부Social Action 장관이었던 르누아르Rene Lenoir가 처음으로 선보였다. 그는 한 연설에서 프랑스 인구의 10%가 ‘배제된 사람들les exclus’이며, 이들은 사회보험의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어서 시민사회로부터 벗어나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Silver, 1994). 그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이 현상에 대한 여러 논의들이 있어왔는데, 대체로 사회적 배제는 “소비활동, 소득활동, 정치활동, 사회적 연대성 등 몇 가지 영역과 관련한 곤궁과 박탈을 포괄하는 현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영국의 사회적배제국Social Exclusion Unit에서는, 사회적 배제가 사람들이나 지역들이 실업, 차별, 취약한 기술 수준, 낮은 임금, 열악한 주거, 높은 범죄, 좋지 않은 건강 그리고 가정의 붕괴 등과 같은 일련의 문제들로부터 고통을 받을 때 발생하며, 그러한 문제들이 동시에 결합되면 악영향을 미치는 순환을 생성한다고 보았다. 이들은 주로 경제적 배제를 야기하는 여러 양상들에 주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