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테마 한국불교 10

테마 한국불교 10

김천학, 김호귀, 옥나영, 김종진, 김제란, 김은영, 이자랑, 김지연 (지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테마 한국불교 1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테마 한국불교 1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91191670110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1-08-31

목차

머리말_김종욱∙5
총 설_김용태∙15

제1부 인물과 문헌

사상가

의천義天 _김천학∙41

ⅠⅡⅢⅣⅤ∙
Ⅰ. 도송渡宋과 교관겸수의 발원 ∙∙∙ 42
출가 42/도송渡宋의 이유 43/교관겸수의 발원 45
Ⅱ. 불교사상의 전승과 비판 ∙∙∙ 48
화엄사상의 전승 48/ 천태종의 중흥 55/ 균여파와 선종 비판 58
Ⅲ. 불교문헌학의 선구자 ∙∙∙ 61
교장의 집성 61/ 교장의 간행 63/ 교장의 편찬 65
Ⅳ. 교장校葬의 전파와 전승 ∙∙∙68
중국으로의 역전파 68/ 일본으로 직∙간접 전파 69/ 한국불교의 사상적 계승 73
■ 의천의 교장, 동아시아 불교 부흥의 기폭제가 되다 ∙ 75
휴정休靜 _김호귀∙79

ⅠⅡⅢⅣⅤ∙
Ⅰ. 시대적 배경과 보살도의 삶 ∙∙∙ 80
불교의 시대적 상황 80/ 수행과 보살행의 행적 82/ 구국의 화현으로 나툰 승장 85
Ⅱ. 저술과 사상의 편린 ∙∙∙ 88
통방정안의 삼교관/ 신행의 지침서로서 『선가귀감』 92/ 보편적 사유의 『청허당집』 97
Ⅲ. 신행과 수증의 보편적 통합 ∙∙∙ 103
간화선의 전통적 계승 103/ 염불수행의 보편화 106/ 제반 수행의 섭수 109
Ⅳ. 선과 교를 통한 승풍의 진작 ∙∙∙ 111
선교융합의 성격 111/ 선주교종의 지향 114/ 출가정신에 근거한 승풍의 각성 116
■ 불법의 중흥과 보살도의 실천 ∙ 120

텍스트

밀교문헌 _옥나영∙125
ⅠⅡⅢⅣⅤ∙
Ⅰ. 밀교경정과 성립과 전파 ∙∙∙ 126
밀교경전의 출현 126/ 중국의로의 전파와 한역 129/ 일본 밀교의 전개 133
Ⅱ. 삼국∙통일신라 시대 밀교의 역할 ∙∙∙ 137
밀교의 전래 137/ 밀교 신앙의 확산 141/ 밀교의 역할 144
Ⅲ. 고려~조선 시대 밀교의례와 문헌 간행 ∙∙∙ 147
밀교의례의 설행 147/ 고려 밀교문헌의 간행 153/ 조선의 진언∙의례집 간행 158

■ 깨우침과 실천의 좌표, 밀교 ∙ 163

불교잡지 _김종진∙169
ⅠⅡⅢⅣ∙
Ⅰ. 근대 불교잡지의 등장 배경과 복합성 ∙∙∙ 170
시대적 배경 170/ 전통과 근대의 이중주 173/ 종교, 학술, 문예의 삼중주 176
Ⅱ. 1910년대 불교잡지와 근대 불교의 실천적 모색 ∙∙∙ 178
삼십 본산제도의 동력학 178/ 근대 불교의 기획과 근대 불교학 182/ 수양담론 184
Ⅲ. 1920년대 불교잡지의 문화 잡지 지향 ∙∙∙ 187
지역 불교잡지의 등장 187/ 동경불교유학생회 189/ 종합 교양지의 출현 192
Ⅳ. 1930년대 불교잡지의 분파성 ∙∙∙ 196
전문학교 교우회와 학생회 196/ 불교청년회와 동맹운동 199/ 강원과 선원 202

■ 근대 불교와 불교 청년의 성장 서사 ∙ 206

제2부 종교와 문화

종교와 미래

여성 _김제란∙213

Ⅰ. 인도∙초기불교의 여성관 ∙∙∙ 214
남성 중심적 불교여성론 214/ 인도 종교 및 초기불교의 여성관 215/ 초기불교의 여성적 사유 218/ 초기불교의 이중성: 반여성성과 평등성 222
Ⅱ. 신라∙고려 시대 불교와 여성 ∙∙∙ 227
삼국시대 불교 전래와 비구니 승단 227/ 고려시대 불교와 여성출가 231/ 여성의 선수행과 혜심의 여성성불론 233/ 성 역할 수행으로서의 여성신앙론 234
Ⅲ. 조선시대 불교와 여성 ∙∙∙ 237
조선 전기 불교와 유교의 갈등 237/ 배불정책과 불교미술의 여성 후원자 238/ 부녀상사금지법 시행과 여성 신앙의 억압 241
Ⅳ. 한국 근현대 불교와 여성 ∙∙∙ 243
불교 여성의 근대적 자각 243/ 선불교의 대중화와 재가여성 선수행 246/ 현대한국 비구니 사찰의 설립 248

