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이자랑 (지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6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801531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7-05-30

책 소개

로컬 한국불교 총서 6권. 승가의 최고 운영 이념인 화합 여부를 결정하는 절대조건이 ‘여법화합갈마의 실행’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율장에서 그토록 많은 부분을 할애하며 올바른 갈마 실행법을 설명하는 데 공을 들이는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목차

머리말 _4

제1부 초기불교 승가의 운영 원리

제1장 승가 화합의 판단 기준 -----------------17
1. 화합이란 무엇인가 … 17

2. 화합승의 정의 … 21

화합승의 정의,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1 / 화합의 판단 기준 24

3. 사마나상와사까와 나나상와사까 … 29

4. 화합승의 의미 … 35

거죄갈마와 불공수 35 / 여법화합갈마의 공동 실행 38

제2장 승가의 소유와 분배 43
1. 욕망과 집착의 차단 … 43

2. 중도적 입장의 개인 소유 … 45

3. 승가의 분배 원칙 … 51

분배 소임자의 종류 및 자격 요건 52 / 승가의 분배 원칙 55

4. 자기 몫에 대한 만족, 그리고 양보 … 60

5. 공평한 분배, 만족, 그리고 배려 … 64

제3장 승가 추방죄, 멸빈 66

1. 바라이불공주와 멸빈 … 66

2. 멸빈의 의미 … 69

3. 멸빈의 대상 … 72

차법 72 / 십분구족 사미 75 / 무근 비방 78 / 바라이 음욕법 80

4. 멸빈 작법 … 84

5. 멸빈과 한국불교 … 89


제2부 승가 화합과 지도자의 역할

제1장 승가 갈마의 조건 95

1. 갈마란 무엇인가 … 95

2. 갈마 성립의 조건 … 97

대상 97 / 안건의 고지 103 / 찬반 여부의 확인 105 / 경계의 설정 108 / 무리 111

3. 갈마, 승가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 … 113

제2장 승가의 지도자상 115
1. 승가의 운영 원리 … 115

2. 갈마 진행자의 덕목-쟁사갈마를 중심으로 … 119

단사인의 덕목 120 / 행주인의 덕목 125

3. 교육 지도자 화상의 덕목 … 129

4. 화합의 실현과 지도자의 역할 … 137

제3장 다인어와 승가 분쟁 해결의 이념 142
1. 다인어, 여법을 지향하는 멸쟁법 … 142

2. 언쟁과 그 발생 원인 … 145

언쟁의 정의 145 / 언쟁의 발생 원인 149

3. 언쟁의 해결 방법 … 152

현전비니 152 / 다인어-3종의 행주 156

4. 다인어에 나타난 승가 분쟁 해결의 이념 … 162

행주인의 자격 요건과 그 역할 162 / 다인어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열 가지 조건 166

