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8013826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3-06-25
책 소개
목차
<해심밀경소 제3 심의식상품, 제4 일체법상품>
차례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해제
심의식상품心意識相品 해제
일체법상품一切法相品 해제
일러두기
제3편 심의식상품心意識相品
제1장 품의 이름을 해석함
제2장 경문을 바로 해석함
1. 장행으로 자세히 해석함
1) 질문
(1) 질문하려는 교를 듦
(2) 교에 의거해 질문함
2) 대답
(1) 질문을 칭찬하며 설법을 허락함
① 그가 질문한 것을 칭찬함
가. 총괄적 칭찬
나. 개별적 칭찬
가) 승의에 대해 물은 것을 칭찬함
나) 질문의 유익함을 칭찬함
② 잘 들으라고 하면서 설법을 허락함
(2) 질문에 대해 바로 대답함
① 여덟 가지 식의 차별을 설명함
가. 식의 종류 수가 몇 개인지를 밝힘
나. 이름을 해석함
다. 체성을 나타냄
라. 소의근所依根을 밝힘
마. 소연경所緣境을 밝힘
바. 심소의 상응을 밝힘
② 심의식의 의미를 해석함
가. 심의식의 비밀스런 의미를 밝힘
가) 제8식의 여러 이름들의 차별을 밝힘
(가) 종자식에 대해 해석함
㉮ 육취·사생에 의거해 몸의 생기를 간략히 밝힘
㉯ 종자식에 의거해 수생의 차별에 대해 자세히 밝힘
a. 수생의 분위의 차별을 밝힘
b. 종자식이 두 가지 집수에 의지함을 밝힘
a) 표장으로서 수를 듦
b) 수에 의거해 이름을 나열함
c) 계에 의거해 분별함
(나) 아타나식에 대해 설명함
(다) 아뢰야식에 대해 밝힘
(라) 심이라는 이름을 나타냄
나) 여러 식들의 구전의 차별을 밝힘
(가) 법法
㉮ 아타나식과 육식의 구전을 밝힘
a. 구전함을 총괄해서 표시함
b. 난점을 따라가며 거듭 해석함
a) 안식은 반드시 의식과 구전함을 밝힘
b) 네 가지 식이 의식과 구전함을 밝힘
㉯ 의식을 오식과 대응시켜 구전하는 개수를 밝힘
a. 의식이 안식과 구전함을 밝힘
b. 의식이 소연 경계에 따라서 몇 개의 연과 합하는지를 밝힘
(나) 비유(喩)
㉮ 물과 파랑의 개수로 비유함
a. 하나의 연과 하나의 파랑으로 비유함
b. 여러 개의 연과 여러 개의 파랑으로 비유함
c. 자기 부류가 단절되지 않음을 비유함
㉯ 거울과 영상의 개수로 비유함
a. 하나의 연과 하나의 영상으로 비유함
b. 여러 개의 연과 여러 개의 영상으로 비유함
c. 수용에 다함이 없음을 비유함
(다) 결합(合)
㉮ 하나의 연으로 하나의 식이 일어남을 밝힘
㉯ 여러 개의 연으로 여러 개의 식이 일어남을 밝힘
나. 비밀선교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전의 두 질문에 답함
가) 물음에 의거해 바로 해석함
(가) 초지 이전은 부처님이 설했던 대상이 아님을 밝힘
(나) 초지 이상이 부처님이 설했던 대상임을 밝힘
㉮ 두 질문에 총괄해서 답함
a. 제8식의 세 가지 이름에 의거해 여실지를 설명함
b. 십팔계에 의거해 여실지를 밝힘
㉯ 두 질문에 따로따로 답함
나) 이전의 물음에 대해 결론지어 답함
2. 게송으로 간략히 설함
1) 송문을 발기함
2) 게송으로 간략히 설함
제4편 일체법상품一切法相品
제1장 품명 해석
제2장 경문 해석
1. 보살의 청문
1) 물으려는 교를 듦
2) 교에 의거해 질문함
2. 세존의 대답
1) 질문을 칭찬하며 설법을 허락함
(1) 묻는 자와 답한 자를 표시함
(2) 질문의 유익함을 칭찬함
(3) 잘 들으라고 권하면서 설법을 허락함
2) 질문에 대해 바로 설해 줌
(1) 관해지는 경계에 의거해 제법의 상을 설명함
① 법法
가. 표장으로서 개수를 듦
나. 문답으로 이름을 열거함
가) 징문
나) 열거
다. 차례대로 따로따로 해석함
가) 변계소집상遍計所執相을 해석함
(가) 질문
(나) 대답
나) 의타기상依他起相을 설명함
(가) 질문
(나) 대답
㉮ 총상으로 체를 나타냄
㉯ 사를 가리켜 따로 해석함
다) 원성실상圓成實相을 해석함
(가) 질문
(나) 대답
㉮ 체를 바로 나타냄
㉯ 뛰어난 작용을 나타냄
② 비유
가. 예안과 정안의 경계로 삼상의 비유를 밝힘
가) 침침하고 어른거리는 눈의 과환으로 비유함
나) 침침하고 어른거리는 눈의 여러 형상으로 비유함
다) 청정한 눈의 본래 경계로 비유함
나. 파지가의 네 가지 사事로 비유를 듦
가) 네 가지 색의 비유를 자세히 설명함
(가) 파란색과 상응하는 경우의 비유
(나) 붉은색과 상응하는 경우의 비유
(다) 녹색과 상응하는 경우의 비유
(라) 노란색과 상응하는 경우의 비유
나) 법동유法同喩를 듦
(가) 종자와 결합시켜 말함
(나) 상집相執과 결합시켜 말함
(다) 의타기와 결합시켜 말함
(라) 원성실과 결합시켜 말함
㉮ 앞의 비유를 거듭해서 듦
㉯ 법동유를 해석함
(2) 관하는 사람에 의거해 선교보살에 대해 설명함
① 장행으로 자세히 해석함
가. 관문을 바로 설명함
가) 보살이 삼성을 아는 것에 대해 설명함
(가)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을 아는 것에 대해 해석함
(나) 의타기성依他起性을 아는 것에 대해 해석함
(다) 원성실성圓成實性을 아는 것에 대해 해석함
나) 삼성을 알기 때문에 삼상도 앎
(가) 소집성을 알기 때문에 무상을 앎
(나) 의타기성을 알기 때문에 잡염상을 앎
(다) 원성실성을 알기 때문에 청정상을 앎
다) 삼상을 알기 때문에 염법을 끊고 정법을 증득함
(가) 무상을 알기 때문에 잡염법을 끊음
(나) 잡염법을 끊기 때문에 청정법을 증득함
나. 앞의 관문을 거듭 표시해 놓고 앞의 질문에 답함
가) 관문을 거듭 표시함
(가) 삼성을 알기 때문에 삼상을 안다는 것을 표시해 놓음
(나) 삼상을 알기 때문에 염법을 끊고 정법을 증득함을 표시해 놓음
나) 두 가지 질문에 바로 답함
② 게송으로 간략히 설함
가. 송문을 발기함
나. 게송으로 간략히 설함
가) 무상을 알지 못함에 따른 과실을 바로 읊음
나) 온갖 행을 관하지 못함에 따른 과실을 거듭 해석함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