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해심밀경소 제3 일체법상품, 제4 심의식상품

해심밀경소 제3 일체법상품, 제4 심의식상품

원측 (지은이), 백진순 (옮긴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해심밀경소 제3 일체법상품, 제4 심의식상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해심밀경소 제3 일체법상품, 제4 심의식상품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8013826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3-06-25

책 소개

<해심밀경소 제3 심의식상품·제4 일체법상품>은 심의식의 비밀(心意識秘密)과 일체법상一切法相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 책이다. 이 두 품은 모두 유가행자들이 관찰해야 할 경계들에 해당한다.

목차

<해심밀경소 제3 심의식상품, 제4 일체법상품>

차례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해제
심의식상품心意識相品 해제
일체법상품一切法相品 해제
일러두기


제3편 심의식상품心意識相品

제1장 품의 이름을 해석함

제2장 경문을 바로 해석함

1. 장행으로 자세히 해석함
1) 질문
(1) 질문하려는 교를 듦
(2) 교에 의거해 질문함
2) 대답
(1) 질문을 칭찬하며 설법을 허락함
① 그가 질문한 것을 칭찬함
가. 총괄적 칭찬
나. 개별적 칭찬
가) 승의에 대해 물은 것을 칭찬함
나) 질문의 유익함을 칭찬함
② 잘 들으라고 하면서 설법을 허락함
(2) 질문에 대해 바로 대답함
① 여덟 가지 식의 차별을 설명함
가. 식의 종류 수가 몇 개인지를 밝힘
나. 이름을 해석함
다. 체성을 나타냄
라. 소의근所依根을 밝힘
마. 소연경所緣境을 밝힘
바. 심소의 상응을 밝힘
② 심의식의 의미를 해석함
가. 심의식의 비밀스런 의미를 밝힘
가) 제8식의 여러 이름들의 차별을 밝힘
(가) 종자식에 대해 해석함
㉮ 육취·사생에 의거해 몸의 생기를 간략히 밝힘
㉯ 종자식에 의거해 수생의 차별에 대해 자세히 밝힘
a. 수생의 분위의 차별을 밝힘
b. 종자식이 두 가지 집수에 의지함을 밝힘
a) 표장으로서 수를 듦
b) 수에 의거해 이름을 나열함
c) 계에 의거해 분별함
(나) 아타나식에 대해 설명함
(다) 아뢰야식에 대해 밝힘
(라) 심이라는 이름을 나타냄
나) 여러 식들의 구전의 차별을 밝힘
(가) 법法
㉮ 아타나식과 육식의 구전을 밝힘
a. 구전함을 총괄해서 표시함
b. 난점을 따라가며 거듭 해석함
a) 안식은 반드시 의식과 구전함을 밝힘
b) 네 가지 식이 의식과 구전함을 밝힘
㉯ 의식을 오식과 대응시켜 구전하는 개수를 밝힘
a. 의식이 안식과 구전함을 밝힘
b. 의식이 소연 경계에 따라서 몇 개의 연과 합하는지를 밝힘
(나) 비유(喩)
㉮ 물과 파랑의 개수로 비유함
a. 하나의 연과 하나의 파랑으로 비유함
b. 여러 개의 연과 여러 개의 파랑으로 비유함
c. 자기 부류가 단절되지 않음을 비유함
㉯ 거울과 영상의 개수로 비유함
a. 하나의 연과 하나의 영상으로 비유함
b. 여러 개의 연과 여러 개의 영상으로 비유함
c. 수용에 다함이 없음을 비유함
(다) 결합(合)
㉮ 하나의 연으로 하나의 식이 일어남을 밝힘
㉯ 여러 개의 연으로 여러 개의 식이 일어남을 밝힘
나. 비밀선교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전의 두 질문에 답함
가) 물음에 의거해 바로 해석함
(가) 초지 이전은 부처님이 설했던 대상이 아님을 밝힘
(나) 초지 이상이 부처님이 설했던 대상임을 밝힘
㉮ 두 질문에 총괄해서 답함
a. 제8식의 세 가지 이름에 의거해 여실지를 설명함
b. 십팔계에 의거해 여실지를 밝힘
㉯ 두 질문에 따로따로 답함
나) 이전의 물음에 대해 결론지어 답함
2. 게송으로 간략히 설함
1) 송문을 발기함
2) 게송으로 간략히 설함