■ 불교여성관: 진리의 평등성과 사회적 불평등성 ∙ 252

생태환경 _김은영 ∙ 257
Ⅰ. 인도불교에서의 자연 인식 ∙∙∙ 258
자연에 대한 인도적 관점 258/ 연기적 세계관 260/ 사성제의 생태적 측면 262
Ⅱ. 동아시아 불교의 자연 생태관 ∙∙∙ 263
유儒∙불拂∙도道의 자연관 263/ 불교예쑬에 나타난 자연 267/ 사찰의 생태적 구조 269
Ⅲ. 한국불교 衣食住의 생태주의 ∙∙∙ 271
욕망을 제어하는 청빈한 복식, 법의法衣 271/ 자연친화적 수행 음식, 공양供養 274/ 어울림의 생태, 사찰 건축 277

■ 불교의 생태관, 생명의 의미를 확장시키다 ∙ 280

문화와 의례

불교음식 _이자랑∙285

Ⅰ. 불교 음식의 기원과 특징 ∙∙∙ 286
발우의 기원 286/ 걸식과 소욕지족 288/ 발우에 담긴 음식 290/ 육식과 오신채의 금지 292
Ⅱ. 걸식에서 자급자족으로 ∙∙∙ 295
청규의 등장과 자급자족 295/ 선원의 식문화 297/ 『법망경』과 식육계 300/ 쇼진精進요리 302
Ⅲ. 한국불교의 식문화 ∙∙∙ 305
소선素膳과 반승伴僧 305/ 두부의 전파와 조포사造泡寺 307/ 공양의례와 「소심경」 309
Ⅳ. 사찰 음식의 발전과 역할 ∙∙∙ 312
사찰 음식과 웰빙 문화 312/ 사찰 음식의 특징 314/ 발우공양의 현대적 의미 316

■ 음식을 통한 욕망의 절제와 자비의 실현 ∙ 319

범패梵唄 _김지연 ∙ 325

Ⅰ. 범패의 기원 ∙∙∙ 326
범패의 의미 326/ 범패 소리의 특징 328/ 화엄 42자모와 범패 330
Ⅱ. 중국과 일본의 범패 ∙∙∙ 333
범패의 중국 전래 333/ 중국의 범패승 336/ 일본의 덴다이 쇼묘 339
Ⅲ. 신라: 범패의 전개와 융합 ∙∙∙ 342
월명사의 향가와 범패 342/ 진감 선사와 당 범패 346/ 적산법화원의 범패 349
Ⅳ. 고려-조선:범패의 발전과 변형 ∙∙∙ 352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의 범패 352/ 각필 악보와 의례집 356/ 영산재와 범패 소리의 종류 329

■ 범패, 불교를 음악으로 표현하다 ∙ 362

찾아보기_367
저자 소개_377

ⅠⅡⅢⅣ∙

저자소개

김호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 동국대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공부하여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선종의 역사와 사상 및 수행 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무생법인의 구조와 무생선의 실천」 등의 논문 및 『한국 선리논쟁의 연구』, 『강좌 한국선』, 『금강삼매경의 선사상』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김제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高麗大學校 철학과 박사 泰東古典硏究所 한문연수과정 수료 高麗大學校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역임 東國大學校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역임 高麗大學校 철학과 강의교수(현) 論著 및 譯書 論文 <熊十力 哲學思想 硏究>(박사학위 논문),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송대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당군의 철학에 나타난 동 서융합의 논리- 유학, 헤겔철학과 화엄불교의 융합> 등 著書 ≪한마음, 두 개의 문,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쉽게 읽히는 동양철학 이야기≫ 譯書 ≪신유식론(新唯識論)≫(上․下), ≪심체와 성체≫(공역)
펼치기
이자랑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인도철학·불교학 석사 및 박사 과정 졸업. 「초기불교교단의 연구-승단의 분열과 부파의 성립」으로 문학박사 학위 취득. 일본 도쿄대학 외국인특별연구원 역임.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로 재직 중. 『나를 일깨우는 계율이야기』, 『붓다와 39인의 제자』,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등의 저서를 비롯하여, 『불교교단사론』, 『열반경 연구』 등의 번역서, 초기불교교단사 및 계율에 관한 5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불교학술진흥상(2007), 불이상(2015) 등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김종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교수. 〈불교가사 유통 연구〉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 불교문학의 여러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불교가사의 연행과 전승》, 《불교가사의 계보학 그 문화사적 탐색》, 《한국불교시가의 동아시아적 맥락과 근대성》, 《근대불교잡지의 문화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천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교수 및 한문불전번역학과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균여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일본 東京대학대학원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일본화엄사상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화엄학을 주로 연구하면서, 한국불교의 확장성을 탐구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 『화엄사상의 연구』(2020), 역주서로 견등의 『화엄일승성불묘의』(2016), 저서로 『平安期華厳…思想の研究 ― 東アジア華厳…思想の視座より ―』(2015), 『균여화엄사상연구』(2006)가 있고, 교감텍스트로 Kegonshurikyōgi(East Asian Buddhhist Litreature vol.1, 2020)를 발표하였고, 그 외 「『보살계본종요초』의 문헌적 의의와 신라 태현에 대한 인식」(2020), 「화엄경문답에 법장의 영향은 보이는가?」(『보조사상』, 2019), 「順高の『起信論本疏聴集記』における元暁引用の意義」(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연구교수, 동아시아불교 전공, 동국대 불교학과 박사, 금강대 학술연구교수 역임. 「북미불교의 원효 인식과 이해」, 「그들은 동일한 텍스트를 보았는가? ― 『석마하연론』 텍스트 교감과 계통 ―」, 「『釈摩訶衍論』における摩訶衍と大乘 ― 何故『釈摩訶衍論』なのか ―」, “The Understanding of the Discriminating Consciousness and the True Consciousness in the Silla Commentaries on the Dashengqixinlun”
펼치기
옥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