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96856830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2-05-18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1편 고기 소비의 시작
1. 인류의 시작
2. 식생활의 진화
3. 고기 소비의 역사
2편 고기 소비문화
1. 인간생활에서 고기 소비의 함의(含意)
2. 고기 소비문화
6. 동서양 고기 소비문화의 차이
3편 고기 생산의 지리(地理)
7. 대륙별 생산
8. 고기 종류별 생산
4편 고기 가공의 지리(地理)
9. 저장
10. 다양성/간편성
5편 미래의 고기 소비
11. 소비자 요구와 기술적 진보
12. 고기 소비의 미래
6편 우리나라의 고기 소비
13. 고기 소비의 사회적 진화
14. 미래의 소비 조망
책속에서
인류의 식생활 역사에서 고기가 없었던 적은 거의 없었을 것이지만 작금의 지구환경 문제와 식품 윤리 그리고 동물권리 및 복지 등을 고려할 때 미래의 고기생산과 소비는 상당한 난제에 봉착할 것으로 보인다. 인간이 고기를 먹는 이유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장악 내지는 통제력을 과시하기 위한 본능의 발현으로 보는 서양의 관점과 인간을 자연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여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것을 미덕으로 파악하는 동양의 문화적 관점에서의 고기 식욕은 미래 식육산업의 진화방향을 가름하는 생각의 지도가 될 것이다.
우리 인간의 삶은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지리학이다. 그래서 지리학은 특정 지역의 식생활을 상당 부분 설명해준다. 인문지리학(Human Geography)에서 식품의 지리학(Geography of Food)은 자연 대 문화, 생산 대 소비, 농촌 대 도시, 지역 대 세계 등과 같은 이분적 분야 사이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고기의 지리학은 고기 소비와 생산을 세계적 유형 차원에서 살펴보고 고기 소비가 원초적 상황에서부터 시작하여 미래에 생산과 소비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진화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대륙별로 개도국과 선진국의 입장에서 검토한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젊은이들에게 초기 인류의 식생활 역사를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나타나서 유럽과 아시아를 거쳐 아메리카 대륙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서 살펴보고, 인류 역사에서의 고기 소비문화와 생산을 공부하여 세계 속에서 고기생산과 소비, 각국의 고기 문화와 한국의 고기 문화가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를 생각해보는 비판적 사고력을 키워주고자 한다.
(저자 서문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