제4편 일체법상품一切法相品

제1장 품명 해석

제2장 경문 해석
1. 보살의 청문
1) 물으려는 교를 듦
2) 교에 의거해 질문함
2. 세존의 대답
1) 질문을 칭찬하며 설법을 허락함
(1) 묻는 자와 답한 자를 표시함
(2) 질문의 유익함을 칭찬함
(3) 잘 들으라고 권하면서 설법을 허락함
2) 질문에 대해 바로 설해 줌
(1) 관해지는 경계에 의거해 제법의 상을 설명함
① 법法
가. 표장으로서 개수를 듦
나. 문답으로 이름을 열거함
가) 징문
나) 열거
다. 차례대로 따로따로 해석함
가) 변계소집상遍計所執相을 해석함
(가) 질문
(나) 대답
나) 의타기상依他起相을 설명함
(가) 질문
(나) 대답
㉮ 총상으로 체를 나타냄
㉯ 사를 가리켜 따로 해석함
다) 원성실상圓成實相을 해석함
(가) 질문
(나) 대답
㉮ 체를 바로 나타냄
㉯ 뛰어난 작용을 나타냄
② 비유
가. 예안과 정안의 경계로 삼상의 비유를 밝힘
가) 침침하고 어른거리는 눈의 과환으로 비유함
나) 침침하고 어른거리는 눈의 여러 형상으로 비유함
다) 청정한 눈의 본래 경계로 비유함
나. 파지가의 네 가지 사事로 비유를 듦
가) 네 가지 색의 비유를 자세히 설명함
(가) 파란색과 상응하는 경우의 비유
(나) 붉은색과 상응하는 경우의 비유
(다) 녹색과 상응하는 경우의 비유
(라) 노란색과 상응하는 경우의 비유
나) 법동유法同喩를 듦
(가) 종자와 결합시켜 말함
(나) 상집相執과 결합시켜 말함
(다) 의타기와 결합시켜 말함
(라) 원성실과 결합시켜 말함
㉮ 앞의 비유를 거듭해서 듦
㉯ 법동유를 해석함
(2) 관하는 사람에 의거해 선교보살에 대해 설명함
① 장행으로 자세히 해석함
가. 관문을 바로 설명함
가) 보살이 삼성을 아는 것에 대해 설명함
(가)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을 아는 것에 대해 해석함
(나) 의타기성依他起性을 아는 것에 대해 해석함
(다) 원성실성圓成實性을 아는 것에 대해 해석함
나) 삼성을 알기 때문에 삼상도 앎
(가) 소집성을 알기 때문에 무상을 앎
(나) 의타기성을 알기 때문에 잡염상을 앎
(다) 원성실성을 알기 때문에 청정상을 앎
다) 삼상을 알기 때문에 염법을 끊고 정법을 증득함
(가) 무상을 알기 때문에 잡염법을 끊음
(나) 잡염법을 끊기 때문에 청정법을 증득함
나. 앞의 관문을 거듭 표시해 놓고 앞의 질문에 답함
가) 관문을 거듭 표시함
(가) 삼성을 알기 때문에 삼상을 안다는 것을 표시해 놓음
(나) 삼상을 알기 때문에 염법을 끊고 정법을 증득함을 표시해 놓음
나) 두 가지 질문에 바로 답함
② 게송으로 간략히 설함
가. 송문을 발기함
나. 게송으로 간략히 설함
가) 무상을 알지 못함에 따른 과실을 바로 읊음
나) 온갖 행을 관하지 못함에 따른 과실을 거듭 해석함

찾아보기

저자소개

원측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라의 승려로서 법호는 문아(文雅)다. 3세에 출가하고 15세에 당나라로 가서 유식학을 배웠다. 당나라 태종으로부터 도첩을 받아 원법사(元法寺)에 기거하며 불학을 연구하여 고금의 논장(論藏)에 통달했다. 현장의 제자 규기(窺基)와 경전 해석의 문제를 두고 대립했으며, 정확한 불전 해석을 지향했다. 신라의 왕이 그의 귀국을 종용했으나 측천무후가 그를 존경한 나머지 허락하지 않아 마침내 당나라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84세에 입적했다.
펼치기
백진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와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성유식론(成唯識論)』의 가설(假說, upacāra)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유식 불교 문헌을 역주하면서 그에 관한 논문을 주로 발표하였다. 역주한 책으로 『인왕경소』, 『해심밀경소』 제1~8권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