5. 여법과 화합 … 170

제3부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방향

제1장 신라 사원노비의 발생과 사신 175

1. 사노와 불교 … 175

2. 신라 사원노비의 발생 양상 … 180

『삼국유사』 권3에 보이는 3종의 사원노비 180 / 시施와 사신捨身 184

3. 사신과 사원노비의 결합 … 188

가성假性다사dāsa의 발전 188 / 양 무제의 사신 193

4. 신라 사원노비의 발생과 사신의 특징 … 196

제2장 살생유택계와 원광의 계율관 205

1. 승려와 살생 … 205

2. 살생유택계에 대한 기존의 해석 … 208

3. 살생유택의 의미 재고 … 212

4. 원광과 불살생계 … 219

5. 승려와 계율 … 226

제3장 조계종단 계단의 역사 및 성격 229

1. 수계갈마 정비의 필요성 … 229

2. 근현대불교의 두 계맥-대은파와 만하파 … 232

3. 정화기의 혼란한 수계 상황과 통합종단의 계단법 … 238

4. 단일계단의 정비 … 243

5. 비구니 수계 제도의 정비 … 247

6. 자운 율사의 업적 … 253

제4장 조계종단 징계 제도의 개선 방향

-승려법·호계원법을 중심으로 256

1. 응징이 아닌 참회와 화합 … 256

2. 범계 행위, 죄의 확정, 그리고 징계 내용의 일관된 제시 … 258

범계 행위의 성격에 따른 재분류의 필요성 259 / 멸빈의 대상 262

3. 징계 절차에 관한 명확한 원칙의 제시-갈마법에 근거하여 … 266

쟁사갈마의 기본 구성 요소 266 / 호계원의 구성 269 / 궐석징계 273

/ 심판 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 275

4. 징계자의 관리 및 출죄 방법 … 278

징계자의 관리 278 / 출죄 방법 286

제5장 율장을 통해 본 승가와 현대사회의 조화 289

1. 율은 절대적인 진리인가 … 289

2. 율의 의미 … 294

계와 율의 차이 294 / 율의 제정 목적 299

3. 율장을 통해 본 승가와 일반 사회의 관계 … 303

출가자와 재가자의 조화 303 / 율의 역할-차법 규정을 중심으로 306

4. 현대사회에서 율의 역할 … 310


참고문헌 | 314

찾아보기 | 328

저자소개

이자랑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인도철학·불교학 석사 및 박사 과정 졸업. 「초기불교교단의 연구-승단의 분열과 부파의 성립」으로 문학박사 학위 취득. 일본 도쿄대학 외국인특별연구원 역임.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로 재직 중. 『나를 일깨우는 계율이야기』, 『붓다와 39인의 제자』,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불교교단사론』, 『열반경 연구』 등의 번역서, 초기불교교단사 및 계율에 관한 5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불교학술진흥상(2007), 불이상(2015)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승가 화합의 판단 기준


1. 화합이란 무엇인가

율장에서는 승가를 ‘화합승和合僧(samagga-sa?gha)’이라고 정의한다.1

이는 승가가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이념이 화합이라는 점을 보여 주는

것으로, 화합은 승가 운영에 매우 중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합의 정확한 의미와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승가 운영의 핵심을

파악하는 길이다. 화합은 말 그대로 ‘싸우지 않고 서로 융화하며 사이좋게

지내는 것’ 정도의 의미로 이해하기 쉽지만, 율장에서 정의하는 화합의

내용은 이와는 상당히 다르다. 율장에서 화합은 전문 용어(technical

term)에 해당하며, 그 개념 정의도 명확하다.

율장 「자자건도」에 의하면, 안거安居를 마치고 문안 차 찾아온

비구들에게 붓다가 안거 기간 동안 화합하며 잘 지냈냐고 묻는다. 그러자

비구들은 불화가 생기지 않도록 서로 말을 아끼고, 걸식에서 먼저 돌아온

자는 뒤에 오는 자를 위하여 자리 등을 마련하고, 나중에 온 자는 자리

등을 정리하는 등 화합하며 잘 지냈다고 대답한다. 그러자 붓다는 “안이한

화합을 구하며 서로 무관심하게 외도나 지키는 벙어리계를 지키며

살았구나.”라고 꾸짖은 후, 안거가 끝나면 자자自恣갈마를 하여 3개월간의

안거 생활 중에 보고 듣고 의심한 것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며 잘못을

지적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라고 지시한다.2 이 일화는 율장에서

말하는 화합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화합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그렇다면, 율장에서 정의하는 화합이란 무엇일까? 학계에서 화합의 의미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61년에 베햣트Bechert가

파승破僧(sa?ghabheda)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아쇼까A?oka왕

비문 가운데 파승을 언급하는 세 개의 비문, 즉 ‘분열 법칙(Schism

Edict)’이라 불리는 일련의 비문들과, 『디빠왕사D?pava?sa(島史)』 등의

빨리 역사서에 기록된 제3결집에 관한 전승의 관련성을 둘러싸고

학계에서 한창 논의가 진행될 무렵,3 그는 분열 법칙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빨리율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빨리율을 세밀하게 검토하여 파승의 의미를 밝혀낸다. 그의

연구에 의하면, 파승이란 경계 설정(結界)에 의해 형성된 작은 규모의

개개의 승가, 즉 현전승가現前僧伽(sammukh?bh?ta-sa?gha)에

서 승가회의인 갈마?磨(kamma)의 실행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분열이다.

요컨대 하나의 현전승가 안에서 함께 갈마를 실행하는 상태가 화합이며,

나뉘어 실행하는 상태가 파승이다. 이 연구에 의해, 승가의 화합이나 파승은

승가의 구성원들이 단지 갈등 없이 사이좋게 지낸다거나 혹은 서로

대립한다거나 하는 막연한 개념이 아닌, 일정한 경계를 중심으로 형성된

현전승가 안에서 이루어지는 갈마의 공동 실행 여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개념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현전승가에 속한 비구들이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여법如法한 갈마를 실행하고, 거기서 내려진 결론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곧 화합승을 실현하는 방법이라는 점도 명확해졌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