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8017985
· 쪽수 : 1192쪽
· 출판일 : 2025-05-16
책 소개
반만년의 한국사가 한우물이라면, 그 역사와 1천 7백여 년을 함께해 온 한국불교사는 마중물이었다. 한국불교는 인도의 소승·대승·금강승·불교와 중국의 삼론·열반·구사·성실·지론·섭론·율·밀·법상·천태·화엄·정토·선법의 13종파를 받아들여 물리적으로 종합한 후 ‘비빔의 불교’를 열었고, 화학적으로 삼투시켜 ‘달임의 불교’를 열었다.
이 책에서는 우리 역사의 한우물인 한국사와 마중물인 한국불교사의 주제와 인물, 역사와 문화, 사상과 학파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이 책의 ‘참구’參究는 한국불교사를 화두처럼 ‘참선하여 화두·공안을 구명하는 것’이란 의미에서 덧붙였다.
목차
서문
한국불교, 물리적 종합의 ‘비빔 불교’와 화학적 삼투의 ‘달임 불교’ • 5
제 1 부
사국시대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불교
제1장
한국 고대불교의 토착화와 구심화 51
- 융화 融和와 교화 敎化를 중심으로 -
Ⅰ. 신앙과 신행 • 53
Ⅱ. 민간과 왕실의 불교 전래 • 56
Ⅲ. 고유 신앙의 융화와 교화 • 61
Ⅳ. 민간과 왕실의 불교 수용과 공인 • 76
Ⅴ. 토착문화의 교화와 착근 • 83
Ⅵ. 융화와 교화를 통한 토착화와 구심화 • 87
제2장
백제불교의 전래 주체와 초전지 91
- 침류왕대 한성백제 구도읍과 신도읍과 관련하여 -
Ⅰ. 한성 한산성 위례성 • 93
Ⅱ. 한성백제의 왕성 _ 한성 · 한산성 · 위례성 • 96
Ⅲ. 불교 전래의 주체와 장소 • 107
Ⅳ. 초전지의 재검토 • 121
Ⅴ. 한성백제 초전지 불교의 성격 • 126
Ⅵ. 풍납토성 몽촌토성 이성산성 • 132
제3장
『삼국유사』 「흥법」편 ‘아도기라’阿道基羅 조목 137
Ⅰ. 아도⁽(阿道)⁾와 아도⁽(我道)⁾ • 139
Ⅱ. ‘아도기라’⁽(阿道基羅)⁾ 조의 구성과 체계 • 141
Ⅲ. 아도⁽(阿道)⁾ 관련 사료⁽(史料)⁾의 몇 가지 문제 • 150
Ⅳ. 「아도본비」⁽(阿道本碑)⁾와 신라불교 초전자 • 154
Ⅴ. 모례⁽(毛禮)⁾ 누이 사씨⁽(史氏)⁾의 출가와 영흥사⁽(永興寺)⁾ • 161
Ⅵ. 원종의 멸신⁽(滅身)⁾과 염촉의 순교⁽(殉敎)⁾ 그리고 공인 • 165
제4장
가야불교 남방전래설의 재검토 171
- 아라가야 · 금관가야 · 대가야를 중심으로 -
Ⅰ. 가야불교 남전설 • 173
Ⅱ. 가야불교 관련 사료의 비판적 검토 • 176
Ⅲ. 허황옥의 출자와 불교 전래설 분석 • 184
Ⅳ. 북방 전래와 남방 전래의 두 갈래 • 195
Ⅴ. 남방전래설의 재해석 • 200
Ⅵ. 세 가야의 남북불교 수용 • 202
제5장
불교가 한국인의 생사관에 미친 영향 207
Ⅰ. 삶과 죽음을 보는 관점 • 209
