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91157064809
· 쪽수 : 700쪽
· 출판일 : 2025-12-01
책 소개
10년의 국제관계사를 정리한 외교 분야 최고의 역작
이 책 《나토의 동진》은 NATO의 확장을 둘러싼 분쟁을 내용을 관통하는 줄거리로 삼고 있다. 동맹 자체에 대한 이야기라기보다는 10여 년에 걸쳐 자신들의 세력을 중·동유럽까지 넓히려고 했던 미국과 러시아 지도자들의 전략에 관한 이야기다. 그리고 그들의 선택이 오늘날 세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무게에 관한 이야기다. 세계적인 역사학자이자 국제관계 전문가 서로티 교수는 이 책에서 냉전 이후 새로운 유럽 안보 체제가 왜 실패했는지, 그리고 1900년대 주요 강대국들의 결정이 오늘날의 지정학적 긴장을 어떻게 빚어냈는지를 러시아, 미국, 독일, 기타 나토 회원국 등 다양한 관점에서 예리하게 분석한다.
이 책의 영어 제목인 ‘Not One Inch’는 제임스 베이커가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말했던 나토가 동쪽으로 “일 인치도 확장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언에서 따왔다. 베이커의 이 제안은 처음에는 은밀히 진행되었으나 곧 언론에 공개되면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여기서 더 중요한 것은 그로부터 10년 후의 상황이다. 자신의 약속대로 독일에서 물러난 고르바초프와 달리, 워싱턴은 1991년 12월 소련 붕괴 이후 자신의 옵션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1990년대 미국의 선택은 고르바초프와 옐친의 비극적인 실패와 더불어 냉전 이후 협력의 잠재력을 약화시키고 미-러 관계를 쇠퇴하게 만들었다.
1부(1989~1992년)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새로운 민주주의가 부상한 1989년부터 1992년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부시 대통령과 콜 총리는 불과 329일 만에 냉전의 국경을 넘어 동독에 이르는 독일의 통일과 NATO의 확대를 모두 성사시켰다. 곧이어 콜이 예언한 대로 모스크바에서는 권력 다툼이 벌어졌지만, 폭풍은 그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강력했다.
1993~94년을 다룬 2부에서는 이 폭풍 이후 미-러 관계의 청산과 그것이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러시아에서 개혁과 서방과의 협력을 기꺼이 이행하려는 지도자 보리스 옐친이 권력을 잡고, 빠른 속도로 빌 클린턴 대통령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미-러 관계는 진전되었다. 하지만 1993년 말과 1994년에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 체첸의 반대자들을 상대로 한 모스크바의 무력 사용, 워싱턴에서의 공화당의 부활과 내부 인사들의 숙련된 공작들이 맞물리면서 클린턴은 결국 러시아와의 동반관계를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1995~99년을 다룬 3부에서는 ‘보리스와 빌’의 관계가 술에 취한 옐친의 폭언과 코소보에서의 NATO의 군사작전으로 붕괴되면서, 클린턴이 NATO 확대에 보다 공격적인 입장을 취하는 과정을 기록한다. 러시아에서 푸틴이 권력의 사다리를 오르고 있는 바로 그 순간, 백악관 인턴 모니카 르윈스키와의 스캔들이 클린턴을 흔들면서 미-러 관계에 서리가 내려앉았다. 모스크바와 워싱턴 모두 냉전 이후 해빙기에 지속적인 협력을 구축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1990년 콜이 우려했던 대로 러시아 반동세력이 결국 승리하게 되었다.
수백 명 이상 되는 사건 당사자들과의 인터뷰, 대학 도서관, 백악관, NATO 동맹, 외무부 기록보관소에 보관된 수많은 기밀문서들, 국제 외교 무대에서 활약한 당사자들의 자서전 등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쓰인 이 책은 1990년대의 국제관계사에 관한 최고의 기록으로, 지난 역사적 선택들이 어떻게 오늘의 세계를 형성했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저자가 서문에서 말했듯이 우리가 어떻게 오늘날 우리가 있는 곳에 도달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통해 새로운 시대를 판단해야 한다.
