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77784871
· 쪽수 : 407쪽
· 출판일 : 2018-06-11
목차
머리말
제1장 베헤모스가 되어버린 한국의 권위주의
권위주의의 재생산 기관
권위주의란 무엇인가?
권위주의의 역사적 경로
제1부 한국 권위주의의 기원과 경로
제2장 조선의 통치 이데올로기와 유교문화
성리학, 조선의 통치 이데올로기
유교문화와 위계질서의 정당화
일제와 독재정권에 포섭된 유교
제3장 배타적 민족주의와 사회진화론의 수용
민족주의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사회진화론과 민족주의
동북아의 사회진화론 수용
한국의 지식인과 사회진화론
지배논리로 변용된 사회진화론
제4장 개신교 근본주의의 유입과 교회의 정치화
개신교회의 비약적 성장과 권위주의 문화
개신교의 조선 전래
문명화의 사명과 기독교 근본주의
신사참배와 침략전쟁의 독려
개신교회의 반공·친미주의
제5장 일본 제국주의의 권위주의 유산
일제의 황국 신민화 정책
천황제 이데올로기와 식민주의
제국 윤리의 내면화
일본 제국주의의 충실한 계승자들
제2부 한국 권위주의의 확산과 심화
제6장 분단, 전쟁과 독재: 반공주의와 한국형 권위주의의 내재화
냉전과 반공주의의 확산
한국 사회와 반공주의
반공주의와 한국 사회의 군사화
제7장 배제의 정치와 지역주의의 발명
지역주의란 무엇인가?
한국의 지역주의: 기원, 전개, 특징
소용돌이의 정치와 후견인·수혜자 관계
지역주의 해소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맺음말 베헤모스를 쓰러트리기: 권위주의와 어떻게 단절할 것인가?
주석
참고문헌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국의 역사학자인 에릭 홉스봄은 『역사론』에서
“우리는 물고기가 물속에서 헤엄치는 것처럼 과거에서 헤엄치며,
따라서 과거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그러나 그 물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방식은 분석과 토론을 요구한다”
고 말한 바 있다.
홉스봄의 지적대로 과거는 현재와 단절되어 있지 않다.
현재의 세계를 구성하고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 점에서 과거는 현재를 읽기 위한 거울이고 열쇠이다.
지금보다 나은 내일을 준비하기 위해서도
과거를 제대로 반추하는 것이 필요하다.
***
바로 이 점에 착안하여
『누가 저 베헤모스를 만들었을까』가 기획되었다.
이 책은 한국 사회에 만연한 권위주의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정치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다.
즉, 민주주의의 제약요인으로서의 권위주의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뿌리내렸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나아가 한국 사회의 권위주의가 갖는 특징과 구조를 살펴보고,
그것의 구체적인 지속과 재생산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다.
이는 권위주의를 해체하고 민주주의를 더욱 진전시키기 위해
학문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