Ⅱ. 불교 수용 이전의 사생 인식 • 212
Ⅲ. 고유사상의 사생관 • 215
Ⅳ. 불교사상의 생사관 • 232
Ⅴ. 불교 수용 이후의 생사 이해 • 248
Ⅵ. 계세적 세계관에서 전생적 생사관으로 • 251
제 2 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 대발해 불교
제1장 문아 원측 사상의 재조명 261
- 최만년작 『인왕경소』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과 관련하여
Ⅰ. 원측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 • 263
Ⅱ. 원측의 전체 저술과 현존 저술 • 265
Ⅲ. 『인왕경소』의 교체와 종지 • 276
Ⅳ. 『인왕경소』의 삼성론 인식 • 290
Ⅴ. 공유 이집과 무유 이상의 중도적 종합 • 302
Ⅵ. 대승의 불이중도 각성 역설 • 310
제2장
분황 원효는 무엇을 깨쳤고 어디에서 깨쳤을까? 315
- ‘중도일심’과 경기도 화성시 ‘당성 인근의 마도면 일대 무덤’ -
Ⅰ. 깨침과 영장 • 317
Ⅱ. 중도연기와 중도일심 • 318
Ⅲ. 원효의 유학길 - 鷄立嶺路 • 322
Ⅳ. 원효의 오도처 - 靈場處 • 325
Ⅴ. 깨침 이후 원효의 삶 • 341
Ⅵ. 중도일심과 화성 당성 인근 무덤 • 342
제3장
부석 의상의 화엄은 성기사상이 아닌가? 347
- ‘의상 화엄사상의 성기적 이해에 대한 재검토’의 비판적 고찰 -
Ⅰ. 중도와 성기 • 349
Ⅱ. 당나라 유학의 시말 • 352
Ⅲ. 현장 유식에서 지엄 화엄의 수학 • 357
Ⅳ. 중도사상 즉 성기사상의 확립 • 367
Ⅴ. 의상 화엄학의 지형과 특징 • 376
Ⅵ. 법성 성기와 중도사상 • 381
제4장
고운 최치원의 풍류 이해와 삼교 인식 387
Ⅰ. 최치원에 대한 두 시각 • 389
Ⅱ. 현묘지도 즉 풍류도 • 391
Ⅲ. 풍류도 삼교의 철학과 사상 • 395
Ⅳ. 불선유 삼교의 철학과 사상 • 405
Ⅴ. 풍류도 속의 삼교 사상 • 411
Ⅵ. 천신 산신 무속의 삼교와 풍류도 • 414
제5장
신라불교와 경주 남산의 의미와 가치 419
- ‘한국 문화의 원형’ 확보와 ‘한국불교의 고향’ 확립 -
Ⅰ. 한국인의 고향과 신라불교 • 421
Ⅱ. 한국 문화의 原型 _ 신라와 금성의 역사성과
장소성 • 425
Ⅲ. 신라불교와 경주 남산의 유적과 유물 • 432
Ⅳ. 불교사상의 조형적 구현과 불국 정토의 실현 • 446
Ⅴ. 한국불교의 고향 _ 경주 남산의 가치와 의미 • 477
Ⅵ. 신라 문화 공간의 확장과 한국 문화의 원형 확보 • 480
제 3 부
고려시대 전기 · 후기 불교
제1장
김제 모악산母岳山 귀신사歸信寺의 역사와 인물 487
Ⅰ. 화엄 십찰 귀신사 • 489
Ⅱ. 의상의 국신사 창건과 신라 화엄십찰의 지형 • 492
Ⅲ. 국사들의 불교사상과 고려시대 귀신사의 지위 • 498
