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77782990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08-04-30
목차
서문
제1부 국방개혁 2020을 통한 국방력 발전방안
제1장 2020년 한국의 안보환경 전망 김기정, 김순태, 김흥규
Ⅰ. 2020년 동북아 안보구도의 전망
Ⅱ. 2020년 동북아 군사안보환경
Ⅲ. 한국의 대응전략
제2장 국방개혁과 군사력 구조 변화 권재상, 박봉규
Ⅰ. 서론
Ⅱ. 안보환경의 변화와 국방개혁
Ⅲ. 군사전략과 국방개혁
Ⅳ. 군사전략의 재구성
Ⅴ. 조직 편성의 개편
Ⅵ. 무기체계 획득 방법 개선
Ⅶ. 결론
제3장 Transforming Forces for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levance of the ‘RMA’ David Ochmanek
Introduction
The Transforming Threat
Theater Ballistic Missiles(TBMs)
Fission Weapons
Other Key Threats
How to Proceed?
Ask the Right Questions: The Importance of Good Scenarios
War Games as Assessment Tools
Focus Efforts on High Priority Operational Requirements
Encourage Active Competition
Conclusion: Back to Basicse
제2부 한국군의 성장과 합동성 증진
제4장 한국군의 성장과 작전통제권 전환 이진영
Ⅰ. 서론
Ⅱ. 군사주권 상실시기
Ⅲ. 군사주권 편승시기
Ⅳ. 군사주권 회복시기
Ⅴ. 결론
제5장 국방개혁 2020의 3군 분절구조 극복방안 이정훈
Ⅰ. 서론
Ⅱ. 육군 개혁
Ⅲ. 해군 개혁
Ⅳ. 공군 개혁
Ⅴ. 각군 이기주의를 넘어서는 통합 전력 극대화 방안
제6장 국방개혁을 통한 한국군의 ‘합동성’증진: 그 함축성과 발전방향 차두현
Ⅰ. 머리말
Ⅱ. ‘합동성’(Jointness)의 개념과 특징
Ⅲ. 주변국들의 합동성 증진 현황
Ⅳ. 국방개혁안에 나타난 군 합동성 증진 비전 및 계획
Ⅴ. 한국적 ‘합동성’,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
Ⅵ. 맺는말
제7장 합동성 활성화 방안: 합동작전 중 악기상.장거리 공수 및
탐색구조능력 보강을 중심으로 서진태
Ⅰ. 서언
Ⅱ. 전사를 통해 본 합동작전 성공사례
Ⅲ. 한국공군의 1,000KM 작전영역(Area of Air Operations)
Ⅳ. 한국공군 전투지원전력 운영실태
Ⅴ. 문제 제기
Ⅵ. 원천적 원인 해소
Ⅶ. 결언 및 선결과제
제3부 국가안보 달성을 위한 항공우주정보산업 발전방향
제8장 군우주전력 발전을 위한 민간우주자산의 활용 장영근
Ⅰ. 서론
Ⅱ. 자주적 우주전력 확보의 당위성
Ⅲ. 우주개발의 세계적 동향과 우리의 현황
Ⅳ. 민간우주자산의 군 활용 사례
Ⅴ. 군 우주전력 발전을 위한 제언
Ⅵ. 공군사관학교의 우주교육 강화 방안
Ⅶ. 결론
제9장 Japan’s Aerospace Power: from Past to Future OshimaYasuhiro
Ⅰ. Introduction
Ⅱ. Japan’s Changing Air Power
Ⅲ. Characteristics of Japan’s Aerospace Industry
Ⅳ. Future Issues and Prospects
Ⅴ. Conclusion
제10장 Aerospace Power and C4ISR: Lessons from Recent Experiences Michael Robinson
Ⅰ. Introduction
Ⅱ. Summary of High Operational Lessons Learned
Ⅲ. Boeing Analysis of Still Existing Needs
Ⅳ. Lessons Learned in the Development of Transformational Network Centric Systems
Ⅴ. Conclu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