목차
일러두기_이름과 장소 관련 참고사항
약어
서문_봉쇄옵션
1부 수확과 폭풍, 1989~1992
1장 드레스덴에서의 이틀 밤
2장 알게 뭐야!
3장 선을 넘다
4장 망각과 기회
2부 철수, 1993~1994
5장 삼각형을 사각형으로
6장 흥망성쇠
3부 냉담, 1995~1999
7장 무거운 책임
8장 인치당 비용
9장 오직 시작뿐
10장 미래를 위하여
결론_새로운 시대
감사의 말
주
찾아보기
책속에서
그 중요한 10년 동안 미국과 러시아가 내린 결정은 실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다. 원자력 시대가 도래한 이래 가장 의미심장하다고 할 수 있는 포괄적·전략적 핵군축의 기회의 창은 비교적 빨리 닫혔다. 이 책에서 보여주듯 1990년대 말까지 정보기관들은 새로운 핵 경쟁이 도래했음을 보고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다른 형태의 경쟁이 나타났는데, 특히 어렵게 합의한 군비통제협정이 깨졌다. 이러한 합의가 거의 전적으로 결여된 오늘날의 관대한 세계 환경은 양측이 핵뿐만 아니라 재래식 전력의 역할 또한 재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유럽에서는 탈냉전 이후 미군의 병력 감축과 러시아군의 동진이 모두 역전되었다.
- ‘서문 봉쇄옵션’ 중에서
동독의 집권 정권은 “국가안보”를 이유로 그러한 개방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유지할 계획이었는데, 이는 동독인들의 탈출을 막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했던 거짓 이유이기도 했다. 그러나 서사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무능함을 보여주면서, 동독 정권은 더 큰 여행 기회에 대한 암시를 주려고 했던 시도를 망쳤다. 1989년 11월 9일 새로운 정책을 발표하는 책임을 맡았던 불운한 정치국, 혹은 중앙위원회 위원은 마치 정권이 오히려 베를린 장벽의 개방을 선언한 것처럼 들리는 선언을 했다. 격동의 그해 어수선했던 분위기 속에서 이 실수는 장벽을 무너뜨리는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날 밤 수천, 수만, 수십만 명의 군중이 국경으로 몰려들어 홍수처럼 넘쳐났고, 아무런 지시를 받지 않은 국경 경비대가 하나둘씩 밀려드는 인파에 양보하기로 함에 따라 그날 밤은 환희의 밤이 되었다.
- ‘1장 드레스덴에서의 이틀 밤’ 중에서
베이커는 셰바르드나제와의 대화에서 나온 핵심 개념들을 질문의 형태로 다시 반복해 말하며 본의 아니게 이후 수십 년 동안 논쟁이 될 이슈를 건드렸다. “당신은 NATO 밖에서 독립적이고 미군이 없는 통일된 독일을 보고 싶습니까, 아니면 NATO의 관할권이 현재의 위치에서 동쪽으로 1인치도 이동하지 않을 것을 보장받으면서 통일된 독일이 NATO에 묶여 있기를 원합니까?” 고르바초프는 어떠한 형태로든 “NATO 관할권”의 확장은 용납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그리고 고르바초프에 따르면 베이커 역시 “우리도 그에 동의한다”고 화답했다고 한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모스크바의 지도자들은 이 대화를 근거로 삼아 미·소 양국 사이에 NATO가 냉전의 경계선을 넘어 동쪽으로 확장하는 것을 금지하는 합의가 있었다고 주장해 왔다. 반면 베이커와 그의 보좌관 및 지지자들은 이것은 가정적인 표현으로서 베이커 국무장관이 제시한 여러 잠재적 옵션 중 하나였을 뿐이고 이후 서면 합의가 없었음을 지적하곤 했다.
- ‘2장 알게 뭐야!’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