Ⅳ. 여말 선초 이래 조선시대 귀신사의 존속과 폐사 • 506
Ⅴ. 귀신사의 사격 회복과 중흥 불사 • 525
Ⅵ. 국사들의 주석처와 귀신사의 위상 제고 • 528
제2장
『삼국유사』의 원효와 의상 533
- 대중 속으로 들어간 ‘菩薩’(聖師)과 ‘如來’(法師) -
Ⅰ. 원효와 의상의 인상 • 535
Ⅱ. 일연의 원효와 의상 인식 • 538
Ⅲ. 『삼국유사』의 원효 인식 • 547
Ⅳ. 『삼국유사』의 의상 인식 • 564
Ⅴ. 원효像과 의상像의 정립과 유포 • 574
Ⅵ. 일연의 원효와 의상 소환과 고려불교 중흥 • 576
제3장
경기도 이천 安興寺와 利川鄕校의 역사와 인물 581
Ⅰ. 안흥사와 안흥정사 • 583
Ⅱ. 불교 성소의 유교 성소로의 전환 • 587
Ⅲ. 불교 안흥사의 인물과 유적 • 591
Ⅳ. 유교 이천향교의 인물과 유적 • 597
Ⅴ. 불교문화와 유교문화의 공존 • 609
Ⅵ. 안흥사지 쌍탑과 이천향교의 인물들 • 612
제4장
국가 비보사상裨補思想과 한양 비보사찰裨補寺刹 617
- 사탑寺塔의 비보裨補를 통한 국도國都의 명당화明堂化 -
Ⅰ. 지기와 지덕의 보완 • 619
Ⅱ. 국가 비보사상의 불교 경론적 근거 - 현교의 신토불이 교설과 밀교의 제교 포섭 • 623
Ⅲ. 한양 전도와 국가 비보사상의 투영 • 632
Ⅳ. 한양 내사산 외사산의 비보사찰 • 641
Ⅴ. 비보사찰⁽(裨補寺刹)⁾의 창사와 국역진호⁽(國域鎭護)⁾의 배가 • 654
Ⅵ. 비보사찰 창건과 수도의 전국 통솔 • 657
제5장
실록 편찬 보존과 오대산 사고본의 특징 663
- 수호사찰守護寺刹의 수직승도守直僧徒와 수호군守護軍 운영 및 구본 교정쇄본校正刷本과 신본 완성본의 공존 -
Ⅰ. 인문 유산과 자연 유산 • 665
Ⅱ. 고려와 조선의 실록 편찬과 내외 사고 설치 • 669
Ⅲ. 오대산 사고본의 보존책과 관리법 • 682
Ⅳ. 오대산 사고본의 구성체와 지형도 • 698
Ⅴ. 오대산 사고본의 특징과 이관 역사 • 707
Ⅵ. 수호 사찰의 수직승도와 수호군의 실록 보호 • 712
제 4 부
조선시대 전기 · 후기 불교
제1장
조선 세조의 오대산 상원사 중창重創과 거둥 관련 유적遺迹 719
Ⅰ. 오대산 원찰 상원사의 역사성 • 721
Ⅱ. 상원사 중창 지원과 거둥 행로 • 725
Ⅲ. 상원사의 세조 원찰 확립과 경제 기반 확보 • 744
Ⅳ. 세조의 불교 정책과 예종 성종의 지원 • 753
제2장
청한 설잠의 불교사상 759
- 교법 인식과 선법 이해 -
Ⅰ. 교법과 선법 • 761
Ⅱ. 출사의 길과 출가의 길 • 766
Ⅲ. 교법에 대한 인식 • 771
Ⅳ. 선법에 대한 이해 • 787
Ⅴ. 교법의 사고방식과 선법의 살림살이 • 798
Ⅵ. 불자 설잠의 선교 이해 • 800
제3장
허응 보우虛應普雨의 불교 중흥 805
- ‘일체’一體론과 ‘일정’一正론의 응축과 확산 -
Ⅰ. 불교 중흥의 과제 • 807
Ⅱ. 명종 이전 불교 상황 • 809
Ⅲ. 선교⁽(禪敎)⁾ 양종⁽(兩宗)⁾과 승과⁽(僧科)⁾의 복원 • 815
