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축산
· ISBN : 9788977229358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18-02-27
책 소개
목차
제1장 축산식품 이야기
1. 축산의 역사
1.1 가축화의 고려조건
1.2 가축화 경로
(1) 공생 경로
(2) 먹잇감 경로
(3) 통제 경로
참고문헌
2. 가축의 공헌
2.1 국가 경제
2.2 식 품
2.3 비식품
참고문헌
3. 우리는 왜 식품을 섭취하는가?
3.1 식품의 선택
3.2 식품 선택 시 영향하는 요인
3.3 인간의 욕구 단계별 적절한 식품
참고문헌
4. 인간의 식성
4.1 서 론
4.2 비교 해부학 및 생리학적 통찰
4.3 생화학적 고찰
4.4 채식보다 육식을 더 좋아하는 이유
4.5 인류 발달과정에서의 축산식품의 역할
참고문헌
5. 농식품 시스템
5.1 농식품의 역사
5.2 식품 시스템
5.3 식품 시스템의 구성요소
5.4 농식품 시스템 변화의 동인에 대한 역사적 고찰
5.5 식품 시스템이 윤리적이 되어야 하는 이유
5.6 식품 시스템의 역할자들
5.7 한국 식품시스템의 현실
5.8 식품 시스템의 종류
5.9 건강한 농식품 시스템이란?
참고문헌
6. 왜 식품윤리인가?
6.1 농식품 윤리의 역사
6.2 농식품산업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
6.3 농식품 윤리에서 중요시 하는 가치
6.4 농식품 시스템 단계별 윤리 주제
6.5 최근 경향과 미래를 위한 대안
참고문헌
제2장 생산윤리
1. 생물자원의 가치
1.1 현 재
(1) 인구 증가와 인구구조의 변화
(2) 자연 자원의 압박
(3) 농업의 산업화
(4) 경제력의 집중
(5) 세계화
(6) 인간으로 인한 변화
(7) 생명공학
(8) 정보학
(9) 전 지구적 식량위기
1.2 지구의 자원
(1) 자원의 채취
(2) 세계 무역의 증가와 환경에의 영향
(3) 자원의 소비
(4) 자원 효율
(5) 미래 자원 활용 시나리오
(6)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
참고문헌
2. 생산의 윤리
2.1 주요 축산식품 자원의 종류
2.2 동물복지
2.3 집약적 축산
2.4 항생제 남용
2.5 동물복제
2.6 배양육
2.7 생산 윤리의 갈등
참고문헌
3. 축산식품 생산 이력제(Traceability)
3.1 소비자들의 윤리적 관점
(1) 친숙한 식품의 선택
(2) 우리나라의 가축 및 축산물 이력제
(3) 가축 개체식별 기술
(4) 기타 축산식품 이력제
(5) 세계의 식품 이력제 시장
참고문헌
제3장 가공윤리
1. 가공의 윤리
1.1 도축 가공
(1) 도축공정
(2) 계류 및 생체검사
(3) 도살 해체
1.2 식육 가공
(1) 식육 가공의 목적
(2) 육제품의 종류
(3) 비분쇄 육제품의 제조원리
(4) 분쇄 육제품의 제조원리
1.3 우유 가공
(1) 우유의 품질
(2) 유제품의 제조원리
(3) 유제품 제조
1.4 알 가공
(1) 알제품의 종류 및 가공
(2) 알제품의 제조원리
(3) 알제품의 제조
1.5 축산물 생산을 위한 도축의 윤리와 동물복지
(1) 축산물 생산을 위한 도축의 윤리
(2) 농장에서 도축장까지 동물복지의 실행 ? EU의 예시
1.6 축산식품 가공단계의 안전성 문제
(1) 축산식품과 식중독
(2) 축산식품의 변질
(3) 식육가공품에서 첨가물의 기능과 논란
(4) 가공과정에 발생되는 유해물질
(5) 환경유래 유해물질과 인간의 건강
1.7 축산식품 가공의 윤리
(1) 가공식품의 안전성 확보
(2)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 차이
(3) 식품 유통에 따른 윤리
(4) 식품안전 위협 ? 멜라민 스캔들
(5) 부정·불량식품 억제를 위한 윤리 실행
(6) 안전 기준에 대한 신뢰
(7) 식품안전에 대한 불확실성 ? 투명성 결여
(8) 기업의 윤리적 결정
참고문헌
제4장 소비윤리
1. 식품과 인간의 복지
1.1 식품 안보의 내용
1.2 식품 안보지수
1.3 식품 안보의 역사
1.4 식품 안보를 달성하기 위한 도전
1.5 식품 안보에 대한 위협
1.6 식품 안보의 미래
참고문헌
2. 축산식품의 가치
2.1 식품의 가치
2.2 축산식품 자원
(1) 고기(식육 및 식육제품)
(2) 젖
(3) 알
참고문헌
3. 축산식품과 건강
3.1 균형 잡힌 영양과 건강을 위한 식육의 역할
3.2 식육 내 중요 미량 영양소 함량 증진의 가능성
3.3 영양소 강화 식육의 섭취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3.4 적색육과 가공육 소비와 대장암과의 연관성
3.5 식육 내 생리활성물질과 건강
3.6 젖과 건강
참고문헌
4. 푸드 패디즘(Food Faddism)
4.1 식품의 선택에 있어서 심리적 요인의 역할
4.2 푸드 패디즘(식품 신앙)
4.3 푸드 패디즘의 예
4.4 콜레스테롤
4.5 동물성 지방(마블링)과 건강
4.6 채식주의
4.7 동물성 단백질의 우수성
참고문헌
5. 슬로우푸드 대 패스트푸드
5.1 패스트푸드의 정의
5.2 패스트푸드의 영양적 측면
5.3 패스트푸드 섭취에 대한 반응
5.4 맥도날드화
5.5 패스트푸드 마케팅과 관련된 윤리 문제
5.6 패스트푸드의 또 다른 사회적 비판
5.7 슬로우푸드 및 로컬푸드
참고문헌
6. 소비의 윤리
6.1 음식에 대한 인식 차이
6.2 식문화
6.3 자기만족과 위안의 수단
6.4 종교적 식습관
6.5 과식과 거식
6.6 윤리적 소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