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테마 한국불교 9

테마 한국불교 9

김용태, 조윤경, 이수미, 이자랑, 김호귀, 김천학, 바바 히사유키, 도윤수, 김지연 (지은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엮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테마 한국불교 9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테마 한국불교 9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91197343346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인물과 문헌> 영역에서는 사상가로 균여와 지눌, 텍스트로는 『석마하연론』과 주석서를 살펴보았고, <종교와 문화>에서는 ‘종교와 미래’ 유형에서 교단과 불교명상을 다루고 ‘문화와 의례’에서는 불교미술과 상장례를 소개하였다.

목차

제1부 인물과 문헌

균여均如

Ⅰ. 중국과 한국의 화엄사상 … 40
Ⅱ. 균여의 생애와 저작 … 47
Ⅲ. 균여의 화엄 사상 … 58
Ⅳ. 균여에 대한 평가 … 71

지눌知訥

Ⅰ. 지눌의 행적과 저술 … 82
Ⅱ. 지눌의 선 사상과 수행체계 … 89
Ⅲ. 동아시아의 지눌 선 사상 계승 … 98
Ⅳ. 지눌 사상에 대한 논쟁과 과제 … 104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

Ⅰ. 『석마하연론』 의 성립 문제 … 116
Ⅱ. 동아시아에서 『석마하연론』의 유통 … 124
Ⅲ. 『석마하연론』의 독창적인 사상 … 131
Ⅳ. 『석마하연론』과 신라불교의 연관성 … 148
주석서註釋書

Ⅰ. 인도 불교 문헌의 주석서 … 164
Ⅱ. 중국과 한국 불교주석서의 특징 … 171
Ⅲ. 신라 불교 문헌의 주석서 … 184
Ⅳ. 고려 및 조선 불교 문헌의 주석서 … 203

제2부 종교와 문화

교단

Ⅰ. 불교 교단의 성립과 분열 … 216
Ⅱ. 중국·일본에서 교단의 성립과 발전 … 225
Ⅲ. 신라시대 교단의 형성 … 237
Ⅳ. 고려·조선 시대 교단의 전개 … 243

찾아보기 _ 419
저자소개 _ 435

저자소개

김호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 동국대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공부하여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선종의 역사와 사상 및 수행 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무생법인의 구조와 무생선의 실천」 등의 논문 및 『한국 선리논쟁의 연구』, 『강좌 한국선』, 『금강삼매경의 선사상』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이자랑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인도철학·불교학 석사 및 박사 과정 졸업. 「초기불교교단의 연구-승단의 분열과 부파의 성립」으로 문학박사 학위 취득. 일본 도쿄대학 외국인특별연구원 역임.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로 재직 중. 『나를 일깨우는 계율이야기』, 『붓다와 39인의 제자』,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불교교단사론』, 『열반경 연구』 등의 번역서, 초기불교교단사 및 계율에 관한 5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불교학술진흥상(2007), 불이상(2015)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김용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일본 도쿄대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중국 송대(宋代) 화엄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제출했다. 대원불교문화상 대상과 원효학술상 대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및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로 있다.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조선시대 불교를 연구하고, 근대불교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이수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동아시아 유식불교 전공, 미국 UCLA 박사, 동국대 HK연구교수 역임. “The Meaning of ‘Mind-made Body’(S. manomaya-kāya, C. yisheng shen 意生身) in Buddhist Cosmological and Soteriological systems,” 「공유논쟁空有論爭을 통해 본 원효元曉의 기신론관起信論觀 재고」, “Redefining the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and East Asian Yogācāra Buddhism,” 「여래장사상과 유식사상의 전통적 이분법에 관한 제문제」, “On the Ālayavijnāna in the Awakening of Faith: Comparing and Contrasting Wŏnhyo and Fazang’s Views on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nāna”
펼치기
이수미의 다른 책 >
김천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교수 및 한문불전번역학과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균여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일본 東京대학대학원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일본화엄사상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화엄학을 주로 연구하면서, 한국불교의 확장성을 탐구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 『화엄사상의 연구』(2020), 역주서로 견등의 『화엄일승성불묘의』(2016), 저서로 『平安期華厳…思想の研究 ― 東アジア華厳…思想の視座より ―』(2015), 『균여화엄사상연구』(2006)가 있고, 교감텍스트로 Kegonshurikyōgi(East Asian Buddhhist Litreature vol.1, 2020)를 발표하였고, 그 외 「『보살계본종요초』의 문헌적 의의와 신라 태현에 대한 인식」(2020), 「화엄경문답에 법장의 영향은 보이는가?」(『보조사상』, 2019), 「順高の『起信論本疏聴集記』における元暁引用の意義」(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조윤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부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에서 문학석사를, 중국 베이징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를 취득했다. 오랫동안 길장의 저술로 여겨졌던 『대승현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길장 사상을 새롭게 읽어내고, 한국 철학의 원형을 구성하는 고구려 승랑과 백제 혜균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한국불교학연구』(공저, 2022), 『깨달음 논쟁』(공저, 2018), 「중층과 호환 ― 3중이제설과 4중이제설의 구조적 이해」(2023), 「고구려 승랑의 융합적 사유 ― 중가의(中假義)와 이교의(理敎義)」(2022), 「원효와 혜균의 만남과 대화 ― 원효의 화쟁·회통에 보이는 혜균의 변증법적 논리를 중심으로」(2019), 「『大乘玄論』 길장 찬술설에 대한 재고찰 ― 「二諦義」를 중심으로」(2014) 등이 있다.
펼치기
바바 히사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佛敎大學 강사, 불교문화 전공, 원광대 불교학과 박사. 『日韓交流と高麗版大藏經』(法蔵館, 2016), 『고려 재조대장경과 동아시아의 대장경』(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사, 2015), 「日本 大谷大学 소장 高麗大蔵經의 傳來와 特徵」, 「일본 근세의 대장경간행과 슈존(宗存)」, 「고려시대 후기 고려대장경의 印成」
펼치기
도윤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문화재연구소 연구초빙교수, 한국건축사 전공, 한양대 건축학과 박사, 인하대·한양대 건축학과 겸임교수. 『동아시아 건축도면의 역사와 특징』(공저, 수원화성박물관, 2014), 「세키노 타다시의 한국건축조사보고 도판 오류에 관한 연구」, 「17~19세기 김룡사의 佛事 관련 기록물 현황과 營建활동」, 「김룡사金龍寺 산내암자山內庵子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 김룡사의 사역형성과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2015), 「<안심사사적비>를 통해 본 18세기 완주 안심사 건축 검토」, 『경기문화재대관』(공저, 경기도문화재재단, 2017), 「18~19세기 흥천사의 영건활동과 건축적 의미」, 「평창 오대산중대 적멸보궁의 건축양식과 문화재적 가치」, 『논산의 불교문화』(공저, 논산문화원, 2018)
펼치기
김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연구교수, 동아시아불교 전공, 동국대 불교학과 박사, 금강대 학술연구교수 역임. 「북미불교의 원효 인식과 이해」, 「그들은 동일한 텍스트를 보았는가? ― 『석마하연론』 텍스트 교감과 계통 ―」, 「『釈摩訶衍論』における摩訶衍と大乘 ― 何故『釈摩訶衍論』なのか ―」,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riminating Consciousness and the True Consciousness in the Silla Commentaries on the Dashengqixinlun”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