Ⅳ. 선교⁽(禪敎)⁾와 불유⁽(佛儒)⁾의 일체론⁽(一體論)⁾ • 824
Ⅴ. 국가불교의 성과와 한계 • 831
Ⅵ. 교단 복원과 사상 구축 • 838
제4장
청허 휴정의 선심학禪心學 843
- 선심禪心과 일물一物의 응축과 확산 -
Ⅰ. 선심과 일물 • 845
Ⅱ. 성리학의 변화와 추이 • 846
Ⅲ. 출사 시도와 출가 결행 • 848
Ⅳ. 선심과 일물의 지형도 • 863
Ⅴ. 선법과 염불의 병진 • 879
Ⅵ. 사교입선⁽(捨敎入禪)⁾ 혹은 차교입선⁽(借敎入禪)⁾의 활로
제시 • 882
제5장
종봉 유정鍾峰惟政의 선풍과 송운 유정松雲惟政의 교화 887
- 호국불교의 전통과 사명泗溟 유정惟政의 의승군 활동 -
Ⅰ. 사명 유정의 선풍과 교화 • 889
Ⅱ. 호국과 호법 및 고중세의 승군 • 891
Ⅲ. 종봉 유정의 출가수행과 선풍 • 901
Ⅳ. 송운 유정의 의승군 활동과 교화 • 919
Ⅴ. 호국대성 사명 유정의 인식과 평가 • 931
Ⅵ. 사명의 살림살이 - ‘도가 아닌 도’와 ‘덕이 아닌 덕’ • 937
제 5 부
대한시대 대한제국기 · 대일항쟁기 · 분단 시기 불교
제1장
경허 성우의 미도선尾塗禪 945
- 법화法化와 행리行履의 마찰과 윤활 -
Ⅰ. 경허에 대한 두 시선 • 947
Ⅱ. 조료⁽(照了)⁾와 전정⁽(專精)⁾의 논리 방식 • 959
Ⅲ. 피모⁽(被毛)⁾ 대각⁽(戴角)⁾ 예미⁽(曳尾)⁾의 행화⁽(行化)⁾ • 964
Ⅳ. ‘조선불교사의 결론’이자 ‘대한불교사의 서론’ • 985
제2장
한암 중원의 일발선一鉢禪 991
- 흉금胸襟, 藏蹤과 파예把拽, 巧語의 응축과 확산-
Ⅰ. 일발의 선풍 • 993
Ⅱ. 율사와 선사의 살림살이 • 1008
Ⅲ. 일발선풍의 지형도 • 1024
Ⅳ. 비법과 묘법 및 침묵과 참여 • 1034
제3장
동고 문성東皐汶星의 교선敎禪 이해 1041
Ⅰ. 교학과 선법 • 1043
Ⅱ. 문성의 교학 인식 • 1045
Ⅲ. 문성의 선법 이해 • 1061
Ⅳ. 계율 수지 철저와 선법 이해의 투철 • 1070
제4장
청담 순호의 마음 이해와 정화 인식 1075
- 『청담대종사전서』(전11권)를 중심으로 -
Ⅰ. 마음과 정화 • 1077
Ⅱ. 『청담대종사전서』의 구성과 내용 • 1082
Ⅲ. 마음 이해와 空 사상 신행 • 1092
Ⅳ. 정화 인식과 호국 참회 • 1099
Ⅴ. 교단 정화와 중생 교화의 길 • 1107
Ⅵ. 공 사상의 신행과 호국 참회 사상 • 1112
제5장
구산 수련九山秀蓮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 1117
- 한국불교사적 지위와 한국불학사적 위상 -
Ⅰ. 전통불교 복원과 정화불사 주도 • 1119
Ⅱ. 구산 수련의 불교사적 지위 • 1122
Ⅲ. 구산 수련의 불학사적 위상 • 1150
Ⅳ. 정혜결사의 계승과 국제포교의 선구 • 1171
찾아보기 • 1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