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77783607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1-11-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장 선거와 한국 정치 (김욱)
Ⅰ. 선거의 의미
Ⅱ. 한국 정치에서 선거의 중요성
Ⅲ. 선거사 연구의 필요성
제1장 제1공화국의 선거 (서복경)
Ⅰ. 국가건설, 전쟁과 선거
Ⅱ. 전사(前史): 제헌국회 선거가 있기까지
Ⅲ. 제헌국회 선거
Ⅳ. 전쟁, 그리고 제1공화국 최초의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 정·부통령선거
Ⅴ. 휴전, 그리고 3대 국회의원선거, 3대 대통령선거, 2대 지방선거
Ⅵ. 진보당 사건과 4대 국회의원선거
Ⅶ. ‘3·15부정선거’와 제1공화국의 종말
제2장 제2공화국의 선거 (장성훈)
Ⅰ. 허정 과도정부와 내각제 개헌
Ⅱ. 제5대 국회의원(민의원·참의원)선거
Ⅲ. 제4대 대통령선거와 장면 내각의 출범
Ⅳ. 지방선거의 부활과 단절
Ⅴ. 5·16군부쿠데타와 민주적 실험의 좌절
제3장 제3공화국의 선거 (강원택)
Ⅰ. 군사정권과 제3공화국의 출발
Ⅱ. 제3공화국의 선거제도와 정당제도
Ⅲ. 대통령제 개헌 국민투표, 제5대 대통령선거와 6대 국회의원선거
Ⅳ. 6대 대통령선거, 7대 국회의원선거와 3선 개헌 국민투표
Ⅴ. 1971년: 7대 대통령선거와 8대 국회의원선거
Ⅵ. 제3공화국 선거의 경쟁성과 역동성
제4장 제4공화국의 선거 (신두철)
Ⅰ. 통일주체국민회의와 제9대 국회의원선거
Ⅱ. 유신헌법 찬반투표
Ⅲ. 제10대 국회의원선거와 유신체제 붕괴
Ⅳ. 유신체제하의 선거 평가
제5장 제5공화국의 선거 (조진만)
Ⅰ. 제4공화국과 제6공화국 사이에서
Ⅱ. 제5공화국의 태동 과정
Ⅲ. 유신헌법하에 실시된 11대 대통령선거
Ⅳ. 유신헌법의 개정과 제5차 국민투표
Ⅴ. 다당화 전략에 따른 대통령선거인선거와 12대 대통령선거
Ⅵ. 권위주의체제의 공고화와 11대 국회의원선거
Ⅶ. 유화조치와 12대 국회의원선거
Ⅷ. ‘선택 없는 선거’와 민주화
제6장 노태우 정부 시기의 선거 (조성대)
Ⅰ.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제6차 국민투표
Ⅱ. 제13대 대통령선거와 노태우 정부의 출범
Ⅲ. 제13대 국회의원선거와 여소야대 분점정부의 출현
Ⅳ. 지방선거의 부활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자치선거
Ⅴ. 제14대 국회의원선거와 여소야대의 재현
제7장 김영삼 정부 시기의 선거 (이현우)
Ⅰ. 민간정부의 출현과 14대 대통령선거
Ⅱ. 집권여당에 대한 평가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Ⅲ. 정당구도의 변화와 제15대 국회의원선거
제8장 김대중 정부 시기의 선거 (임성호)
Ⅰ. 세계화, 탈냉전화, 정보화와 선거정치
Ⅱ. 제15대 대통령선거와 평화적 정권 교체
Ⅲ.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지역할거주의
Ⅳ. 제16대 국회의원선거와 여소야대
Ⅴ.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야당의 압승
Ⅵ. 시대변화와 선거정치
제9장 노무현 정부 시기의 선거 (지병근)
Ⅰ. 2002년 제16대 대통령선거
Ⅱ. 2004년 17대 4·15국회의원선거
Ⅲ. 2006년 제4회 동시지방선거(5·31)
Ⅳ. 민주적 선거를 향한 발걸음
종장 결론 및 시사점 (김욱)
Ⅰ. 60년간의 주요 변화
Ⅱ. 변화의 근본동력: 정치문화의 변동
Ⅲ.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부록
참고문헌
색인
필자 소개 (원고 게재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