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특수교육학
· ISBN : 9788977945586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1-02-25
목차
머리말
제1장 한국특수교육의 역사적 인식과 쟁점
1.1 전근대사회의 장애인 인식 및 처우오 그 논평
1.2 근대 특수교육의 전개과정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과 그 논평
1.3 광복이후 민간인들이 주도한 특수교육사업의 공과(功過)
1.4 특수교육진흥법 제정과 개정과정상의 주요 쟁점
제2장 한국특수교육론의 정체성 논쟁
2.1 사회학문의 학문적 정체성 논쟁
2.2 한국특수교육론은 존재하는가?
2.3 한국특수교육론 정립을 위한 연구의 논평
2.4 한국특수교육론의 정립 과제
제3장 한국특수교육의 학사적(學史的) 논의
3.1 태동기 한국특수교육의 학사적 논의
3.2 성립기 한국특수교육의 학사적 논의
3.3 전개기(展開期) 한국특수교육 연구의 학사적 논의
제4장 통합교육과 한국특수교육의 정체성
4.1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역사와 문화
4.2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한계와 벽
4.3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주요 과제
4.4 통일과 통합교육의 문제
제5장 한국특수교육 교사론
5.1 특수교육교사 양성체제와 자격증제도
5.2 특수교육교사 양성과정 개발과 운영
5.3 특수교사 임용과 수급문제
5.4 한국특수교육 교사론의 정립 과제
제6장 장애학과 한국특수교육론
6.1 장애학의 역사적 배경
6.2 장애학에서 본 특수교육의 재구조화
6.3 장애학에서 본 한국특수교육(학)의 과제
6.4 장애학에서 본 농학과 농문화
제7장 불교와 성리학의 한국특수교육론적 함의
7.1 불교의 한국 특수교육론적 함의
7.2 성리학의 한국 특수교육론적 함의
7.3 유ㆍ불ㆍ도(儒彿道) 통합의 한국특수교육론적 함의
제8장 세계 속의 한국특수교육과 동아시아 모델
8.1 세계 속의 한국특수교육
8.2 한국특수교육(론)의 정체성 정립
8.3 동아시아 특수교육 네트워크와 한국특수교육론
마무리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