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산 스님의 삶과 가르침

경산 스님의 삶과 가르침

(청정 율사)

박원자 (지은이)
동국대학교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520원
16,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산 스님의 삶과 가르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산 스님의 삶과 가르침 (청정 율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인물
· ISBN : 9788978019361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8-11-29

책 소개

한평생을 청정 비구로 사신 율사요 선사이셨으며, 정화불사에 헌신하여 한국불교 정화의 기수 역할을 했고, 오늘날 대한불교조계종이라는 큰 강물의 발원지에 서 계신 경산 스님의 삶과 가르침을 담고 있다.

목차

발간사 청정 비구의 표상, 은사 스님을 기리며 • 5
서 문 학월 경산 스님 • 15


1장 출가와 수행 • 19
일제강점기 소년의 고뇌 • 21
1936년, 금강산 유점사에서 출가하다 • 29
1940년 겨울, 금강산 마하연사 선원에서 첫 안거를 나다 • 38
1941년 스물다섯의 여름, 덕숭산 정혜사에서 두 번째 안거를 보내다 • 48
지리산 칠불암에서 석우 선사를 모시고 공부하다 • 56
1943년 스물일곱, 통도사 경봉 선사 회상에서 • 62
스물여덟의 여름, 오대산 한암 선사에게 불법을 묻다 • 75
금강산 유점사에서 해방을 맞고, 이듬해 남으로 오다 • 88
다시 통도사로 오다 • 94
정화가 태동하던 범어사에서 동산 선사를 모시고 정진하다 • 105
통영 미래사, 효봉 선사 회상에서 정진하다 • 117


2장 한국불교의 정화불사 현장에서 • 125
정화불사와 경산 스님 • 127
정화에 첫발을 딛다 • 130
종단의 위기에서 • 140
통합종단 출범의 전야에서 총무원장으로 선출되다 • 146
통합종단의 출범 • 163
통합종단에서의 첫 총무원장 • 174
동국대학교 이사장 • 182
승려의 현대교육을 위한 종비생 제도 설립 • 187
군승 제도 시행 • 194
역경사업 • 207


3장 무문관 수행 • 213
천축사 무문관 4년 정진 • 215
무문관 설립과 도반들의 정진 • 218
청복의 시간 속에서 정진하다 • 223
수행자는 어떠한 사람이어야 하는가 • 235
적조암에서 계율정신을 실천하다 • 244
회향 • 253


4장 종단의 화합과 포교불사 • 267
승단정화와 포교사업 • 269
교단의 생명은 계율이 살아 있을 때만 가능하다 • 273
1973년 2월 1일 자 담화문 • 278
부처님 오신 날이 공휴일로 제정되다 • 285
포교불사에 진력하다 • 299
입적, 1979년 12월 25일 • 309
경산당! 경산당! 경산당! • 315


경산 스님 연보 • 325
참고 문헌 • 331
경산 대종사 문도 명록 • 337

저자소개

박원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불교전문작가. 대학시절 불교에 입문한 뒤 마음공부를 최상의 가치로 삼고 정진하며 글을 쓰고 있다. 출가수행자들의 생애와 수행에 대한 글을 30여 년 이상 꾸준히 써왔다. 엄마가 된 뒤 부모의 역할, 특히 좋은 어머니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까가 화두가 되어 여러 수행자들을 찾아 질문하고 많은 가르침을 얻었다. 그 귀한 말씀을 가리고 다듬어 이 한 권에 담았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혜암 평전》, 《경산 스님의 삶과 가르침》, 《어떻게 살 것인가》, 《길 찾아 길 떠나다》, 《내 인생을 바꾼 108배》, 《인생을 낭비한 죄》, 《스님의 첫 마음》 《나의 행자시절 1·2·3》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불교 발전의 원동력은 계율을 철저히 지키는 것과 종단의 화합에 있음을 한시도 잊어 본 적이 없던 출가자였으며, 한국불교 발전이라는 대전제 아래 종단이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야 하며,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를 두고 고뇌하지 않은 적이 없던 수행자였다. 그리고 온몸을 던져 이루었던 정화불사가 끝나자 승려의 현대적 교육과 역경譯經의 현대화, 포교의 선진화라는 대불사 앞에서 한 발자국도 물러나지 않은 수행자였다.
- 서문


경산 스님이 수행자들 사이에서도 어려운 경전으로 통하는 『능엄경』이나 『구사론』을 추천한 것을 보면, 불교에서도 철학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경전들을 깊이 있게 공부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스님이 선사이자 율사로 존경받았던 데에는 드러나지 않은 교학에 대한 깊은 인식과 지식이 자리하고 있었고, 그 결과 제자들에게도 ‘먼저 교학부터 배우고 선禪으로 들어가라’고 가르쳤던 것이다.
- 1장_출가와 수행


경산 스님은 불교정화의 핵심을 교단 모두가 계율을 수호하고 화합하는 데서 찾았던 수행자였다. 무엇보다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사부대중의 화합이었다. 특히 대처승을 배제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던 정화운동에서 비구·대처와의 갈등을 화합으로 극복하려는 노력을 쉼 없이 하였다. 정화의 이념에는 동의하면서도 이를 추진하는 방법에는 반대를 하는 대처 측에게 ‘숭고한 정화이념을 실천하기 위해 소아적 주장을 떠나 대국적인 견지에서 일심과 화합의 자세를 가질 것’을 당부 하였다.
- 2장_한국불교의 정화불사 현장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