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고학 GIS 이론과 방법

고고학 GIS 이론과 방법

강동석 (지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900원
27,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고학 GIS 이론과 방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고학 GIS 이론과 방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78017947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5-07-24

책 소개

현재 GIS는 고고학 조사와 연구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강력한 도구이다. 앞으로 고고학 GIS는 인공지능정보화기술, 무인항공체계와 다차원 공간정보기술, 지식플랫폼 등과 결합하여 그 외연을 크게 확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책을 펴면서 07

제1장 고고학과 GIS 11
1.1 고고학에서의 공간 13
1.2 고고학에서 GIS의 활용 17

제2장 GIS와 공간정보 25
2.1 GIS의 정의 27
2.2 공간정보와 공간데이터 30
2.2.1 공간정보의 종류
2.2.2 공간데이터
2.2.3 속성데이터

제3장 수치지도와 수치표고모델 39
3.1 수치지도 41
3.1.1 수치지형도
3.1.2 수자원단위지도
3.1.3 수치지질도
3.1.4 수치토양도
3.1.5 수치주제공간정보
3.2 수치표고모델 57
3.2.1 기 구축 수치표고모델의 이용
3.2.2 수치표고모델의 제작

제4장 유적 공간정보 구축 79
4.1 사용자 유적 공간정보 구축 81
4.2 국가 차원의 유적 공간정보 구축 86

제5장 유적분포도 작성 93
5.1 고고학 연구와 유적분포도 95
5.1.1 유적분포도의 중요성
5.1.2 유적분포도의 변천
5.2 GIS를 이용한 유적분포도 작성 107
5.2.1 유적분포도 작성 절차
5.2.2 수치지도 활용 유적분포도
5.2.3 수치표고모델 활용 유적분포도
5.2.4 심볼을 이용한 유적분포도
5.2.5 국가공간정보 이용 유적분포도

제6장 점패턴 분석 125
6.1 고고학에서의 점패턴 분석 127
6.2 점패턴 분석의 정의와 분석 기법 128
6.2.1 점패턴과 점패턴 분석
6.2.2 점패턴 분석 기법


제7장 유적 자원영역분석 153
7.1 유적 자원영역분석의 개념 155
7.2 유적 자원영역분석과 GIS 159
7.2.1 반경 영역
7.2.2 이동 경로
7.2.3 수문해석

제8장 유적 입지분석 177
8.1 고고학 연구와 입지분석 179
8.2 고고학적 예측 모델링의 몇 가지 문제 182
8.2.1 환경결정론적 접근 방식
8.2.2 귀납적·연역적 모델링의 이분
8.2.3 데이터의 편향성과 분석 방법
8.3 GIS를 이용한 예측 모델링 방법 184
8.3.1 예측 모델링 절차
8.3.2 환경 변수
8.3.3 예측 모델링 기법

제9장 가시권 분석 207
9.1 경관고고학과 가시권 분석 209
9.2 가시권 분석 방법과 종류 214
9.2.1 분석 방법
9.2.2 가시권 분석

제10장 네트워크 분석 233
10.1 고고학과 네트워크 235
10.2 GIS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238
10.2.1 입지-배분 모델
10.2.2 사회 네트워크 분석

제11장 고고학 GIS의 미래 263
11.1 인공지능과 고고학 GIS의 융합 265
11.2 UAS와 다차원 GIS의 발전 270
11.3 고고학 지식정보 플랫폼, GIS 274

참고문헌 283

저자소개

강동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일본 리츠메이칸대학에서 고고학·문화유산 전공으로 문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 학예연구사를 시작으로, 국가유산청 문화유산GIS팀장,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와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학예연구실장,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고고학회 디지털분과위원장, 한국청동기학회 편집위원장, 영남고고학회 기획위원의 소임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韓日初期複雑社会の集落体系の比較 - GISを用いた空間考古学的検討』가 있으며, 한국고고학회 우수논문상을 받은 「지석묘사회의 취락패턴과 복합화 - GIS를 활용한 영산강중류역 취락패턴의 재구성」을 비롯하여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논문 30여 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